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자주포 시작부터 끝까지 가봅시다.

아이콘 아오즈키
댓글: 10 개
조회: 4223
2013-01-03 00:45:10
안녕하세요.

저도 한국 서버 열리고부터 시작해서 그렇게 잘하는 건 아니지만
간간이 인벤에서 정보를 찾고 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전수해드리겠습니다.

1. 게임 시작 30초 카운트
월오탱은 초보자가 적응하기에 맵이 참 많다고 생각합니다.
매판 맵이 바뀌다 보니 자주포를 도대체 어디에 박아야 하나 싶죠.

그때마다 알트탭을 눌러서 맵 공략을 봐주면 참 좋습니다.
어차피 시간도 남거든요.

• 고갯길 맵 공략의 예)


위에 저 네모난 자리가 자주포의 위치입니다. 
처음에 어디에 자리 잡을지 모를 때는 열심히 봐주도록 합시다. 
전 500판 한 지금도 보고 있습니다.

2. 방열 및 지원

일단 기본적인 방열 위치는 맵 구석입니다.

하지만 저티어에서는 문제가 있습니다.

a. 자주포의 사거리
b. 무전기의 무전거리

자주포 사거리가 안되면 흰색으로 표시되면서 공격할 수 없습니다.
프리스트의 기본 포는 사거리가 너무 짧습니다. 짧아도 너무~ 짧아~


또한, 엄폐물 때문에 공격이 제한되는 곳은 빨간색으로
공격에 제한이 없는 곳은 녹색으로 표시됩니다.

그리고 무전거리는 아군 경전차가 아무리 정찰하고 다닌다 해도
무전거리 안에 없다면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됩니다.
가끔 경전차가 미니맵 끝을 달리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무전기 때문입니다.
그럴 때는 그만큼 앞으로 이동을 해줘야 공격이 편해집니다. 
연구할지 안 할지는 직접 정하시면 됩니다.

3. 대포병 사격
대표병 사격은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는 적을
포 궤도만으로 추격해서 쏘는 기술입니다.

a. 일단 자주포가 숨어있을 만한 위치에 미리 에임을 조이고 있습니다.


b. 궤도를 발견한다면 그곳에 사격을 합니다.
하지만 정말 순식간에 지나가 버립니다. 잘 보셔야 됩니다.



하지만 역으로 당할 수도 있는데
발사 후에 약간의 자리이동으로 피할 수 있습니다.

4. 높은 경험치를 얻기 위해선?
프리스트 같은 경우는 탄이 60발도 넘게 들고 있으니 상관이 없지만
그 위로 갈수록 탄의 수는 20발채 되지 않습니다.

탄이 얼마 되지 않는데 체력 100도 안 남은 적을 마무리하는 데 쓰기엔 너무 아깝습니다.
월오탱은 자신이 준 데미지에 따라 경험치를 얻습니다.

여기서 적 공격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되는데

a. 자주포
자주포는 상당히 먼 거리에서 엄청난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체력이 50이든 100이든 무조건 잡아줘야 합니다.

b. 구축전차
구축전차 역시 자주포 처럼 엄청난 데미지가 있습니다.
구축이 자리 잡고 있으면 아군 전차가 전진하기가 상당히 어려워 지기에 역시 잡아줍니다.

c. 중형전차
자주포로 중형전차를 때리면 데미지가 상당히 많이 들어갑니다.
원샷원킬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니 세 번째 순위에 넣었습니다.

d. 중전차
중전차는 주로 라인유지 때문에 건물 뒤에 제일 잘 숨어 있습니다.
때리기도 어렵고 데미지도 적게 들어갑니다.
일단 다른 것부터 정리하면 팀원과 함께 쉽게 정리할 수 있으니 네 번째 순위로 넣었습니다.

e. 경전차
경전차는 엄청난 빠르기로 돌아다녀서 자주포로 명중시키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한정된 포탄 수를 줄이기엔 부담감이 심합니다. 
멈춰있는 경전차가 아니라면 일부러 쏠 필요는 없다고 보기에 마지막으로 넣었습니다.

5. 추천장비
고티어가 될수록 장전속도가 1분 가까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 이유로 장전기를 선택했습니다.

그다음으로 조준 속도를 높여주기 위한 장비.
마지막으로는 적에게 들킬 확률을 줄여주기 위해 위장막을 택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가격인 만큼 필수는 아니라고 봅니다.

승무원 스킬은 저도 아직 배우고 있는 단계라서
누굴 가르쳐드릴 수준이 안됩니다. 그래서 넣지 않았습니다.

Lv91 아오즈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월탱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