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령술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세팅 추가) 피강령 조폭네크 의견 공유

아이콘 서풍비룡
댓글: 16 개
조회: 7754
추천: 5
2023-06-14 05:54:54

처음 시작부터 쭉 피강령으로 키우다가 저도 역시 피강령 제압딜의 한계에 부딪혔습니다.

조폭네크에 대한 낭만도 없어서 하수인은 다 희생하고 진행하다가

피강령을 포기하고 뼈창을 해야되나 고민하던 와중


두 개의 유니크를 먹고 본격적으로 피조폭 강령술사로 갈아탔습니다.

죽음예언자의 펜던트 경우 피강령 빌드에 유일하게 있는 유니크이고, 피빌드의 경우 제압딜을 활용하는 것은 명확해 보여서 블리자드가 해당 유니크를 설계한 의도가 분명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죽음예언자 팬던트에 제압이 터지는가?



피의 쇄도 5스택 확정 제압 때 제압 데미지 텍스트가 여러 개 뜬 모습입니다.


피조폭 빌드의 장점

본체 피의 쇄도의 범위딜 + 하수인들의 작은 피 회오리딜 하면 화면 전체를 커버하는 미친 광역딜링을 보여줍니다.

보스전의 경우에는 이론상 본체 제압딜+하수인 12마리의 제압딜이 들어가고, 실제로도 좋은 단일딜링을 보여줍니다.

제압딜의 경우 순수 체력 및 보강에 따라 딜이 증가하기 때문에 템 옵션으로 최대체력증가 및 하수인체력증가를 채용해서 하수인이 튼튼합니다. (죽는 일이 없습니다.)

단점

피의 쇄도 정수 소모량이 엄청납니다. 추후 해당 부분은 어스름의 위상 + 해골마법학자를 통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템 옵션의 경우 최대체력, 하수인체력증가, 정수소모량감소 및 정수생성량증가, 제압딜증가 위주로 챙기고 있습니다.


연구가 필요한 것들

우선 제압딜의 경우 체력+보강 수치에 제압딜 증가만 곱해지고, 극대화 및 취약 등 다른 옵션은 받지 않는 것으로 알려 졌습니다. 반면에 정복자 보드 등의 곱연산은 적용이 되구요.

하수인의 경우 제압딜 공식이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 아직 알려진 것이 없었습니다.

1)  하수인 제압딜은 하수인 체력에 기반하는가?

제압딜 메커니즘 상 하수인 체력과 연관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뇌피셜)

해외 포럼에서 한 가지 글을 읽었습니다.



제압딜의 경우 본체의 피의 쇄도가 복사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하는데 원본글의 영상의 경우



27,000 가량의 확연히 다른 수치가 보이고 본체 딜로 추정 됩니다.



반면에 저의 경우 우연의 일치인지 제압딜이 거의 비슷하고,



같은 보스인데 왜 이렇게 딜차이가 나는지 계속 연구하다가 답을 못 찾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진짜로 본체 피의 쇄도가 복사되는 것이라면 버그라고 생각이 들고, 하수인 제압딜이 하수인 체력에 기반한다는 가정하에 해당 빌드를 짰습니다.


실험결과 제압딜이 복사되는 것이 맞는 걸로 확인 되었습니다.


2) 제압딜 증가 옵션은 하수인에게 어떻게 적용이 되는가?

하수인은 본체 능력치를 30% 계승한다는 알려진 부분이 맞는지 실험 중이지만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거 같습니다.


3) 하수인 피해 증가와 관련된 각종 곱연산의 적용?

이교 우두머리 전설 노드와 해당 보드의 희귀 노드(하수인 피해 증가, 해골전사&마법학자 피해증가)

소환기술 피해증가 아이템 옵션 등의 적용여부 실험이 필요합니다.


마치며

블리자드는 데미지 계산 공식을 찾는 것도 컨텐츠라고 생각하는지 연구하기 너무 어렵네요...

