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케이스/파워] FSP HYPER K 500W 80PLUS 파워서플라이

IT산업
조회: 1217
2018-07-22 01:18:45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FSP HYPER K 500W 80PLUS 파워서플라이 입니다. 정격 500W 파워서플라이로, +12V 출력은 싱글레일로 설계되었으며 12V 가용력을 91% 까지 지원합니다. 80Plus 스탠다드 인증을 받음으로써 최대 85% 효율을 보여주며 Active PFC 설계로 효율을 향상시킨 제품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원문 : https://blog.naver.com/dev0en/221323819812



FSP HYPER K 500W 80PLUS 파워서플라이 제품박스와 구성품




HEXA 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던 FSP社의 실질적인 후속 가성비 모델인 HYPER K 시리즈입니다. 230V EU Standard 인증 제품으로 최대 85% 효율과 +12V 싱글레일 출력이 최대 91% = 456W 의 출력을 보여줍니다. 





박스 측면에는 'FSPLifeStyle' 이라는 홈페이지 주소가 적혀있는데 FSP 그룹의 다양한 소식을 접해볼 수 있습니다. 링크로 접속하면 글로벌 홈페이지가 아닌 한국지사로 연결되는데 내용을 살펴보면 국내 하드웨어 커뮤니티와의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스를 열면 'ENJOY YOUR NEW DEVICE' 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은 디테일이지만 꽤 신선합니다. 




설명서는 FSP 제품답게 100% 한글로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타사 보급형 제품에서 만나볼 수 있었던 불친절한 설명서들과는 다르게 꼭 읽어볼만한 내용들만 깔끔하게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구성품입니다. '파워서플라이' , '전원 케이블' , '케이스 고정 나사'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FSP HYPER K 500W 80PLUS 파워서플라이 제품외형




FSP HYPER K 500W 80PLUS 파워서플라이의 제품 외형 입니다. 사실 보급형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표면 도장 품질이나 마감이 상당히 우수한 편입니다. 




열배출을 위한 발열 구멍은 벌집을 떠올리게 하는 육각형 모양으로 타공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AC 전원 코드 케이블은 중국의 파워 케이블 제조회사인 Isheng Electronics社의 것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이하게 철판에 알 수 없는 여러개의 홀이 보이는데 무슨 기능을 하는지 알 수가 없네요. 의미없이 뚫어 놓지는 않았을텐데 아무래도 이물질이 들어가기 쉬워보입니다. 




색다르게 제품의 성능을 함축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스펙 시트가 양 사이드에 붙여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하단에 붙어 있습니다. 제조 일자도 명시되어 있어서 차후 A/S 를 받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보호 그릴 안에는 120mm 쿨링팬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FSP HYPER K 500W 80PLUS 파워서플라이 케이블




주 전원 케이블만 슬리빙 처리가 되어있고, 나머지 케이블은 보호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 단선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근데 케이블의 소재에 따라 양면성이 있는게 보호처리가 되지 않은 일반 케이블이 선 정리에는 아주 탁월합니다...


20+4PIN 케이블의 총 길이는 550mm, 두께는 18AWG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케이블은 20+4PIN x 1 / CPU 4+4 PIN x 1 / PCI-E 6+2PIN x 2EA / SATA x 3EA / SATA x 3EA / IDE 4PIN + FlOPPY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FSP HYPER K 500W 80PLUS 파워서플라이 제품내부






YateLoon社의 'D12SH-12' 120mm 슬리브 베어링 방식의 쿨링팬 입니다. 슬리브 베어링은 베어링에 오일을 발라서 팬의 회전을 돕는데 일정 시간 사용 후 오일이 증발하면 베어링과 샤프트의 마찰음으로 소음이 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EMI 필터부 입니다. 제품의 노이즈 제거와 내부 부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하단에는 접지가 되어 있네요.




