WDC 브랜드 리뷰

내댓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리뷰] 게이밍PC 필수 NVME추천..WD Black SN750 2TB 개봉기 및 기본 성능 테스

아이콘 WDC
조회: 539
2019-09-05 17:30:42

 

안녕하세요 GamerZ 인사드립니다.

앞전에는 엔트리 라인업의 제품이라 할수있는 WD BLUE SN500의 기본적인 성능과 특징등을 살펴봤습니다.

2019년 3월 WD는 WD Black SN750 2TB를 국내에 선보이며, 고성능 고용량의 NVME 시대의 개막을 알렸습니다.

WD HDD의 경우 BLACK/RED/BLUE/GREEN등 사용자 환경과 니즈에 맞는 선택이 가능하도록 상당히 폭넓은 선택의 폭읋 제시하고 있는데, NVME의 경우도 BLUE와 BLACK의 라인업으로 엔트리 라인업과 플래그쉽의 제품군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오늘 시간부터는 고성능 고용량의 WD의 플래그쉽 라인업인 WD Black SN750 2TB 제품군에 살펴볼텐데요. 개인적으로도 그동안 상당히 기대가됬던 제품인만큼 리뷰 시작전부터 상당히 기대가됩니다.

 

WD Black SN750의 기본적인 스펙을 살펴보면 NVMe 1.3 Gen3 4레인 기반의 제품으로 읽기 3,400MB/s, 쓰기 2,900MB/s이며 2TB기준 1200TBW의 내구성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또한 WD Black SN750의 경우 250GB/500GB/1TB/2TB의 용량과 일반적인 NVMe SSD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와 고성능의 제품인만큼 빠른 발열 해소를 위한 방열판 버젼으로 나뉘어 출시되어 있습니다.

 

 

패키지는 WD의 고성능 라인업의 제품을 의미하는 블랙 라벨의 제품으로 패키지 박스 자체도 블랙 컬러와 WD Black SN750의 외형 디자인이 인쇄된 형태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몇종류의 NVMe를 사용해봤었지만 패키지 박스에서 풍기는 외형이 타사 제품에서는 느껴볼수 없었던 고급스러움이 물씬 풍깁니다.

 

 

박스 후면에는 WD Black SN750의 읽기 속도가 인쇄되어 있습니다. WD의 고성능 제품인만큼 상당히 좋은 스펙을 갖고 있습니다. 작은 윈도우 창을 통해 내부에 비치된 WD Black SN750 2TB 제품의 외형을 직접 육안으로 살펴볼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모습입니다.

 

 

블랙 컬러의 WD Black SN750 2TB는 투명 플라스틱 케이스안에 안전하게 포장된 상태이며, 메뉴얼도 꼼꼼하게 구성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WD Black SN750 2TB은 64단층 구조의 3D NAND 플래쉬 TLC 제품으로 기존 평면형 2D 방식의 제품대비 셀과 셀간의 간격을 입체적인 3D 방식으로 획기적으로 넓혀, 기존 2D 방식의 데이터 저장중 발생되는 터널링 효과가 반복되어 발생되는 낸드 수명의 한계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3D NAND가 사용되었습니다.

 

 

WD Black SN750 2TB의 전면부에 부착된 씰에는 SSD의 기본적인 정보가 모두 인쇄된 모습으로 블랙 PCB와 블랙 컬러의 씰이 상당히 고급스럽게 느껴집니다.

 

 

WD Black SN750 2TB는 고용량임에도 단면 방식으로 제작되어, 고발열이 발생되는 발열 해소를 위해 방열판을 한쪽면에만 부착할수 있는 용이한 점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에 출시되는 메인보드들의 경우 자체 방열판을 부착하고 나오는 경우도 많기때문에 일반적인 환경에선 메인보드 장착시 별다른 문제가 발생치 않습니다.

 

 

앞전에 리뷰했던 SN500의 경우는 PCIe Gen3 2레인 기반으로 작동하지만, SN750의 경우 PCIe Gen3 4레인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대역폭 자체가 2배에 이르는데, 실제 PC에 장착후 과연 WD의 플래그쉽 제품인만큼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여줄지 상당히 기대가됩니다.

