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공략 모음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캐릭터] 인챈은 못하지만 그래서 짱짱 쎈 폭활전문소서

아이콘 디2
댓글: 62 개
조회: 12924
추천: 27
2025-07-27 09:46:55
다계정 용 폭활소서는 오더밥과 전문인챈소서의 보조로 인해서,
폭활소서 자체의 인챈능력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화염숙련 스킬 및 화깎주얼 등을 통해 화염기술피해와 화깎을 최대화하여,
전문인챈소서로 부터 인챈받은 화염데미지를 추가적으로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한 각 부위의 아이템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무기 :


 ① 유닉 추코누 :
     관통벨트(33% 관통) 착용 시 99%관통을 달성할 수 있으며,
     기본 공격 프레임이 가장 낮고, 최소의 공속 투자로 11프레임 달성이 가능합니다.

  ② 유닉 시더보우 :
      공속과 관통, 추가 명중률에서 모두 유닉 추코누 대비 열세입니다.

  ③ 낙인 :
      고유 네임드 몹이 아닌 경우, 방어무시의 장점이 있고,
      최대 340% 증뎀, 최대 330% 악마에게 데미지 상승 등 물리 데미지 자체도 늘어나는 장점이 있지만,
      공속 프레임의 압박 및 관통의 부재로 인해 추코누 대비 열세입니다.

따라서 유닉 추코누만이 답이다라는 판단입니다.


2. 공격 프레임 :

유닉 추코누의 공격 프레임을 11프레임과 12프레임 중 선택하는 문제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간단히 비교하기 위해,
유닉 추코누에 공속 주얼을 박는 것과 화깎 주얼을 박는 것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저의 폭활소서를 기준으로, 유닉 추코누의 주얼을 변화시켜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표에서 인챈데미지의 의미는 인챈소서가 부여하는 6K 정도의 마법부여데미지를 의미하며,
    실제데미지는 마법부여데미지가 폭활소서의 화염기술피해로 증폭된 후,
    몹의 화염저항에 의해 보정된 데미지를 의미합니다. 

면역몹을 제외하면,
12프레임의 화깎작이 화염기술피해가 5% 높고, 화깎이 5%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격프레임이 짧은 11프레임에 비해 DPS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면역몹의 경우, 12프레임이 더 높은 DPS를 보이나 그 차이가 0.88%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11프레임이 적합하다는 판단입니다.


3. 스왑 아이템 :

스왑 아이템은 스왑시, 
105패캐 확보, 최대 에쉴레벨 확보, 히드라나 파월 등 보조공격스킬의 추가레벨 확보를 목표로
고려해 보았습니다. 



 ① 집착봉 : 쉽게 105패캐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에쉴은 3에쉴 뼈대의 경우 7레벨의 증가 효과가 있습니다.
     뼈대에 따라 4~7스킬의 히드라나 파월같은 보조공격스킬의 레벨증가도 얻을 수 있습니다.     

 ② 기억봉 : 낮은 패캐로 인해 쌍패캐링을 강제하며,  쌍조던링을 통한 스킬확보가 불가능합니다.
     이는 화염숙련 2스킬의 손실을 가져와 폭활데미지가 미약하게나마 줄게되고,
     에쉴도 2스킬의 손실을 가져와 표에 표기한 +9에쉴이 아닌 +7에쉴 효과에 그치게 됩니다.
     따라서 집착봉 대비 딱히 장점이 없습니다.

 ③ 매직봉 + 영혼 : 집착봉 대비 에쉴 1레벨 증가외의 장점은 없으며, 76힘을 추가로 요구하게 됩니다.
     폭활소서의 보조공격수단으로 히드라나 파월 사용 시 스킬레벨의 증가효과가 집착봉 대비 떨어집니다.
     매직봉이 아닌 2소서3에쉴봉 + 영혼의 경우는 집착봉과 비슷한 효과지만, 76힘의 추가 요구와
     20패캐 뚜껑, 3화염10패캐목, 마수장의 조합을 강제하게 됩니다.

 ④ 매직봉 + 각성의벽 : 집착봉 대비 딱히 장점이 없습니다.

