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 길어질것 같아서 편하게 음슴체로 쓰겠습니다.
즉완 날짜와 젬의 관계를 올려주셨던데 3개를 주기로 123,123,124
이를 대충 수식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됨
G = 123.33*(D-1)+260
= 123.33*D + 136.66
(G는 즉완소모 젬, D는 자연수인 즉완날짜)
여기서 136.66의 Gem을 즉완을 위한 초기 고정비용임
(1일치부터 계산할 수 있게하기위해 260대신 136.66 사용)
이를 수정하면 이미 잘 알려져있으며 글에 첨부되있던 Gems/Day 그래프를 얻을수 있음
G/D = 123.33 + 136.66/D
인 형식으로 D가 커질수록 하루에 해당하는 젬 G가 줄어들어서 효율적이다는 것이 기존의 생각
Frozen님께서 제시한 새로운 생각은 아래와 같음
단순히 기존의 알려진 Gems/Day만 봐서는 안된다.
즉완을 5일을 하던 10일을 하던 초기고정비용 136.66은 동일하며
그 이후로는 하루당+123.33 정도의 잼을 소모하기에
만일, 동일한 횟수만큼 즉완을 한다면 동일한 초기고정 비용을 지불한것이고 그렇다면
그 이후 하루당 잼 소모량은 같으므로 5일을 즉완하던 10일을 즉완하던 같은 효율이다.
네... 전 이런 주장에 전혀 동의할수 없음.
금연중이므로 담배를 예로 들어봄.
담배 A와 담배 B가 있음.
A담배 구성은 1200원 = 세금 200원 + 100원짜리 담배 * 10개비
B담배 구성은 400원 = 세금 200원 + 100원짜리 담배 * 2개비
A담배랑 B담배는 초기비용(세금)은 동일하게 내고 한개비당 담배비용이 같으므로 단가가 같은 담배일까?
이 담배구성들을 각각 5개씩 산다고 하면 어떤것을 사겠음?
이게 10일즉완 5회랑, 2일즉완 5회랑 같은문제임.
애초에 단순히 Gems/Day만 보면 안된다고 하셨지만,
즉완시 포함되어야 하는 초기비용은 따로 빼놓고
뒤이어 나오는 하루당보석(=사실 이말이 Gems/Day이다.)+123.33만을 남겨서 효율이 같다고 주장한거임.
즉, 초기고정비용및 추가 상승비용을 전체적으로 포함한 Gems/Day를 무시하고,
초기고정비용과 추가상승Gems/Day를 분리해서 별개로 생각하니 이런 오류가 생김.
논리적 반박환영합니다.
-------
* 수정 *
잘못된 정보가 팁으로 퍼질것을 우려해 일단 팁게시판으로 옮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