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CPU/RAM] 인텔 코어 7세대 i7-7700 (카비레이크)

아이콘 나유타
조회: 1958
2017-06-01 21:48:35


 

z01.jpg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인텔 코어 7세대 i7-7700 (카비레이크)입니다~ 2017년 6월 1일 현재 다나와 최저가는 314,000원으로 나와 있으며, 오픈마켓 최저가는 339,620원으로 나와 있네요.

DDR4 메모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DDR3보다 약 10% 이상 시스템이 빨라지고, 기본 클럭은 3.60 GHz이며 터보 클럭은  4.20 GHz 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설계 전력(TDP)은 65W이며, 보증기간은 3년입니다.

 

z02.jpg

인텔 공인 대리점 3사는 각각 피씨디렉트, 인텍앤컴퍼니, 코잇입니다. 
명확하지 않은 경로를 통해서 개별 수입된 병행 수입 제품은 공인 3사 A/S 센터를 통한 기술지원 및 A/S가 불가능하므로 인텔 정품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번 공정부터는 기존의 틱톡 프로젝트 대신에 이번의 카비레이크 CPU 부터는 P.A.O 전략 (프로세스-아키텍처-최적화(Process-Architecture-Optimization))을 새로이 도입하였고, 개선된 14나노 TRI-GATE 공정을 적용하였으며, 인텔의 하이퍼쓰레딩, 터보 부스트, 스피드 시프트, 레디 모드, 옵테인 테크놀로지가 적용되었습니다. 낮은 설계 전력으로 소비 전력을 보다 낮추었으며, 썬더볼트 3를 공식 지원하고, DDR4와 DDR3L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지원합니다.
특히 i7-7700 카비레이크는 HD 630이라는 내장 그래픽을 탑재하여 10비트 HEVC, VP9 코덱을 지원하여 4K는 물론 8K의 초고화질 동영상까지 수월하게 재생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가장 신기한 지원 기능은 옵테인 테크놀로지인데, HDD의 성능을 SSD의 속도 만큼이나 끌어 올려주는데 주 목적이 있다죠. 다만 옵테인 메모리의 가격대가 높은 편인지라 옵테인 메모리 + HDD의 조합보다는 그냥 SSD를 부팅용 디스크로 사용하는게 낫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사실 CPU 체험단에 선정될 거라고는 꿈에도 생각 못했습니다. 4세대 CPU인 하스웰 i5-4690을 구입하여 시스템을 조립한 것이 2015년 2월 말쯤으로 그 이후 스카이레이크 시퓨와 보드 체험단이 올라오는 것을 보면서, 올라오는 것을 볼때마다 신청할까 말까 고민만 하고 있었죠. 운좋게 선정된다 하더라도 둘 중에 하나는 직접 구입을 해야 할 텐데~ 안 그래도  i5-4690을 쓰고 있는데 하면서 신청을 안 하고 있다가 이번에 카비레이크 메인보드 체험단이 얼마 전부터 많이 올라오는 것을 보면서, 보드가 당첨되면 시퓨 사면 되고, 시퓨가 되면 보드를 사면 그만이지~ 하고 겨우 신청할 맘이 들어서 보드 체험단이 올라오는 족족 매번 신청을 해보았지만 다 떨어졌었죠.. TㅅT;;;  기분탓인지는 몰라도 20번 이상 떨어진 거 같은데... 그래서 이번의 시퓨 체험단도 당연히 떨어지겠지~!? 라고 생각하면서 그래도 응모는 해보았따~! 꿈은 꿔본 걸로..라고 기분만 내보자 하고 생각하고 있었다가 체험단 당첨 문자 메시지를 받고 엄청
놀랐습니다~^^;;;
꿈이 이루어졌습니다~ 감동의 쓰나미가..TㅅT

 

음, 생각보다 시퓨가 늦게 왔습니다. 체험단 선정되고 나서 2~3일 지난 시점에 메인보드와 소비전력 측정기를 주문했었는데, 3개가 한꺼번에 도착하더군요~
그리고, 주관사에서 오는 줄 알았는데, 다나와에서 보내주셨더군요~
z03.jpg

포장이 꼼꼼하게 잘되어서 도착하였습니다~

 

시피유 정품 박스가 아름답네요~
제품 박스의 전면엔 화려한 디자인의 그림이 들어가 있으며, 하단쪽에 제품명인 i7-7700과 소켓 종류가 LGA1151이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후면엔 "이 박스에는 서말 솔루션이 탑재된 인텔 프로세서가 들어 있습니다. 또한 3년 보증서와 설치 지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기재되어 있네요.
1496316848_84bba5a382c3a901be3e8f1253f4f

상단엔 시퓨가 들여다 보이고, 하단쪽엔 각종 인증 로고가 기재되어 있으며, 왼쪽 측면에는 시리얼 넘버와 함께 인텔 공인 대리점 (주)코잇 정품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맥아피 안티바이러스 90일 무료 이용권도 함께 주나 보네요. 오른쪽 측면에는 제품의 특징에 대하여 4코어, 8개의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인텔 하이퍼 쓰레딩 테크놀로지, 인텔 스마트 캐쉬 테크놀로지, 인텔 옵테인 메모리 지원, DDR4와 DDR3L 지원, 인텔 HD그래픽스 630 이라고 영어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측면의 봉인씰을 자르고 개봉~! 해보면,
1496316883_82b86024593675b284ac9135f8277

i7-7700 CPU와 CPU쿨러, 설명서가 나옵니다.