 ⑤ 에슈타의성미 또는 오심 + 영혼 : 집착봉 대비 에쉴레벨은 2 낮고 76힘을 추가로 요구하지만,
     3화염10패캐목 사용이 가능하기때문에, 집착봉에 2소서20패캐목을 사용하는 경우 대비,
     폭활데미지가 화염숙련 1스킬 만큼 증가됩니다. 
     폭활소서의 보조공격수단으로 히드라나 파월 사용 시 6스킬의 증가효과
     (에슈타의 성미 또는 오심의 3스킬, 영혼2의 스킬, 2소서목 대비 3화염목에서의 1스킬 우위)가 있고,
     오심이 아닌 에슈타의성미를 사용할 경우 20% 화염기술피해와 5% 화깎을 추가할 수 있어,
     단순 3에쉴 뼈대의 집착봉(4스킬 증가효과)대비 좋으며,
     3에쉴 3파마 3히드라(또는 파월) 뼈대의 집착봉(7스킬 증가효과)과도 비빌 수 있습니다.
     다만, 목걸이에서 레지, 마나, 중감, 스탯 등의 부가 옵션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⑥ 에슈타의성미 또는 오심 + 각성의벽 : 집착봉 대비 딱히 장점이 없습니다.

 ⑦ 마법사의쐐기검 + 영혼 또는 각성의벽 : 에쉴이 1~2레벨 증가에 그쳐서 단독으로 쓰기는 어렵습니다.
     기억봉을 추가로 운용하면 사용이 가능하나 무척 번거로우며,
     폭활소서의 보조공격수단으로 히드라나 파월 사용 시 스킬레벨의 증가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긍정적으로 고려할 만한 스왑템은
[집착봉]과 [에슈타의성미 또는 오심 + 영혼]이라 볼수 있습니다.

폭활 데미지의 차이는 ⑤에서
[에슈타의성미 또는 오심 + 영혼]이 3화염10패캐목 사용 시,
[집착봉] 대비 화염숙련 1만큼 더 좋을 수도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화염숙련 1스킬 증가 시 화염기술피해는 7% 증가하게 됩니다.
저의 폭활소서를 기준으로 판단해보면,
화염숙련 1스킬이 늘어나면 327%에서 334%로 화염기술피해가 증가되고, 이것은
(100+334) / (100+327) = 1.016, 약 1.6%의 매우 미미한 데미지 증가를 의미합니다.

[에슈타의성미 또는 오심 + 영혼] 세팅 시,
목걸이의 기타옵션을 위해 3화염10패캐목이 아닌 2소서10패캐목 사용 시에는,
폭활 데미지 면에서 우위에 있지 않으며,
보조공격스킬의 레벨에 있어서도 뼈대가 좋은 집착봉에 대해 우위에 있지 않습니다.
이에따라 세팅의 난이도가 증가하며, 76의 추가힘이 필요로 하는 것도 압박으로 다가옵니다.

따라서 집착봉이 적합하다는 판단이며,
집착봉의 65패캐에 추가로 다른 부위에서 40패캐를 확보하여 최종 105패캐를 달성하는 세팅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4. 갑옷 :

갑옷의 경우 생각해 볼 수 있는 아이템이
4솟매직갑(화깍작), 신교복(3화염숙련, 화깍작)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교복은 3화염숙련과 15%화염기술피해, 1개의 화깎주얼로 인해,
41%의 화염기술피해와 5%의 화깍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4솟매직갑의 경우, 20%의 화염기술피해와 20%의 화이므로,
신교복이 4솟매직갑 대비, 화염기술피해는 21% 높고, 대신 화은 15% 떨어집니다.

제 폭활소서가 4솟 매직갑 착용시 풀템기준 화염기술피해는 327%, 화은 35%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신교복 착용 시 화염기술피해는 348%, 전체 화깍은 20%가 됩니다.
(100+348)/(100+327) = 1.049이므로, 신교복의 데미지가 4.9% 더 높게 나타나지만,
신교복의 화깎이 15%가 낮음을 고려하여 실제 데미지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몹이 화염면역일 경우, 몹의 저항은 파괴참과 무공으로 인해 78%까지 떨어집니다.
여기서 신교복셋팅의 경우, 풀템기준 화깍 20%로 인해 몹의 최종저항은 58%가 되고,
4솟 매직갑셋팅의 경우, 풀템기준 화깍 35%로 인해 몹의 최종저항은 43%가 됩니다.
실제 데미지를 비교하면, {(1.049*(1-0.58)}/{1*(1-0.43)} =  0.773이므로,
화염면역 몹의 경우, 신교복의 실제 데미지는 4솟매직갑 대비 22.7% 낮아지게 됩니다.

몹의 화염저항에 따른 신교복과 4솟 매직갑의 데미지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4솟매직갑이 적합하다는 판단입니다.


