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내댓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언어의 쓰임과 표현은 일반 대중의 사용에 따라 변합니다

야포배
댓글: 7 개
조회: 563
2013-03-29 09:04:50
일반 대중의 사용에 따라 언어의 표기와 의미는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중세국어에서는 어리다 의 의미가 어리석다 였지만 현대에서는 나이가 어리다 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는 맞춤법의 짜장면 사건을 들 수 있네요. 이번 맞춤법이 계정되기 전까지 짜장면의 옳바룬 표기는 자장면이었지만 일반 사람들이 께속 짜장면으로 표기하자 짜장면으로 바꿨습니다.
사실 이 문제는 일반 사람의 언어 습관이 잘못이라기 보다는 전문가들이 된소리화 현상을 잘못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변화가 늦었던 겁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사람들이 계속 짜장면이라고 하자 이제는 변화에 떠라 다시 바꾼 것이구요.

어쨌든 언어의 쓰임을 정하는 힘은 일반 대중에게 나옵니다 물론 전문가가 잘못된 쓰임을 바로잡아줄 수 있지만 일반 대중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그 뜻으로 일반화 되지요.

전문가가 언어의 쓰임과 의미를 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반 대중이 그 쓰임과 의미를 정합니다.

Lv23 야포배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