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팩들어 인터넷 특히 특정인터넷 (lg 유플러스 , 헬로비전) 에대한 지연현상이 있거나 아예 서버 자체가 문제였을경우가 많았는데 이점에대해서 쳇gpt에게 외국사례에 더불어 설명을 해달라고해봤는데요
내용은 이렇습니다
좋은 질문이에요 👍 와우에서 말씀하신 **“나만 멈추고, 파티원들은 파바박 움직이는 현상”**은 흔히 래그 스파이크 혹은 핑 불안정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증상이에요.
이를 특정 통신사에서만 더 심하게 겪는 이유, 그리고 와우 서버 구조/외국 사례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1. 특정 통신사에서만 발생하는 이유
(1) 회선 경로 문제 (라우팅)
한국에서 와우 한국 서버(대부분 서울/판교 인근)에 접속할 때, 각 통신사마다 서버까지 가는 인터넷 경로(라우팅)가 달라요.
특정 통신사는 효율적인 직통망을 쓰지만, 다른 통신사는 국제망 거쳐서 돌아가거나 혼잡한 구간을 타기도 함.
이때 순간적으로 패킷 손실이나 **지연(Jitter)**이 생기면 → "나만 멈추고, 나중에 동기화되면서 파바박 움직임" 현상이 나타남.
(2) 트래픽 관리 정책
일부 통신사는 게임 트래픽을 우선 처리하지 않고, IPTV/영상 스트리밍 트래픽을 더 우선시함.
특히 저녁 피크타임에 특정 통신사에서만 게임 랙이 심한 사례가 보고됨. (예: LGU+, SK vs KT 차이)
(3) 통신사 장비/망 증설 이슈
통신사 내부 IDC(데이터센터) → 블리자드 서버 구간에 장비 노후, 증설 부족이 있을 때 특정 ISP 사용자만 영향 받음.
실제로 커뮤니티에서 “KT는 멀쩡한데 LGU+만 와우에서 렉이 심하다” 같은 사례가 자주 언급됨.
🔎 2. 와우 서버 구조와 한국 상황
(1) 한국 와우 서버 구조
(2) 서버 할당량/리소스
"한국 서버는 할당량이 적어서 생긴다"는 루머가 있지만, 사실과 다름.
서버 리소스는 각 지역(NA, EU, KR)에 별도 운영되고, 인구 차이가 있어도 핑이나 렉과 직접적 연관성은 없음.
한국에서 자주 겪는 건 서버 자체의 문제보다는 통신사 망 품질 문제.
🔎 3. 외국 사례 비교
🔎 4. 정리
“나만 멈추고 파티원이 파바박 움직이는 현상”은 개인 PC/서버 문제라기보다 통신사 ↔ 와우 서버 간 네트워크 경로 품질 문제일 가능성이 큼.
한국에서 특정 통신사만 피해를 보는 건, 해당 ISP의 라우팅 경로 비효율 / 망 증설 부족 / 트래픽 관리 정책 때문.
외국도 동일 사례가 있고, 그래서 VPN 우회가 널리 쓰이는 해결책.
블리자드 서버 자체의 성능/할당량 문제보다는 통신사 특성이 훨씬 더 큰 요인임.
물론.. gpt의 답변이 정답이 아닐수도있고 단순히 한국 와우 서버증량문제일수도 있겠지만.. 매번 잊을만하면 이런현상이 발생하니 답답해서 찾아봤내요 ㅜㅜ 혹시 관련 전문가분 계시면 의견한번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