5. 뚜껑 및 기타세팅 :

뚜껑의 경우,
꺼불, 3화염 20패캐 2솟(화깎작), 20패캐 3솟(화깎작) 등을 고려 할 수 있습니다.
화염숙련 1스킬 당, 7% 화염기술피해 증가효과가 있으므로,
스킬을 화염기술피해로 환산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3화염 20패캐 2솟 뚜껑 vs 꺼불
    3화염 20패캐 2솟을 꺼불과 단순히 뚜껑만 비교할 경우,
    꺼불 대비 화깎이 5% 낮고, 화염기술피해는 10%정도 높습니다.
    꺼불 착용 시 캐릭의 전체 화염기술피해가 327%라면, 10% 증가는 337%를 의미하고,
    (100+337)/(100+327) = 1.0234이므로, 꺼불대비 2.34%의 데미지 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꺼불대비 5% 화깎이 낮으므로, 2.34%의 데미지 증가는
    화깍 고려시, 실제 데미지가 낮아지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② 20패캐3솟(화깎) vs 꺼불
    20패캐 3솟을 꺼불과 단순히 뚜껑만 비교할 경우,
    꺼불 대비 화깎은 동일하나, 화염기술피해는 6%정도 떨어집니다.
    꺼불 착용 시 캐릭의 전체 화염기술피해가 327%라면, 6% 감소는 321%를 의미하고,
    (100+321)/(100+327) = 0.986이므로, 꺼불대비 1.4%의 데미지 감소가 발생합니다.

③ 단순히 뚜껑만 비교할 경우, 꺼불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다고 볼 수 있지만,
    꺼불세팅의 경우, 반드시 광패목과 마수장으로 40패캐를 확보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뚜껑에 20패캐가 있는 경우는, 광패목과 마수장 중 하나를 통해서 20패캐만 확보하면 되는
    세팅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11프레임 공격을 기준으로, 세팅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세팅2(3화염 20패캐 2소켓 세팅)가 세팅1(꺼불 세팅)에 비해서 1.9%의 데미지 증가를 보이며,
    세팅4(20패캐 3소켓 세팅)는 세팅1(꺼불 세팅)에 비해서 면역몹에 대해 6.7%의 데미지 증가를 보입니다.

    다만 세팅1(꺼불 세팅)대비,
    세팅2(3화염 20패캐 2소켓 세팅)는 화염스킬이 1스킬 감소하고,
    세팅4(20패캐 3소켓 세팅)는 화깎은 5% 증가하지만 4스킬이 감소하여,
    히드라나 파월 등의 보조화염스킬 데미지가 조금 감소하게 됩니다. 

    폭활데미지 측면에서 세팅1 대비, 세팅2나 세팅4가 조금 더 좋다고 볼수 있지만,
    꺼불의 부수적인 빙감, 50%중감, 최대 75마나, 최대 106% 화염저항을 고려하면,
    꺼불세팅도 훌륭합니다.


6. 최종 세팅 :

아래의 네가지 세팅 정도가 최적이라고 판단됩니다.



7. 제가 선택한 세팅
    
① 장비 :

    난이도가 쉬운 1번 세팅을 기준으로 세팅하였습니다.

    목걸이의 경우, 꺼불의 50% 중감의 효능을 살리고 빙감세팅의 황금콜레를 만족하기 위해,
    냉기저항과 75중감 옵션이 있는 2소서스킬 20패캐목을 장착하였습니다.

    유닉추코누에 박은 공속주얼은 빙감세팅의 황금콜레를 만족하기 위해,
    15공속30콜레 주얼을 사용하였습니다.

    4솟 매직갑은 꺼불의 50% 중감의 효능을 살리고, 가격이 저렴하며, 추코누 대비 힘제가 낮고,
    배꼽을 보여주어 가장 소서를 섹시하게 만드는 75%중감 더스크 슈라우드를 사용하였습니다.

    부츠의 경우, 달리기, 마나, 콜레, 포레가 붙은 캐스터부츠를 사용하였습니다.

    스왑용 집착봉의 경우, 운이 좋아 3에쉴 3화염숙련 3히드라 뼈대를 구하여,
    스왑시 7스킬 증가효과를 받은 47레벨의 히드라를 시전할 수 있었습니다. 

    폭활을 든 상태에서,
    목걸이, 공속주얼, 부츠의 콜레 합이 105를 초과하여 콜레는 황금레지를 만족하며 빙감세팅을 완성하였고,
    나머지 레지는 마이너스를 피하는 정도로 맞추었습니다.
    포레가 0에 가까우나, 용병 치료뚜껑의 정화오라와 꺼불, 목걸이, 매직갑에서 중감 한계인 175를 넘는
    중감을 완성하여, 전혀 낮은 저항이 부담스럽지 않습니다.

    폭활소서의 매찬이 0이므로, 감별책이 필요하지 않아, 벨트에 거봉 한줄, 감별 두줄, 텔포 한줄을 채워두고,
    인벤은 큐브세팅에 7스킬피참, 1화파참, 애니참, 횃불, 피마나참 6장과 피레지참 3장을 꾹꾹 박아놓았습니다.