 

인텔 기쿨 OEM 회사로는 델타, 폭스콘, 니덱이 있다고 하던데, 필자는 델타와 인연이 많나 봅니다~ 4세대 시퓨 2개를 구입했을 적에도 델타였었는데, 이번에도 델타가 걸렸군요~
1496316896_07fb1a67d7397c3665a39162741e1

푸쉬핀 장착 방식으로 4개의 푸쉬핀을 밀어서 장착하는 방식입니다. 팬 커넥터는 4핀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CPU 윗면과 맞닿는 방열판 중앙에는 미리 써멀 구리스가 발라져 있으니, 실수로 손으로 만지는 일이 없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CPU는 투명한 플라스틱? PVC? 재질의 케이스에 고이 담겨 있습니다. 언제 봐도 영롱하고 아름다운 시피유네요~
1496316909_737f5dfeb796c8fb773fc6bc99e35

 

설명서의 뒷쪽엔 시리얼 넘버와 정품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1496316922_515652a83b863d5559cea7d35b15e

생각난 김에 인텔 시퓨 정품 박스를 집합(?)시켜 보았습니다~ㅡㅅㅡ;;; 
정품 스티커도 함께 나란히 나열해보니, 홀로그램 형식으로 바라보는 시선과 빛의 각도에 따라 반짝반짝거리는게 되게 이쁘네욧..

 

카비 지원 보드 중에서 보자마자 찜해놓은 물건이 있긴 하였지만, 설마 직접 구매하게 될 거라고는 미처 생각을 못 했었다죠.. 가격 좀 떨어졌으면 싶었는데, 거의 안 떨어지능....
평범한 보드에는 만족을 못하는 성격인지라 RGB LED 기능이 끝내주는 GIGABYTE GA-H270-GAMING 3 게이밍에디션을 선택하였습니다~ 보드값이 무려 18마넌이 넘는다죠~ 18만원이면 저가형 Z270보드도 살 수 있는 가격대인데..
원래는 컬쳐 캐쉬 쪼금 모아논 걸로 RGB LED 케이스 사는데 보태 쓰려고 했었는데, 보드 사는데 몽땅 털어놓고, RGB LED 케이스 구입은 나~~~~~~~~~~~~~~중에 하는 걸로...
게다가 필수 미션 사항에 소비 전력 측정까지 나와 있다보니, 소비 전력 측정기도 함께 구입하게 되어서 결국 20마넌 넘게 깨졌군요~ㅠ
1496316954_d1d1ce6de3d74ad1ee64f2b7a3354

CPU 장착은, 플라스틱 덮개를 제거하고, 레버를 들어올린 다음에 홀의 형태에 잘 맞추어서 살짝 CPU를 올려 놓은 뒤 다시 레버를 내려서 닫아주면 됩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 CPU : 인텔 코어i7-7세대 7700 (카비레이크) (정품)
♠ 메인보드 : GIGABYTE GA-H270-GAMING 3 게이밍에디션 피씨디렉트
♠ RAM : GeIL DDR4 8G PC4-17000 CL15 SUPER LUCE BLACK 블루
♠ VGA : VGA : ZOTAC GTX960 OC D5 2GB
♠ SSD : WD Green SSD (120GB)
♠ HDD : Seagate 2TB Barracuda ST2000DM001 (SATA3/7200/64M) x2
            Toshiba 3TB DT01ACA300
♠ POWER : Antec VP500P V2 A-PFC 
1496316973_3ee74f71e568e4b9bed41fefa5465

 

우선 CPU-Z로 테스트해보았습니다.
TDP(설계 전력)은 역시 65W로 표시되며 14nm 테크놀로지에 3차 캐쉬는 8MB로 정상 표기되어 있습니다.
1496316991_54c9177b34ee5406b05d5eb059c69

1.79 버전과 1.78 버전이 각각 벤치 테스트 수치가 다르게 나오더군요.
1.79 버전에서는 싱글 쓰레드가 483, 멀티 쓰레드가 2425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i7-6700K보다 높은 수치로군요. 1.78 버전에서는 각각 2076과 8706으로 측정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시네벤치 테스트 결과입니다. 
873cb로 측정되었으며, i7-4770K (822cb) 보다 많이 앞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496317007_7c8acb616330ad590da0194f1e663

