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머 토론장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토론] 현질 비판 이유의 정당성?

아이콘 설레이는
댓글: 29 개
조회: 2722
2014-01-10 22:10:14

어떤 행위가 비판 받으려면 그 행위의 목적과 보편적 가치가 굉장히 중요함.

현질이 나쁘다라는 주장이 먹힐려면 둘중의 하나의 전제가 필요함.

 

이라는 밑밑밑에 글 보고 써보는 글

 

 

 

그논리 그대로

보편적 가치 <- 라는 단어에서 이미 "절대성" 이라는게 없다는것,

 

예를들어

(*현질이 흡연이라는게 아니라 보편적가치에 대한 이야기)

 

 

 

예1 옛날 어르신들 7~80년대에만 해도

버스에서 담배태우시고 그랬음

그때는 그게 보편적가치에 어긋나는게 아니었으니까

요즘? 법적으로 뭐 금연구역이니 이런거 다 차치하고

그냥 무식 혹은 정신나간짓이됨

 

사회의 보편적 가치가 바뀌었으니까.

 

 

 

예2 마찬가지로 미니스커트. 윤복희씨였나.. 무릎위 미니스커트를 처음 입은날

미풍양속을 해친다며 달걀맞고 뉴스에 뜸

당시의 보편적가치에 반하는 일이었으니까,

요즘?ㅋ

 

 

 

 

 

 

 

보편적가치는 변한다, 라는게 중요

변하는 이유는 보통 과학의 발전으로 악의가 없어도 타인에 피해를 준다는게 밝혀진 케이스가 대부분

당연히 과학은 진짜 이과 자연과학 이런거 말고 사회과학도 포함

 

 

 

 

 

현질을 비판할 근거가 정당하지 않다고?

천만에요

현질은 게임문화 자체에 암입니다. 여기저기 퍼져서 결국 게임문화가 병듦

 

현질에 유리한 시스템-예를들어 "원래 있을법한 수준보다 훨씬 크고 빠르게" 강화같은게 판치고

현금가치가 있으니까 "원래 있을법한 수준보다 훨씬 크고 빠르게" 인플레와 오토, 해킹등이 난무하고

 

밑에 글처럼 "현질없으면 게임이 무슨재미가있음" 이라는 논리가 당연한걸로 만들어버림

 

 

 

 

결론적으로

보편적가치가 변했는데 외면하지 말자, 는게

대부분 현거래 반대자들의 목소리임

 

포인트는

"원래 있을법한 수준보다 훨씬 크고 빠르게" 몇몇 악영향을 초래한다는것

 

 

 

 

 

 

 

추가

상대적박탈감?

이런건 별로 중요하지 않음, 외려 상대적박탈감은 강화같이

같은 노력을 했는데 결과가 다르거나

아예 시작부터 수준차이가 나는 경우 (예를들어 게임방사장님들한테 큰돈을 쥐어줄뻔한(?) 에오스처럼)

 

현질로 발생하는 상대적박탈감은 그냥 자본주의사회에서 문제되는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음

이건 그냥 마이너한 문제.

 

Lv74 설레이는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