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gle

10추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팁] 정글 기본상식들

아이콘 버닛
댓글: 26 개
조회: 19524
추천: 23
2021-07-15 13:57:23
[라인전 단계]
<공통>
- 빅웨이브 다이브 당하는 각이면 빅웨이브 보일 때부터 동선 그쪽으로 설계
- 빅웨이브 다이브 시도하는 각 나오면 먹던거 집어치우고 달리기 (미드는 상대 정글 개입 확률이 높아서 애매하면 x)
- 포골 3칸이하 라인가서 전령풀고 풀채굴
- 갱킹후 프리징라인-그대로, 초기화-마나와 라인 푸시 속도 따라서 결정, 미는라인-무조건 밀고 복귀
- 상대가 위나 아래에 보이면 반대에서 오브젝트, 카정, 와드제거 등 당장 눈에 확 띄지 않는 이득이라도 챙기기
- 아무리 갱갱갱이라도 최소 반 캠프는 비운 상태 유지(아니면 아무리 라인 같이 밀어도 유효타를 못 먹이면 성장차남)
- 생존기 없는 챔피언은 최소 점멸 정도는 체크하기
- 갱 갈 곳이 없으면 상대 정글이랑 주기적으로 아이컨택하기
- 6렙 직전이면 갱 각 나와도 상대가 6일 수 있기 때문에 빨리 6찍고 갱 가는게 안전
- 3렙 vs 4렙 구도면 챔프가 상대적으로 1대1 약해도 잘 싸우면 4렙이 이길 수 있음

<상체>
- 미드나 탑 솔킬+ 상대 노텔이거나 정글 상성우위면 8분 전령
- 르블랑, 카밀 같이 갱 호응 최상급 라이너면 2분할 갱킹으로 상대 플 빼고 플 쿨일때 다시 한 번 더 찌르기

<탑>
- 불리한 상성의 탑 라이너가 프리징 당하면 라인 지워주기(저티어는 cs 먹으면 지랄하는 경우 많음)
- 탑 바위게 타이밍 킬 내면 죽텔죽 각 보기(성공시 라인전 끝나버림)
- 점화텔, 점멸점화 같은 한 쪽은 부러졌을때 복구가 힘든 매치업이면 무조건 초반 동선은 그쪽으로

<미드>
- 미드 집 타이밍에 마나가 없는데 손해보는 라인이면 라인 밀어주기(마찬가지로 저티어는 먹으면 발광하는 경우 많음)
- 미드는 킬 내기 힘들더라도 딜갱, 스펠갱 한 번에 주도권이 바뀔 수도 있음
- 상대 미드가 로밍형챔 우리팀 미드가 그 카운터를 뽑았다면 무조건 미드 시팅 후 1차타워 최대한 빨리 날리기

<바텀>
- 바텀 킬 내고 상대 1차타워 옆 부쉬에서 대기하다가 생각없이 복귀하는 원딜이나 서폿 죽이기
- 정글 아래위 반반 나눠먹기 구도에서 양쪽 정글이 유효타를 먹일 수 있을 때 보통 아랫쪽을 먹은 정글이 유리(리턴이 2배)
- 바텀이 힘들면 전령 풀어서 미드로 스왑시키기
- 룰루, 유미 서폿같이 갱호응이 구려도 중후반 리턴이 좋은 바텀구도면 억지갱 시도보단 적당한 시팅에 상체겜 시간끌기
- 팀 미드가 라인클리어가 좋고, 상대 탑이 푸시가 안 좋으면 빨리 밀고 탑으로 보내는 것도 좋음



[오브젝트]
- 용을 치는데 상대 정글이 안 보이면 먹고 라이너 주도권에 따라 전령으로 달리던가 바텀갱
- 전령은 안전한 쪽으로 끌어치기
- 바다용 쪽에서 한타가 일어날 분위기면 유리하더라도 용 먼저 때리기 금지
- 초반에 가장 효율좋은 용은 바다용
- 장로를 먹으면 바론은 공짜(교환구도가 아니라 하나를 먹으면 상대가 다 살아나는 타이밍일 때)
- 바론 트라이시 이미 시야를 한참전부터 먹었고 상대 와드가 제어와드에 감지된 상태라면 와드 지우기 금지



