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살게 무덤에서 국내 특정 공대가 버그로 몰락한 화신을 킬했다 하여, 과거에는 어떤 버그+트릭이 있었고 블리자드에서 어떤 제재를 가했는지 모아봤습니다.
찾아보면 더 많겠지만 제가 리분부터 플레이를 했고, 제가 기억하는것만 모아봤습니다.
'리치왕의 분노'
'십자군 시험장'의 '발키르 쌍둥이'.
관련 공대: 다수의 공대.
내용: 빛의 구슬과 암흑의 구슬을 피하며 딜을 하고 탱이 그걸 막아줘야 하지만 특정 위치에 구슬이 오지 않는 트릭 사용.
제재: 없음.
Paragon 공격대의 공략.
다수의 공대와 국내 막공들이 사용한 공략.
'얼음왕관 성채'의 '리치왕'.
관련 공대: Ensidia 공격대.
내용: 특정 아이템을 사용하여 네임드 전투시 사용되는 필드 변형을 무효화 시킴.
제재: 일주일 정지 + 업적 회수 + 템 회수.
영상: 2분 24초~4분 52초.
'대격변'
'검은날개 강림지'의 '아트라메데스'.
관련 공대: 다수 공격대.
내용: 아트라메데스 영웅 (현 신화) 모드는 양파링이 (스킬 이름 까먹음) 벽에 부딫히면 다시 튕겨서 돌아오는 컨셉이었습니다. 그러나 12시 방향이나 입구 방향에는 벽이 없기 때문에 양파링이 돌아오지 않아 많은 공대들이 그 방법을 사용하였고, 픽스 후에는 입구는 막히고 양파링은 안 튕기는 형태로 바꼈습니다.
제재: 없음 + 핫픽스.
아트라메데스 영상.
'네 바람의 왕좌'의 '알아키르'.
관련 공대: Paragon 공격대.
내용: 현재는 모든 넴드가 전투가 시작되면 입구가 닫혀 전투 중 진입이 불가능 하지만 과거에는 문이 열려 있어 전투중 참여 가능한 넴드가 몇개 있었습니다. 네바람의 왕좌 막넴 알아키르의 1페이즈 스킬이 괴랄하게 아파서 공격대원 25명중 몇명은 1넴 필드에서 대기하다가 2페이즈에 전투에 참여했습니다.
제재: 없음.
Paragon vs 알아키르.
'검은날개 강림지'의 '네파리안'.
관련공대: Paragon 공격대.
내용: 네파리안 영웅 (현 신화) 난이도에서 정배를 당하면 엑스트라 버튼을 이용하여 중첩을 쌓고 풀면 중첩을 쌓은만큼 딜이 상승하는 스킬이 있습니다. 이 효과를 가장 잘 받는 스킬이 야드의 도려내기라는 스킬이여서 파라곤은 탱, 힐 포함 총 11 드루를 사용하였습니다.
제재: 없음 + 야드 너프.
Paragon vs 네파리안.
'황혼의 요새'의 '초갈'.
관련 공대: Paragon 공격대.
내용: 초갈 영웅 (현 신화) 25인 기준 주기적으로 큰쫄 2마리가 나오고 그걸 잡으면 슬라임이 나옵니다. 파라곤 공격대는 큰쫄 딜을 안하고 달고 버티고만 있어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큰쫄이 자동으로 죽는걸 알고 쫄 딜을 안하고 넴드 딜만 하여 넴드 딜 요구치를 충족시켰습니다.
제재: 없음 + 핫픽스.
Paragon vs 초갈.
'불의 땅'의 '인스 문제'.
관련 공대: Stars 공격대.
내용: 드군 이전까지는 귀속 시스템이 조금 달랐습니다. 일주일에 난에도에 상관 없이 딱 한번 갈수 있었습니다. 밤의 요새로 예를 들자면 밤의 요새를 일주일에 딱 한번 갈 수 있지만 밤요 인스 내에서 난이도를 바꿀 수 있었습니다. 즉 1넴부터 7넴까지는 영웅 난이도로 잡고 8넴부터 10넴까지는 일반 난이도로 잡을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첫주에 영웅이 열리고 둘째주에 신화가 열리는 시스템이지만 이 당시에는 영웅 올킬을 하면 신화 난이도를 바로 갈 수 있었지만 위에 적었듯이, 한 인스는 난이도에 상관 없이 한주에 한번바께 갈 수 없었기 때문에 신화를 하려면 다음주까지 기다려야했습니다.