안전 퓨즈 회로. 제품이 불안정한 전압에 놓여있을 때 PC 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2차 EMI 필터부입니다. 교류 전기를 외부에서 파워로 입력받기 때문에 다른 전기 장치의 간섭현상을 피하기 위해서 교류 입력 부분에는 이렇게 EMI 필터가 단계별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교류-직류(AC-DC) 정류부 입니다. EMI 필터를 거친 교류 전원을 3.3V, 5V, 12V 등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기 전에 임시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는 부분입니다. 정류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된 전압이 앞에 보이는 커다란 정류 콘덴서를 통해 직류 전압 파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죠.







보급형 제품에 많이 사용되는 TEAPO社의 270uf - 420v - 85'C 캐패시터가 사용되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직류-직류(DC-DC) 스위칭 변환부 입니다. 직류 전압은 변압기를 통해서 변환

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바로 여기서 스위칭 회로의 필요성이 발생합니다.


효율과 관계 있는 듀얼 포워드 컨버터 트랜스포머 방식의 변압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장 마지막 부분인, 출력 필터 및 출력부입니다. 직류-직류 스위칭 변환부에서 변환되고 1차적으로 필터링된 직류 전원을 추가적으로 다시 필터링해서 깨끗한 전원을 얻어내기 위한 부분입니다. 


인덕터/솔레노이드 코일과 주변 회로에 위치한 콘덴서의 품질에 따라서 리플/노이즈 값과 전압의 변동폭의 결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출력 전원이 얼마나 깨끗한지는 코일 잘 감겨있는가에 따라 판별할 수 있습니다. 




2차측 회로와 주변 컨트롤 회로에 쓰이는 콘덴서는 CapXon社 와 TEAPO社 제품들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호 회로 칩셋입니다. Silicon Touch社의 'PS229' 입니다. OVP(과전압) / OCP(과전류) / SCP(단락보호) 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FSP HYPER K 500W 80PLUS 파워서플라이 사용해보기




80Plus.org 의 테스트 결과입니다. 실용영역 구간인 50% 로드시 87.22%의 최대 효율을 보여줍니다. 평균 효율은 85.57% 로 80Plus 인증을 받았습니다.






아이들 상태의 +3.3V , +5V , +12V 전압변동율입니다. 인텔이 제시한 전압 변동율 데드라인 기준을 지키고 있음을 볼 수가 있습니다.




30분간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한 +3.3V , +5V , +12V  전압변동폭 입니다. 인텔이 제시한 전압 변동율 데드라인 기준을 지키고 있음을 볼 수가 있습니다.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20% 부하시 온도는 37'C 부근에 머물고 있는 양호한 상태를 보여주었습니다.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20% 부하시 온도는 35~40dB 의 양호한 상태를 보여주었습니다. 




컴퓨터 전원 플러그를 뽑아두지 않거나 멀티탭 스위치를 OFF 시켜두지 않는 이상 약간의 대기전력을 소모합니다. 대기 전력을 측정해보니 0.2W~0.3W 사이의 양호한 값이 측정되었습니다. 





FSP HYPER K 500W 80PLUS 파워서플라이 마무리하며




80Plus 스탠다드 인증과 +12V 싱글레일 설계로 가용력 91% 까지 지원하는 제품입니다. 실용영역 구간인 50% 로드시 87.22%의 최대 효율을 보여줍니다. 평균 효율은 85.57% 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압변동폭은 인텔이 제시한 전압 변동율 데드라인 기준을 지키고 있음을 볼 수가 있음을 볼 수가 있습니다.


캐패시터는 TEAPO社의 270uf - 420v -85'C 를 사용하고 있고 DC-DC 스위칭 변환부는 듀얼 포워드 컨버터 트랜스포머 방식의 변압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변 컨트롤 회로에 사용되는 보조 콘덴서는 CapXon社 와 TEAPO社 제품들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YateLoon社의 'D12SH-12' 120mm 슬리브 베어링 방식의 쿨링팬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슬리브 베어링은 초기에는 풀로드시에도 적은 소음수준을 보여주고 있지만 구조가 베어링에 오일을 발라서 팬의 회전을 돕는데 일정 시간 사용 후 오일이 증발하면 베어링과 샤프트의 마찰음으로 소음이 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Lv12 IT산업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