 

아래의 스샷은 3DMARK (Time Spy와 Fire Strike) 측정 테스트 결과입니다.
1496317018_c0fba1be7ee339c8241c674462142

 

다음으로 PCMARK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4444 스코어가 나왔으며, 4K 게이밍 PC보다 상위 라인으로 표시되어 나오네요.
1496317030_e9d382ecd4fe54793b58813b8eab9

 

음으로 SUPER PI 테스트 결과입니다. 
측정 단위는 1M와 32M으로 실시하였으며, 각각 09.260s / 8m 44.228s으로 측정되었습니다.
1496317039_bf3773bef57fdb8357212f191c206

 

 다음은 CPU의 영향을 많이 받는 프로그램 중의 하나로 7ZIP 파일 압축 테스트입니다.  
1496317049_ff349b569cf2bf5d4e4d5157696ea

 

그리고나서 게임 벤치를 실시해보았습니다.
 

1. GTA5 : 
VGA의 한계로 (GTX 960) 적정 선에서 타협하여 중상옵으로 세팅한 다음에 플레이해보았습니다.
1496317103_7fd59436fa03af46222006b9f02b0

 

 

GTX 960으로 풀옵은 무리가 있겠지만 중상옵으로 타협할 경우 매끄러운 진행이 가능합니다.

게임 진행중 CPU 점유율도 낮은 편이고, CPU 온도도 역시 낮은 편입니다.


1496317122_0d9b42f2b583f31c953e5cd5cfe87

 


2. 라오툼 (라이즈 오브 툼레이더)

(1) 그래픽 설정 : 높음 (벤치 테스트)
1496317141_95c50a38d1168387a84bb35779462

 

 

 

라오툼의 경우 전작인 툼레이더 리부트에 비해 극단적으로 요구 사양이 올라가 버린 게임으로 GTX 960으로는 풀옵은 무리가 있고, 상옵으로 플레이하게 되면 평균 60 프레임 까지는 되지 않지만 최소 40 프레임 이상 나오기에 플레이하기에는 무리가 없습니다.

 

(2) 가장 높음 (벤치 테스트)
1496317157_54dddc4bd2f48f470ba7b16ebdb9c

게임을 처음으로 실행할 적에만 CPU 점유율이 높은 편이고, 게임 중에는 10% 내외의 점유율을 보이며 게임 실행중 소비 전력은 120~140W가 나옵니다.

 


3. 더 위쳐3 (상옵)
1496317171_b052180a20f702ee64546084989d0

위쳐3 역시 비디오카드 램 요구량이 많은 게임인 탓에 그래픽 설정 매우 높음은 GTX 960으로는 무리가 있고, 적정선에서 타협하여 높음으로 플레이해보았습니다. 평균적으로 45프레임 정도 나오는 듯 합니다

 

 

1496317187_f8003703bd2f9d9e8f10fae280a40

위쳐3의 경우 소비 전력이 좀더 높게 나오네요.

 

 

4. Street Fighter 5 
(프랩스와 충돌이 나서 프레임 표시도 안 나오고, 스샷도 안 찍히는 문제점이 있네요..)
60 프레임 이상 유지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5. 배트맨 아캄 나이트
(VGA 메모리 사용량을 지나치게 많이 요구하는 고사양 게임으로 GTX 960으로는 중옵으로 타협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1496317210_c03f10e8241c1225c86d461c7cc16

 

 

1496317221_16588e8eacc2e92a6a9bcef1b37a5

 

 

6. 바이오하자드 레벨레이션 2 (레지던트 이블 REVELATIONS 2) 
1496317234_96eda386f9f37dbee14f967b42fc2

레벨레이션2의 경우 PC 요구 사양은 그리 높지 않아 보였는데, CPU 점유율은 꽤 나오는 편이군요.

 

 

 

유튜브 동영상 업로드 작업시의 소비 전력을 측정해보니 약 50~65W로 측정되었으며, 시네 벤치 테스트를 할 적에는 110~140W, 3DMARK 테스트 중에는 144~210W로 나오는 군요.
1496317250_b3fca4508968ca9ef3b0ad6e692c4

 

다음으로 내장그래픽 - HD630의 성능에 대하여 벤치 테스트를 실시해보았습니다.
시네 벤치에서 OpenGL 테스트 결과 45.60 fps를 기록하였습니다.
1496317262_6c4670de9c002947bfac4fff15f7f

 