당시에는 배수 파밍이란 것이 활성화 되지 않아서 많은 상위 공대들이 고민을 하다가 진영 변경을 하면 인스 귀속이 리셋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리분때 어둠한 조각 작업 하시던 분들은 잘 아실겁니다.) 진영 변경 후 같은 인스를 또 진입하여 배수 파밍을 했습니다. (진영 변경 후 3일동안 다시 진영 변경을 못하기 때문에 호드>얼라>호드 이런 식으로 일주일에 3배수 파밍을 했습니다.) 그러던중 중국 (또는 대만) Stars 공대가 위의 2가지 시스템을 (진영변경을 하면 귀속이 풀린다는것과 영웅 난이도를 올킬하면 신화 던전을 오픈 할 수 있다는 점.) 이용하여 첫주차에 신화 (구 영웅) 난이도의 '샤녹스'를 잡았습니다. 블리자드에서는 바로 제재 했습니다.
제재: 일주일 정지 + 업적 회수 + 템 회수.
'용의 영혼' '공찾 악용.'
관련 공대: 다수의 공대.
내용: 불의 땅 인스 문제로 진영 변경시 인스 귀속 풀림 현상이 사라지면서 많은 공대들이 배수 파밍에 대해 고민하던 중 용의 영혼부터 공격대 찾기 난이도가 나왔습니다. 당시 공찾은 개인룻 시스템이 아닌 주사위 룻 시스템이었으며 지금처럼 한번 돌면 룻 권한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룻 권한이 있는 캐릭터가 주사위를 포기하게 되면 룻 권한이 없는 캐릭터에 템이 들어간다는 점을 악용하여 거의 모든 상위 공대들이 묶인 본캐+안묶인 부캐를 사용하여 공찾 무한 뺑뺑이를 돌았습니다. (안 묶은 부캐들 모두 템을 포기하면 묶인 본캐에 템이 들어감. 당시 공찾을 제외한 모든 난이도는 일주일에 한번바께 입장이 불가능 해서 공찾에서만 이 방법 사용.) 블리자드는 바로 제재에 들어갔습니다.
제재: 일주일 정지 + 템 회수.
당시 영웅 (현 신화) 난이도 순위.
'판다리아의 안개'
제가 군대 다녀와서...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높은 망치'는 자잘한 버그가 너무 많았기때문에 (화법 버그 등) 몇개만 나열해보겠습니다.
'높은 망치'의 '쌍둥이 오그론'.
관련 공대: 다수의 공대.
내용: 정확히는 기억이 안나지만 어떤 방법을 쓰면 오그론이 신화 스킬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많은 공대들이 이 버그가 가능할때 킬을 했고 블리자드는 바로 핫픽스 했습니다.
제재: 없음 + 핫픽스.
'높은 망치'의 '도살자'
관련 공대: 다수의 공대.
내용: 도살자 신화 전투시 지속적으로 외곽지역에서 메마른자들이 도살자에게 다가옵니다. 이걸 공대원이 도살자에게 도달하지 않게 막아야 하는데 막으면 데미지+바닥이 생깁니다. 많은 공대들이 특정 지형을 이용하여 메마른자들이 한줄로 걸어오게 해서 쉽게 막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제재: 없음.
Method vs 도살자.
다수의 공대와 막공에서 많이 사용된 공략.
'높은 망치'의 '마르고크' (북러드 사건.).
관련 공대: Clan Wanted.
내용: 이 사건은 특정 넴드 사건이라기보다 당시 블러드+블러드 북을 매크로로 묶어서 동시에 사용하면 두개의 버프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Clan Wanted는 이 방법을 하필 높은 망치 막넴 마르고크에서 사용해서 크게 이슈가 됐었습니다.
제재: 업적 회수 + 템 자진 뽁.
Clan Wanted vs 마르고크 (14분 5초 버프창 확인.).
'검은바위 용광로'의 '크로모그'.
관련공대: 초기 레이스에 참여한 다수의 공대.
내용: 크로모그가 전멸기 사용전 3개의 바위를 생성합니다. 플레이어들은 바위를 손으로 내리치는 전멸기 사용전에 딜을 해서 부서지게 하고 그 뒤에 숨으면 크로모그가 바위를 향해 텀을 두고 3번 내리쳐서 부서진 바위를 없애버립니다. 그러나 초기에 시스템 문제로 크로모그가 바위를 내려쳐도 부서진 바위가 사라지지 않아 다음 전멸기때 사라지지 않은 바위 뒤에 숨을 수 있었습니다.
