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그래픽카드] [리뷰] 작으면서 강한 거인 28nm 공정으로 태어난 사파이어 HD 7750 OC D5 그래픽카드

강민건담
조회: 2977
2012-04-16 01:24:31


 

28nm 공정으로 작으면서도 강한 HD7000대 그래픽카드가 다양하게 출시하는 가운데

그중에서도 Nvidia 550 그래픽카드보다 좀더 높은 성능을 낸다는 사파이어 HD7750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민건담입니다.^^/

 

이번에 제가 만나본 그래픽카드, 그중에서도 a/s 서비스 최강으로 불리는 이엠텍 사파이어

HD7750을 1주일정도 사용해 보았습니다.

 

먼저 이엠텍에서 출시한 사파이어 HD7750 그래픽카드 경우에는 기존에 6핀 보조전원이

필요없는 그래픽카드로 출시했다는 점입니다.

 

또한  512개의 스트림 프로세서와 850MHz의 그래픽클럭으로 되어 있으며 D-sub 출력

포트가 없는대신 요즘 많이들 쓰는  DVI , HDMI , DP 포트로 되어 있었습니다.

 

그럼 이엠텍 사파이어 HD7750 그래픽카드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포장상태로는 깔끔하면서도 단순하게 되어있었습니다.

 

이엠텍 사파이어 HD7750 그래픽카드 경우에는 이미 Overclock로 되어있다는 문구와

3년 무상보증 a/s 기간이 표시 되어 있으며, AMD 기술인 아이피니티 지원과 동시에

PCI-Express 3.0 , HDMI 포트 , DVI 포트 , DP 포트를 이용할수 있는 문구 또한 볼수

있었습니다.

 

 

구성품으로는 물론 제일 중요한 HD7750 그래픽카드, 설치 설명서 , D-sub 젠더와 드라이버

cd 가 들어있네요.

 

 

 

이엠텍 사파이어 HD7750 그래픽카드 경우에는 작은 아담한 사이즈인 가로 172mm

세로 110mm 와 높이 34mm 로 되어 있습니다.

 


 

또한 방열판과 쿨링팬이 있는 동시에 28nm 공정으로 나온 그래픽카드인지 6핀 보조전원

포트는 없었습니다.

 


 

출력포트는 총 3개이며, 요즘 제일 마니 쓰는 DVI 포트, HDMI 포트 그리고 아울러

27인치 S-ips 패널을 탑재한 모니터에서 볼수 있는 DP 출력포트 또한 볼수 있었습니다.

 


 

이엠텍 사파이어 HD7750 방열판을 제거한 모습입니다.

 

 

이엠텍 사파이어 HD 7750의 방열판을 분리하면 AMD 기술력인 28nm 공정인 GPU 칩셋을

볼수 있을뿐더러 , 방열판과 그래픽카드 기판과의 접촉을 방지해주는 4개의 메모리폼도

볼수 있었습니다.

 


 

이엠텍 사파이어 HD 7750 그래픽카드에 1GB 램으로는 Hynix GDDR5 메모리가

사용되었네요.

 


 

그외에도 안쪽이 궁금하시는분들을 위해 솔리드 캐피시터, 전원부 페이즈도 촬영해

보았습니다.

 


 

방열판과 쿨링팬 또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쿨링팬 경우에는 2핀 단자로

되어 있엇습니다.

 

쿨링팬도 분리 할려고 했었으나...ㅜ.ㅜ.. 4개중에 1개의 나사가 헛돌아서 분리를

못했어요 흑흑...

 


 

현재 가지고 있는 이엠텍 사파이어 HD6850 비교한 모습입니다.

 


 

구성품중에 일부인 D-sub 모니터를 사용하는 유저도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수

DVI to D-SUB 젠더입니다.

 


 

먼저 이엠텍 HD7750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기 앞서 현재 저 같은 경우에는 P35 메인보드를

사용중입니다.

 

PCI-express 2.0 을 지원하는 슬롯에 장착시켜 사용하였으며, 현재 메인보드에

PCI-express 3.0 슬롯이 없는 유저라도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PCI-express 2.0 슬롯을

이용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

 

 

드라이버 CD 에 들어있는 AMD 드라이버 카달로그 버젼 경우에는 03.00.0868 버젼이

들어 있습니다.
 

동봉된 드라이버 cd 를 설치하다보면 그중에서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설치하겠냐는

창이 뜹니다. 이때 DP포트를 이용해 모니터를 사용하신분들은 "설치" 를 선택하시고

저같이 DP 포트 모니터가 없는 경우에는 "설치 안함"을 선택해주시면됩니다.

 


 

기본적으로 AMD 오버드라이브를 실행시 기본값으로 850 Mhz 클럭 , 4800 Mhz 메모리

클럭으로 잡혀 있으며, 수동 팬 경우에는 55% 풍속으로 잡혀 있었습니다.

 

이때 인터넷 창을 1개 활성시 평균 GPU 온도 경우에는 28도 정도 되었습니다.

 


 


 

물론 여기서 그래픽 오버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오버클럭을 설정이 가능하나...여기서

GPU 클럭 및 메모리 클럭을 오버클럭시.. 디스플레이 오류가 뜨면서 창이 깜빡 현상이

생기더군요.

 

 

아무래도 이엠텍 사파이어 HD7750 그래픽카드 경우에 이미 오버클럭된 제품으로

기본값인 850MHz / 1200MHz 메모리 클럭 이상으로 설정하면 안되며, 이때 동시에

오버클럭을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오류가 나타나면서 그래픽카드에 샤용되는 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걸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이미 오버클럭 되어있으니!!! 오버클럭 하지마세요! =_=///

 

 


 

벤치마크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UNIGINE HEAVEN , 3DMARK11 , FRAPS 를 이용해

다양한 게임을 벤치마크 해보았습니다.

