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형/중전차 트리는 특성은 티어마다 차이가 있으나 공통점으로는 좋은 부각과 무난한 기동성이 있습니다. 이쪽 트리는 미국 중전차와 중형전차를 타기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건너야 하는데, 다른쪽에서 건너 올 수 없기 때문에 자유경험치로 돌파하겠다고 생각하지 않는 이상은 무조건 운용하게 되어있습니다.
순서대로 2,3,4티어 입니다.
2티어 : T2 Medium
관통력은 좋지 않지만 나머지가 준수한 주포를 지닌 전차
주포가 37mm브라우닝포, 20mm히스파노, 37mm M5, 세가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닝포는 단발클립이고, 히스파노는 연발클립(단발클립 : 한탄창 한클립에 한발/연발클립 : 한탄창 한클립에 여러발) 인데 개인적으로는 브라우닝포를 즐겨 썼습니다. 히스파노건은 사거리가 짧기에... 다양하게 사용해보시는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장갑은 평균 22mm로 빈약한 편이며, 부각이 -10도로 좋아도 후방포탑이기 때문에 주의하면서 운용하세요.
순간적으로 화력투사를 하고 숨어서 재장전하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과거 1티어인 T1 Cunningham이 브라우닝,히스파노를 사용 할 수 있었으나 패치 이후 삭제되면서 1티어보다 못한 2티어라는 신분은 벗어났습니다. 그 대신 중간/최종 무전기를 잃었죠.
3티어 : M2 Medium
2티어보다 나아진 성능, 5티어 M4셔먼의 마이너 버전
다른 3티어 급 전차들과 비교하면 관통력이 그리 좋진 못하지만, 그래도 최종포인 75mm 단포신으로는 어느정도 통하긴 합니다. 5탑방을 가는 경우가 부지기수긴 해도..... 명중률과 관통력은 떨어져도 고폭탄으로 장갑이 약한 부분을 노리는 방법으로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장갑은 없는 편이나 포탑을 업그레이드 하면 관측거리가 무려 370으로 3티어 치고는 상당히 넓은 거리를 자랑하고 부각이 좋은 편에 속하므로(75mm포만 -20도/ 나머지는 -10도) 언덕에서 헐다운을 하면서 관측도 하는것을 권장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재밌게 했었던 전차... 였지만, 요즘은 5탑방이 고정수준이기 때문에 그다지 일걸로 예상됩니다.
참고로 5티어인 M4 Sherman의 105mm사양과 거의 동일한 운용법이 요구되므로 미리 연습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전티어에 비해 승무원이 셋이나 늘어난 6명을 요구합니다. (무전수만 특히 두명)
여기서는 최종 무전기가 이후 트리 미듐전차나 자주포, 구축전차와 공유되지 T1 heavy부터는 다른 무전기를 씁니다. 왠만하면 연구하는게 좋겠지만...연구경험치가 5600으로 높은편이기 때문에 연구하실지 마실지는 잘 선택하시길 빕니다.
4티어 : M3Lee
대표적으로 알려진 미국트리의 지뢰전차이자 뜬금없는 고정포탑 중형전차
월탱 유저들이 지어준 별명이 "망리"로 지뢰전차라는 평을 받습니다. 이유는 밑과 같습니다.
1. 우측에 몰린 고정형 포탑
2. 위쪽 포탑은 작동되지 않기에 종양 취급
3. 전티어나 나중 티어에 비해 기동력, 부각이 좋은 편이 아님
4. 고정포탑형이라고 해서 주포의 성능이 뛰어난것도 아님
5. 포탑 연구를 할 필요가 없다지만 관측거리가 320으로 고정됨
그나마 위안이 된다면 최종포의 연사력/데미지는 무난하고 전면장갑 약간 강화 되었다는 정도....
구축전차처럼 후방 지원용으로 운용 하시고 차체를 대부분 가리고 우측 75mm주포 부분만 내놓고 싸우시는것을 권장합니다.