 

 

WD의 SSD는 전용 대쉬보드를 제공해주는데, 블루 제품과 블랙 제품 각각으로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제공되는것이 아닌 대쉬보드 자체에서 해당 제품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해당 모델에 맞는 화면구성으로 사용자에개게 보여주게됩니다. SSD의 기본 상태는 물론 현재 온도와 성능 그리고 SSD의 건강 상태등을 모두 한눈에 보기쉽게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연결된 인터페이스 속도까지도 모두 확인할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또한 블랙 라인업의 제품은 WD의 플래그쉽 제품답게 저전력 모드 해제를 통해 최고의 성능을 끌어낼수 있도록 별도의 게임모드 옵션까지도 구성해놓았습니다.

 

Crystal Disk Mark 6.0.2 x64 ]
- 데이터 패턴 무작위 : (Random) 선택 
- 횟수: 5회, 사이즈: 1GiB 
- 테스트 간격 시간 : 5 sec 


 

테스트 값에서 주의 깊게 보아야 할 부분은 WD Black SN750 2TB의 순차읽기 속도와 쓰기 속도 역시 상당히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확실히 기존의 SATA 인터페이스나 SATA 기반의 M.2 제품들과는 차별적인 속도가 상당히 인상적입니다. 좀 더 중요하게 봐야할 부분은 4K Q32 값인데, 이 속도가 빠를수록 실제 작은 파일들로 구성된 운영체제에서 실체감 속도가 빠르게 나타납니다. 이 부분의 수치역시 WD의 플래그쉽 제품답게 상당히 좋은 성능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AS SSD Bench Mark 2.0.6821 ]
- 사이즈: 1GB 
- MB/s 측정


 

 

AS SSD는 사용자가 실체 사용시 가장 비슷한 체감효과를 보여주는 벤치테스트 입니다. 앞전에 리뷰했던 WD SN500 은 물론이고 SATA기반의 M.2 SSD와는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상당한 퍼포먼스 차이가 나는데, 실제 이 정도의 결과라면 다중 파일이나 고용량 파일 복사시 상당한 속도차이가 발생되게되며, 그만큼 WD Black SN750이 고성능의 제품임을 엿볼수 있는 결과이기도 합니다.

 

 

SSD 테스트시 거의 필수다시피한 나래온 더티 테스트를 돌려봤습니다. SSD의 캐쉬가 끝나는 지점부터 마지막 테스트 완료시까지 큰 낙폭의 차이없이 상당히 준수하고 균일한 속도가 돋보였으며, 고성능의 제품인만큼 자체적으로 고발열시 성능을 하락시키면서 온도를 낮춰주는 쓰로틀링은 두번정도 체감이 되었습니다.

 

 

▲ 5기가 파일 복사

 

 

▲ 10기가 파일 복사


WD Black SN750 2TB는 워낙 고용량 고성능의 제품이기때문에, 파티션을 2개나 3개로 나누는 경우가 일반적일텐데요. 더미 파일 생성후 5기가와 10기가 파일을 각각 복사해봤는데, 거의 많은 유저들도 그래픽이나 영상 편집등의 고급사용자가 아니라면 평소에는 대용량 파일을 옮길일은 거의 없지만, 복사 초기부터 끝나는 지점까지 상당히 균등한 속도가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대용량 100기가 파일 복사는 앞전에 리뷰를 진행했던 WD SN500을 메인 드라이브로 잡고 진행해보았습니다. 이미지 편집 또는 영상 편집을 자주하는 분들의 경우 워낙 빈번하게 고용량의 파일을 편집하고 옮기는 작업들을 자주 하게되는만큼 메인 드라이브의 중요성이 대단히 큽니다. 실제 포토샾이나 일러스트레이터 또는 영상 편집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편집만이 아닌 동시에 여러개의 이미지나 영상을 띄워놓고 작업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그만큼 PC내부에서 빠른 액세스 타임이 필요하고 큰 낙폭없는 균등한 속도를 유지해줘야 하는데, 실제 100기가의 파일을 압축하지 않은 채로 RAW파일이 들어있는 폴더를 통째로 복사해보았습니다. 자연히 압축된 하나의 파일보다는 더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음에도 상당히 빠른 복사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WD Black SN750은 WD의 순수 기술력이 집약된 컨트롤러가 실장된 고성능의 플래그쉽 SSD입니다. 게임용 PC는 물론이고 그래픽이나 영상 작업을 하는 분들에게는 적극 추천하고 싶은 제품입니다.  자체 DRAM을 통해 속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구간을 최소한도로 줄이면서 고성능 컴퓨팅을 가능케하며, 특히 다중 작업시 그 진가가 발휘될수 있는 좋은 제품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본 사용기는 WD 엠버서더의 일환으로 제작된 사용기 입니다.

Lv52 WDC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