[시야]
- 와드는 상대 정글 깊숙히 박을 수록 이득
- 갱킹시 레드나 블루 버프몹부터 렌즈 돌리면서 지나가기(특히 바텀쪽 갱킹 시도시 필수)
- 라인이 하프일때 땅굴부쉬 들어가도 안 들킴(시야 감각과 리플레이를 통해서 숙달되어야함)
- 바텀 삼거리 부쉬에서 조금 더 나가서 대기해도 강가쪽 부쉬 와드에 안 걸림
- 폭탄열매로 벽넘어서 바로 부쉬에 들어가면 강가에 있는 시야에 안 걸림(벽에는 시야가 없음)
- 1분 안으로 상대 정글이나 서폿이 집을 갔다는 사실을 알았으면 위치가 보이기 전까지 갱킹시 조심할 것



[운영]
- 중반부터 정글 운영의 핵심은 시야싸움 후 잘라먹고 머리수 차이로 오브젝트나 타워 일방적으로 이득보기
- 빈 라인 받아먹기(특히 팀에 로밍형 미드, cs는 깔끔하게 다 챙기기)
- 전령 풀 곳을 모르겠으면 무조건 미드
- 상대가 불리하나 수성능력이 탁월하면 바론으로 싸움유도
- 중반부터 블루나 레드는 팀에서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사람에게
- 라인전이후는 서폿이랑 시야잡거나 상대 짤라먹기 유도 
- 사이드 강한 챔피언이 팀에 있으면 미드와 사이드챔 사이 어느곳에서 시야잡고 정글먹기(인간와드 역할도 괜찮)
- 후반 갔을 때 불리한 조합이면 빠른 4용 운영



[소규모 교전]
- 교전능력이 부족하면 미드나 탑으로가서 라인전을 연습할 것
- cc가 걸려서 확실히 죽일 수 있는 상대가 1순위, 지속딜 가능한 딜러 2순위, 스킬이 다 빠진 딜러 3순위(쿨이 긴 챔프)
  (비에고, 카타 등등은 0순위)
- 상대 초시계 체크
- 교전 구도를 바꿔버리는 궁극기 체크(킨드궁, 바드궁 , 쉔궁, 카서스궁 등등)



[기타]
- 제어와드 귀환시 2개 구매, 첫귀환하면 렌즈로 교환(50초 귀환 렌즈 교환도 좋음)
- 갱킹형 vs 성장형 구도가 나오면 교전 동수 킬 교환시 성장형이 무조건 유리
- 캠프차이가 많이 나도 역으로 렙이 딸린다면 킬, 어시, 라인 경험치를 많이 빨은것
- 탱정글이 아닌 이상 무조건 초반 킬은 정글이 제일 리턴이 큼
- 카정시 자신이 성장형이면 다 먹고, 상대도 성장형이면 칼부나 늑대 작은거 남기는게 유리(다 먹고 또 턴다는 마인드)
- 다양한 정글 스타일 짬뽕시키기 보다 롤모델 한 명 잡아서 그 스타일 모방, 발전시키기
- 인게임에서 게임의 유불리 유무를 가장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건 스코어가 아니라 전반적인 레벨임(제압골이 있기 때문)


 이건 개인적인 생각인데 팀에 고혈을 빨아먹는 라이너든 정글러든 이를 욕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고혈 빨아서 캐리 못하는 애들은 결국 내려가게 되어있고, 팀이 소팔고 땅팔아서 버텨주니 중후반에 큰 리턴을 가지고 오는 라이너는 티어가 올라갑니다. 괜히 자신이 겪은 한 판만 보고 저새끼 탑 나서스하네 정글 이블린하네 이럴 필요가 없어요. 차라리 해보지도 않은 라인이나 판수도 많은데 승률 30퍼인 자신도 아는 패작픽 하는게 더 문제가 아닌가 싶네요.
 

 롤 커뮤인만큼 제가 써 놓은 것 보다 많이 아시는 분도 많겠지만 이 정도만 알고 실천해도 어느 챔피언을 하든 메타에 따라서 판수만 다를 뿐 누구나 다이아는 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