렙도 낮고 여러가지 연구해야 할 부분이 많아서 고점이 얼마나 되는지 확실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런 빌드도 있구나 하고 가볍게 읽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추가)


과다출혈: 보강 및 정수 수급으로 사용합니다.

피의쇄도: 메인 딜링 기술. 5포인트를 투자했는데 아직 빌드가 덜 깎여서 찍어놨습니다. 추후 실험을 통해 하수인 제압딜에 스킬 레벨이 연관이 없다고 밝혀지면 1만 투자해도 되겠습니다.

피안개: 유일한 생존기

망자의 군대: 하수인 체력 세팅이 되기 전, 굳센사령관의 위상과 함께 하수인 생존으로 사용했습니다.
해당 스킬은 시체촉수나 다른 저주 or 뼈감옥 등으로 유동적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망자의서

해골전사: 방어병 업그레이드1 - 방어병 체력이 15% 높아서 채용

마법학자: 냉기 업그레이드1 - 정수 수급을 위해 채용

골렘: 뼈골렘 업그레이드2 - 추가 체력 10%


유니크

죽은예언자의 펜던트: 해당 빌드가 가능한 이유

멘델른의 반지: 필수 유니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하수인 체력증가와 쏠쏠한 고유옵 딜 증가로 채용했습니다.


위상

피바람 보조 위상: 해골 전사 수 증가 (필수)

끈적거리는 보조 위상: 해골 마법학자 수 증가 (필수)

라트마의 선택받은 자의 공격 위상: 피 기술 제압 시 공속 증가 (필수) - 빠른 제압 사이클 및 평타 정수수급

어스름의 위상: 냉기 해골마법학자 평타와 함께 사용 - 정수수급 위상 중에 가장 효율이 좋다고 들었는데 해당 위상이 없어서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하는 고려 해볼 만한 위상

굳센 사령관의 공격 위상: 망자의 군대 채용 시 하수인 공속 증가로 마법학자 정수수급 & 하수인 체력 세팅이 부족할 때 하수인 생존용 -> 정수수급은 생각보다 별로입니다...

생환의 위상: 하수인 딜 증가 - 해당 위상이 제압딜에 영향을 주는 지 실험이 필요합니다.

피칠갑 위상: 피의 쇄도 2번 터짐 - 하수인 피의 쇄도에는 터지지 않는 걸로 확인되었습니다. 본체 딜을 늘리기 위해 사용합니다.

광분한 망자의 공격 위상: 하수인 공속 증가 - 마법학자 정수 수급 (크게 체감 안됨)

굳은 뼈의 방어 위상: 하수인 받는 피해 감소 - 하수인이 잘 죽는 거 같을 때 채용하시면 됩니다.

냉기인도자의 보조 위상: 어스름 위상과 함께 cc기로 자원수급 하기위해 고려해볼만 합니다.

때 이른 죽음의 공격 위상

해당 위상의 경우 0.5%[+] 이렇게 표기 되어 있지만 몇번 실험해본 결과 곱연산인거 같습니다만...
본체의 '흡수딜'에만 '한번' 적용되고 이후 터지는 딜에는 스택이 초기화되어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정복자 보드

아직 빌드가 덜 깎여서 최적화가 많이 부족합니다.

전설 노드는 제압딜 증가 노드와 이교 우두머리 노드를 찍었습니다.

문양도 마찬가지로 제압딜증과 하수인 공격시 적이 받는 피해 최대 12% 피해 증가 문양 이렇게 2개를 사용 중입니다.

제압딜 증가 보드 -> 이교 우두머리

이후 정수 부족이 너무 심해서 뼈 보드에 처치시 최대 정수 증가 & 처치 시 정수수급 희귀 노드까지 찍었습니다.

(+추가) 하수인 피해량 증가와 펜던트 제압딜은 관련이 없어서 정복자 보드는 수정 중에 있습니다.


이상 대략적인 빌드 설명이었고, 다른 좋은 개선 방향이 있으면 많이 공유해주세요:)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디아4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