    용병은 당연히 무공과 치료뚜껑, 명굴로 세팅하였습니다.

② 스탯 :

    힘    : 추코누 요구치 80까지
    민첩 : 추코누 요구치 95까지
    나머지는 올마나

③ 스킬 :

    냉기 스킬에서 얼어붙은 갑옷은 찍지 않았습니다.
    에쉴 레벨이 높고, 오더밥의 샤우트에 의한 방어력 증가도 있기 때문입니다.

    번개 스킬의 경우,
    전자기장은 1만 찍었습니다. 그럼에도 스왑 시 14레벨 12미터의 반경을 커버합니다.
    하지만 몹의 풀링을 위해, 추가적인 전자기장의 스킬투자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염력은 에쉴의 마나소모효율을 높이기 위해 마스터 하였습니다.
    에쉴은 낮은 저항을 커버하고, 몸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스터 하였으며,
    스왑시 36레벨 91%의 흡수율을 갖추었습니다.
    텔레포트와 에쉴로 가기 위한 길목 스킬인 번개줄기, 번개, 연쇄번개도 하나씩 찍었습니다.

    화염 스킬의 경우,
    화염기술피해의 최대화를 위해 화염숙련을 마스터 하였고,
    마나 회복을 위해 온기를 1 찍었습니다.
    폭활을 보조할 공격수단으로써, 히드라를 선택하여 마스터 하였으며,
    이를 위해 히드라의 길목스킬을 하나씩 찍어주었고,
    남믄 스킬은 히드라의 시너지 스킬인 화염구에 몰아주고 있습니다.

④ 왜 파월이 아닌 히드라인가? 

    다계정용 폭활소서는 전문 인챈소서로 부터 6K를 초과하는 55렙의 인챈데미지를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스로 인챈을 걸 필요가 없기때문에, 인챈의 시너지인 온기를 마스터 할 필요가 없습니다.
    파월의 시너지가 온기이므로, 그동안 온기를 마스터한 폭활소서들이 파월을 보조공격스킬로 사용하였지만,
    다계정용 폭활소서는 더 이상 파월을 고집할 필요가 없습니다.
    보스전과 같이 단일 대상을 상대할 때, 파월의 두배 이상의 DPS를 보이며, 
    이때는 전자기장도 굳이 쓸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버닝소울이 엄청난 떼로 몰려 있는 경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소울밭에 히드라를 소환하면,
    안전하고 편안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⑤ 기타 운용 팁

     소개한 폭활소서는 기본 상태가 집착봉을 든 상태입니다.
     105패캐와 집착봉의 스킬효과를 위해, 폭활을 쏘는 것 이외의 모든 스킬은 집착봉을 든 상태로 합니다.
     더구나 집착봉의 최대 70% 올레지는 폭활을 든 상태에서 0에 가까운 레지를 황금레지에 근접시켜 줍니다.
     그래서 폭활을 쏘지않는 상태는 기본적으로 집착봉을 든 상태로 유지하며,
     폭활을 쏘기 직전에 폭활로 스왑하여 사격하고, 사격이 마무리되면 습관적으로 집착봉으로 스왑합니다.
     집착봉 상태에서 텔포하다가 전자기장을 통해 몹을 일렬로 풀링하고나서 폭활로 스왑해서 사격하거나,
     집착봉 상태에서 텔포하다가 소울 떼거지 밭을 지나가게 되면, 그냥 그 상태에서 멀리 떨어져서
     히드라를 소환합니다. 

     석궁용 볼트는 여분을 추가로 들고 다니지 않습니다.
     소서는 염력으로 바닥에 드롭된 볼트를 찍어주면 수량이 자동으로 충전됩니다.
     집착봉을 든 상태에서 염력으로 찍어도 볼트 충전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왼쪽 오른쪽 스킬의 바인딩과 관련하여, 디아2는 바인딩한 스킬 사용 중 스왑 시,
     스왑전의 바인딩으로 스왑후의 바인딩이 바뀌어 버리는 버그가 있습니다.
     폭활소서도 잦은 스왑을 해야 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왑 전후의 바인딩이 같도록 세팅하면 좋습니다.
     저는 폭활을 든 상태든 집착봉을 든 상태든 모두 동일하게
     왼쪽 스킬 바인딩은 일반공격, 오른쪽 스킬 바인딩은 텔레포트로 해 두었습니다.

⑥ 저의 폭활소서 스탯

    소서룩은 역시 더스크 슈라우드



     폭활을 든 상태 :  11프레임 27K 35화깎 폭활




      집착봉을 든 상태 : 105패캐 47레벨 히드라, 36레벨 에쉴, 14레벨 전자기장



긴 글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인벤러

Lv76 디2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