 

이때 모든 벤치마크는 1920 X 1200 해상도로 진행되었으며,

 

벤치마크에 사용된 컴퓨터 사양은

 

VGA - 이엠텍 사파이어 HD7750

CPU - E8500

메인보드 - P35

RAM - 2GB

POWER - 500w

운영체제 - Window7 으로 측정되었습니다.

 


 

UNIGINE ENGINE 을 이용하여 벤치마크를 해본 결과 평균 30.2 프레임을 보여주었으며

최소 프레임으로는 약 16정도 , 최대는 59.6 프레임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1920x1200 해상도로 3DMARK 11 를 이용했을시에는 위에 보시는것처럼

 

보통 (Performance) 1280x720 사이즈로 테스트 할경우에는 위에 사진처럼 2400점 정도가

나왓으며 (Xtreme) 1920x1080 해상도일 경우에는 약 836정도가 나왔네요. ^^/

 

 

문명5 (22개 문명 46개 City) 플레이시에는 평균 30 프레임에서 최대 60 프레임까지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이때 문명 또한 1920 x 1200 해상도에서 (창모드)를 사용하는 동시에 동영상을 같이

볼경우 GPU 온도가 40도까지 올라가는 부분도 확인할수 있었으며, 렉 현상도

없었습니다.

 


 

스트리트 파이터 vs 철권이 빨리 나왔으면 하는 맘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벤치마크를 해본결과, 평균 약 59.45 프레임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배틀필드 3 경우에는 평균 프레임이 약 30 프레임에서 최대 55 프레임까지 도달하는 모습을

확인할수 있는 동시에 최저 프레임은 약 15 정도 나오더군요.

 

배틀필드 3를 플레이 하는데 있어서 조금은 렉이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설정하는부분에서

거의 "높음" 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컴퓨터 사양이 E8500 을 감안하면 문제는 없더군요 ^^/

 

다시 한번 "높음"으로 설정된 몇가지 부분들은 중급정도 내려주니 렉이 확실히 없었습니다.

 

 

 

배트맨 아캄시티 또한 1920x1200 해상도로 설정한뒤 벤치마크를 돌려보았습니다.

 

조금 의외였던 부분인데요...ㅜ.ㅜ 최소 프레임이 1이 나왔습니다.

 

최대 프레임은 49가 나왔으면 평균 프레임은 36이 나오긴 했지만 직접 게임을 플레이

해본결과 게임을 플레이 하는데 있어서 배틀필드 3 과 달리 렉 현상은 없었습니다.

 

 

배틀필드 온라인 경우에는 게임을 플레이 하면서 직접 눈으로 최대 프레임 , 최소 프레임

평균 프레임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때 현재 사진에는 70 프레임이 찍힌 사진이 있는데요. 이 프레임 값은 최대가 아닙니다.

ㅜ.ㅜ. 스샷 찍기 너무 어려워요..

 

제가 배틀필드 온라인을 이엠텍 사파이어 HD7750으로 사용시 최대 프레임은 약 86~90까지

도달하는 모습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평균 70~80 프레임을 보여줬습니다.

 


 

요세 정말 많이들 하는 LOL =_=중독게임!

이 게임에서는 속직히 최저 , 최대 프레임이 없었습니다.

처음 게임을 실행했을때만 프레임이 약 28정도 나오지만, 실질적으로 플레이 하는데

있어서 평균 60 프레임이 나왔습니다.

 

 

고사양 게임 (배틀필드3 , 배트맨 , 문명 5) 게임을 각각 플레이시 GPU 온도는 약 평균

40도~44정도 나왔습니다.

 

그렇다면 다중작업을 했을때 과연 온도가 얼마나 올라갈지 궁금하여 확인해본 결과

위에 사진처럼 LOL , 문명5 , 인터넷창 , 곰플레이어 , 포토샵을 다 켜본 결과!

 

GPU Load 는 83% 를 사용하는 가운데 온도는 49도까지 찍어주는 모습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 팬속도 55% )

 


1주일 정도 이엠텍에서 출시한 중급 HD7000인 사파이어 HD7750을 사용해본 결과

분명 고사양 게임를 플레이 하는데 있어서 충분히 받쳐주는 그래픽이군아 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한 게임을 플레이 하면서 팬속도가 55%로 설정했을시 및 장착시 소음은 없었습니다.

단 여기서 팬속도를 100% 설정시 확실히 소음 납니다. 온도 경우에는 약 2도 정도

내려가더군요.

 

물론 PCI-express 3.0 을 사용할수 있다는 매력과 6핀 보조전원포트가 없다는 장점도

있었습니다. 또한 제가 사용한 파워는 500W 이긴 하지만! 400w~450w 정도면 충분히

사용할수 있으니 걱정마세요~

 

그리고 DP 포트를 사용시 AMD 아이피니티를 만날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러나 크로스파이어는 불가능 하다는 아쉬움과 현재 AMD 드라이버중 XP용은

나오지 않았다는 아쉬움이 있더군요. (2012년 4월 16일)

 

비교적 가격대로 보나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조합했을때 중급이 아닌 중급정도에

해당되는 느낌을 받았으며, 작은 사이즈로 미니 PC를 사용하는 유저들도 사용하는

동시에 아이비브릿지를 준비하는 유저들에게도 방가운 그래픽카드 느낌을 받게된

HD7750 이였습니다 ^^/ 

 

 

 

Lv24 강민건담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