HD630의 장점은 3D 게임 실행능력보다는 무엇보다 4K는 물론이고 8K 동영상 까지 지원하며, 특히 4K HEVC 10비트 동영상을 완벽하게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아래에 보이는 스샷은 각각 4K HEVC 8비트와 10비트 동영상을 재생한 결과입니다. 4K HEVC 10비트 동영상의 경우, 제대로 지원해주는 하드웨어 없이는 설령 i7 CPU라고 하더라도 CPU 점유율이 100% 가까이 미친 듯이 치솟게 만드는 영상입니다.
카비레이크 이전 세대인 스카이레이크의 경우 넷상에 떠도는 소문에 의하면 HEVC 8비트 동영상은 어느 정도 재생이 되지만 10비트 영상은 렉이 심하게 발생한다고 하더군요. 반면에 카비레이크 내장 그래픽인 HD610, HD630의 경우 HEVC 10비트 동영상까지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아래의 스샷에서 알 수 있듯이 4K HEVC 10비트 동영상 재생시 CPU 점유율이 한 자리 수치에 불과합니다. 다만 4K HEVC 10비트 동영상을 제대로 재생시키려면 우선 다음팟 플레이어를 설치하고, 그리고나서 LAV 필터를 설치, 팟플 설정에 들어가서 하드웨어 가속 부분을 미리 체크해주어야 합니다.
1496317292_113658e9e38cbce453480a091d8fa

 

다음으로 HD630의 게임 성능 테스트입니다~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로 스트리트 파이터 5탄의 바로 전작입니다. 옵션 설정을 낮음으로 설정하여 테스트한 결과 A등급 판정을 받았고, 평균 72프레임(1080P FULL HD 기준)이 나왔습니다.
1496317317_fae3854a380ecc4a24c5a0451bd4f

높음으로 설정한 경우엔 B등급으로 평균 48프레임으로 양호한 수치가 나왔습니다.

동영상 녹화도 해보았는데, 내장 그래픽 테스트하느라고 지포스 GTX 960을 분리했더니, 지포스 Experience로는 동영상 녹화가 안되는군요~ 어쩔 수 없이 반디캠 평가판으로 녹화를 진행해봤는데, 지포스 Experience로 동영상 녹화할 적엔 프레임 감소가 거의 보이지 않았는데, 반디캠의 경우 녹화를 하게 되면 10 프레임 이상 떨어지는군요.

 

옵션 높음으로 설정하여 플레이 하게 되면 1080p Full HD 기준으로 최소 프레임 41, 최대 프레임 50 이상 나오며, 녹화시 프레임 감소로 인하여 720P로 설정하여 플레이해본 결과 녹화만하지 않으면 60 프레임 유지, 녹화를 진행하게 되면 50 프레임으로 떨어집니다.

 

z30.jpg

 

HD630의 게이밍 성능에 대해서 처음엔 그닥 기대하지 않았었는데, 의외로 상당한 수준으로 보여지네요. 예전에 나온 게임이긴 하지만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를 플레이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었습니다.

 

하스웰 시리즈 이후 스카이레이크 세대부터 설계 전력이 특히 감소하여 카비레이크 i7-7700의 경우 불과 65W 수준에 불과하여, 보다 낮은 소비 전력과 낮은 발열의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7700과 7700K 중에서 TDP가 좀더 높게 설계된 7700K의 경우 오버클럭 유저들의 취향에 맞을 듯 하고, 오버 까지는 필요없다고 생각되는 사용자의 경우 기본 성능이 우수하고 좀더 낮은 설계 전력(TDP)를 가진 7700을 선택하면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i7-7700 (카비레이크)은 현재 최저가는 314,000원으로 나와 있으며, 오픈마켓 최저가는 339,620원으로 이전 세대인 스카이레이크와 하스웰이 출시되어 판매될 적에 비하면 상당히 가격대가 내려갔고, DDR4 메모리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DDR3보다 약 10% 이상 빨라진 시스템에 기본 클럭은 3.60 GHz이며 터보 클럭은  4.20 GHz 까지 상승하게 되면서 보다 강화된 하이퍼 쓰레딩 기술로 낮은 CPU 점유율로 편리한 다중 작업이 가능해지는 특징을 지녔으며, 비록 아직 대중화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지도 모르지만 특히 썬더볼트 3와 옵테인 메모리라는 신 기술을 지원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i7-7700 카비레이크는 HD 630이라는 내장 그래픽을 탑재하여 10비트 HEVC, VP9 코덱을 지원하여 4K는 물론 8K의 초고화질 동영상까지 수월하게 재생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게임 구동에 있어서도 몇 년 전에 나온 게임 정도는 수월하게 플레이가 가능하더군요~

 

이상으로 필드테스트를 마치겠습니다.
체험단으로 선정해주신 주관사인 인텔 공인 대리점(코잇, 명성코퍼레이션)과 다나와 관계자 분께 감사드리며, 이 글을 읽어주시는 인벤의 모든 회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 사용기는 인텔과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이 사용기는 명성코퍼레이션와(과)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experienceReviewIncrease.php?p=LtbYsujIC

Lv87 나유타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