제재: 없음 + 핫픽스.
Method vs 크로모그. (관련 내용=2분 15초부터.)
'검은바위 용광로'의 '토가르' + '한스가르'.
관련 공대: 용광로 끝물에 발견된 버그라 크게 이슈가 되지 않았습니다.
내용: 제자리에서 빙글 빙글 돌면 특정 광역 스킬을 맞지 않았습니다. (한스가르 압축기+토가르 기차.)
제재: 없음 +핫픽스.
'검은바위 용광로'의 '블랙핸드'.
관력 공대: Style War.
내용: 블랙핸드 막페이즈에 탱에게 사용하는 거대 분쇄의 강타 (6미터 안에 있는 모든 적에게 788,307의 화염 피해를 나누어 입히고, 1초마다 126,129의 화염 피해를 나누어 입힌 뒤 밀쳐내고 잿가루 분화구를 만든다.) 라는 스킬이 있는데 탱이 혼자 맞게 되면 블랙핸드 기력이 빨리 차서 특정 인원이 맞아줘야됐습니다. 중국 Style War 공격대는 양조를 이용하여 블랙핸드가 탱커에게 거분강 시전시 절벽으로 뛰어내린 후 해탈로 돌아오는 방법을 사용하여 난이도를 확 낮췄습니다. 블랙핸드는 한 티어의 막보스고 Style War가 이 당시 세계 4등을 했는데 블리자드가 아무런 제재를 하지 않아 블리자드의 제재 기준에 많은 의문이 생긴 사건이었습니다.
제재: 없음.
Style War vs 블랙핸드. (동영상 재생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군단'
'용맹의 시험'의 '오딘'.
관련 공대: Unity.
내용: Unity 공대가 트라이 도중 특정 트라이때 오딘이 평타 외 다른 스킬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그냥 잡아버렸습니다. 잡은 후에 버그 리포트를 하여 어떠한 제재도 받지 않았습니다.
제재: 없음 + 핫픽스.
Unity vs 오딘.
'용맹의 시험'의 '헬리아'.
관련 공대: Exorus + From Scratch.
내용: 헬리아가 탱커에게 브레스 사용중 탱이 죽으면 브레스를 사용하지 않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이게 문제가 된 이유가 탱이 죽으면 브레스를 한번 씹는게 아니라 전투 끝까지 사용하지 않는게 문제였습니다. 두 공대는 세계 3등과 4등을 했지만 제재를 받아 순위에서 박탈당했습니다.
제재: 업적 회수 + 템 회수 + 일주일 정지.
'용맹의 시험'의 '헬리아' (암사 광기 자원 버그.).
관련 공대: Serenity + Exorsus 등
내용: 암사가 형상 진입후 유물 스킬인 공허 격류를 시전하자마자 분산을 쓰면 공허 형상이 고중첩이 되도 광기 자원이 천천히 깍이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광굴을 쓰지 않고도 70중첩 이상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제재: 없음 + 암사 핫픽스.
Serenity vs 헬리아. (4분 20초부터.)
'밤의 요새'의 '에트레우스'.
관련 공대: Fusion.
내용: 에트레우스는 밤의 요새 초기 넴드 피통+막페 쫄 피통이 말도 안되게 많아서 초기 최상위 공대들이 3 광굴 암사+1탱+저힐을 이용하여 공략했습니다. 그 와중에 Fusion 공대가 갑자기 세계 5등으로 치고 올라오는 사건이 있었는데, 막페에 풍운이 어글을 먹고 큰쫄 대상이 되면 해탈로 입구 밖으로 나가서 쫄이 팝업이 안되게 했습니다.
제재: 일주일 정지 + 업정 회수 + 템 회수.
Fusion vs 에트레우스.
'살게라스 무덤'의 '여군주 사스즈인'.
관련 공대: 핫픽스 전 모든 공대.
내용: 히드라 사격을 탱커 혼자 생존기 키고 4방을 다 맞는 택틱을 사용하여 다른 클래스들이 히드라 사격을 맞아주는 부담을 줄였습니다. 핫픽스 전 공대들은 3~4 탱커를 사용하였습니다.
제재: 없음 + 핫픽스.
Method vs 사스즈인 (4탱).
'살게라스 무덤'의 '몰락한 화신'.
관련 공대: Team Venom.
내용: 현재 진행형이라 정확하지 않지만 몰락한 화신에서 암사가 죽지 않는 버그를 사용하여 몰락한 화신 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