(주포만 내놓고 쏠 시 시야가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최소 스팟거리거나, 아군이 스팟을 해주고 있을때 하시는것을 권장합니다. 주의하세요. 무작정 주포만 내놓고 있다가는 적을 못보고 비명횡사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구경험치 량이 많아 지는 4티어에 이런 전차가 있어 고통스럽겠지만... 잘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4티어 M3Lee를 통하여 미국 중형 전차인 M4 Sherman전차로 갈 수도 있습니다.
승무원은 전티어와 같은 6명이지만 구성은 무전수가 아닌 포수가 둘로 다르기 때문에 주의하세요.
승무원 구성은
2티어 : 전차장/포수/조종수 (무전수는 전차장이, 장전수는 포수가 겸직)
3티어 : 전차장/포수/조종수/무전수/무전수/장전수
4티어 : 전차장/포수/포수/조종수/무전수/장전수
5티어 : 전차장/포수/포수/조종수/무전수/장전수
이후 미국 중전차 트리 승무원 구성은
6티어 : 전차장/포수/포수/조종수/무전수/장전수
7티어 : 전차장/포수/조종수/무전수/장전수/장전수
8티어 : 전차장/포수/조종수/무전수/장전수/장전수
9티어 : 전차장/포수/조종수/장전수/장전수 (무전수는 전차장이 겸직)
10티어 : 전차장/포수/조종수/장전수 (무전수는 전차장이 겸직)
승무원 구성은 4~6, 7~8티어가 서로 같고 이후 한명씩 감소하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4티어 M3Lee에서 T1 heavy로 보직변경 없이 전부 데려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중형전차 -> 중전차로 인해 골드재훈련을 제외하면 경험치 패널티를 더 받는다는 단점이 있으니 주의하세요.
이쪽 트리는 흐름으로 보면 중전차가 되고도 기동력이 좋다가 장갑을 대폭올리고 기동력이 대폭 깎인뒤 장갑을 되도록 유지해가면서 기동력을 다시 살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다만 이전까지는 중형이기 때문에 중전차가 되기전과 후의 운용방식이 상당히 다르긴 하지만 다른 국가처럼 기동력을 대폭 잃어버리거나, 그런다고 장갑을 대폭 얻는것도 아니기 때문에변화는 있는데 별로 없는 듯한 느낌도 받습니다.
다음 티어를 전부 연구하고 나서 지나가더라도 다시 타시는 경우가 매우 적을만큼 명품전차는 아니기 때문에 고생을 좀 하실겁니다. 다만 5티어 이상부터는 무난한 성능을 지니기 때문에 미리 찍고나면 후회는 없는편이죠.
T1 heavy의 부품/장비
T1 heavy을 연구한다면 만나게 되는 첫 조우 상태
첫 트리로 T1 heavy를 하신다면 아무것도 달 수 없는 상태로 만나실 겁니다. 이전티어와 공유되는게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업그레이드로 인한 엔진과 무전기의 중량 증가는 없으나 최종포를 달기 위해서는 포탑을 업그레이드 해야 달 수 있으며 포탑이 무거워서 달리진 않기 때문에 현가장치를 업그레이드 하셔야합니다.
즉 현가장치 -> 최종포탑 -> 최종포가 강제로 선행되죠.
추가장비인 수직 코일 스프링를 이용하여 현가장치를 건너 뛰는법도 있지만 그다지 권장하진 않습니다.
철갑탄 관통력이 128로 동급 풀업 중전차들 기준으로는 가장 낮은 수준이기에 대부분 6~7티어 전차들을 상대로는 골탄을 들어야 관통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물론 미국전차중 동급 중형전차,구축전차와 같은 관통력이지만 이 전차는 중전차이기 때문에 더욱 아쉬운 부분이죠.
단점들로 인해 라인전에서 대치하기가 힘든편
기타
1. 크고 높은 차체
KV-1과 비교해보면 전고가 상당히 높다
차체가 높은 점은 언덕이나 낮은 둔턱에서는 차체를 가리고 쏠 수 있다는 장점 / 평지에서는 부각이 상쇄되어 버리고 피격되는 범위가 넓다는 단점을 안고 있습니다.
이점을 잘 고려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슬프게도 자주포의 사각에서 언덕을 끼고 사격할만한 장소는 정말 손에 꼽을 정도로 잘 없습니다.)
2. 비교적 좋은 연사력
T1 heavy 최종포 기준으로 장전기 포함 풀업시 연사력은 3초대 초반입니다.
데미지와 연사력은 대조적으로 반비례하므로 연사력이 매우 뛰어나고 해서 꼭 장점인건 아니지만 머리를 조금 잘 굴린다면 유리하게 쓸 수 있습니다.
예로들면 제가 풀 업그레이드가 된 T1 heavy를 타고 장전 4초대의 적과 장애물을 끼고 대치중이라면. 서로 맞공격을 주고 받았을 시, 적은 재장전 시간 1초를 남기는 반면, 저는 재장전이 완료되어 한대 더 치고 빠지지면서 적의 공격을 지연시키고 재장전을 버는 방법이 있습니다.
나한대 맞고 너 두대맞고 나 숨고
물론 적은 대부분 바보가 아닌 이상 한대 더 안맞으려고 엄폐물 뒤로 빼기 때문에 상황을 잘 보고 노리시는것을 추천합니다. (반대로 적이 더 연사가 빠를 경우 달려드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잘 생각하셔야 겠죠.)
복잡하게 설명했지만 요약하면 무작정 딜교환을 하고난 뒤 빼지 말고 안전하게 한대 더 칠수 있거든 치고 빠져라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자주포의 공격에는 유념하시고....)
물론 엄폐물을 확보해 두지 않는다면 딜교환에서 불리하다는 점은 공통입니다.
3. 충각
최고속도가 35에 50톤짜리 전차다 보니 충각시 강한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다만 같은 중전차에 충각하기에는 손실이 크니 주의하세요.
T1 heavy운용하기
자. T1 heavy의 장단점을 모아봅시다
1. 중전차 치고 좋은 순발력과 주파력
2. 좋은 부각을 지녔지만 그렇게 뛰어나지 않은 주포
3. 차체가 크고 측 후면 장갑이 매우 빈약함
-> 능선 싸움의 이점을 가진 팀워크 중시 매꾸기형 중전차
우회기동에 대해서 설명드렸지만 T1 heavy로도 헤비라인에서 전면전을 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중장갑 전차가 부족하다면 가주셔야 하는데.
아군 중전차와 같이 서거나 혼자라면 지원받을 수 있는 지역까지 물러나서 수비하시는게 좋습니다.
차체 뒷부분이나 측면을 가리면서 전면만 내놓고 싸우는것을 권장한다
보통은 만능형이라고 적어야 겠지만 매꾼다라고 적은 이유는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 내는게 가능은 해도 무조건적으로 가져올 수는 어정쩡한 면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전차는 탱킹을 할 수 있어도 완벽하게 막아내기에는 힘드며, 반대로 기동력이 있어도 매우 빠르게 다니기에도 무리가 있기에...
복잡하게 설명했는데....간단하게 설명하면 "눈치를 보며 기동력을 잘 살려서 다녀라."라고 할 수 있겠네요.
미니맵을 보고을 기동력을 이용하여 적군의 빈틈을 파고드는것이 핵심
다만 아무리 빨라도 중전차라서 느리기 때문에 먼저가서 싸우는것이 아닌 먼저 싸우는 아군을 빠르게 지원할 수 있는 전차란 이야기입니다.
적어도 시작하기 전에 내가 뭘 해야할 지를 파악하고 있는것이 좋다
중전차가 없으면 중전차 역할,중형전차가 없으면 중형전차 역할
그리고 먼저 유리한 지점을 차지해서 교전하는 법이 있지만 아군 없이 혼자서 고립되어 죽진 마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