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정을 두려워 하면 안 됨라이너로 비유하자면 카정치다 죽는 건 포탑에 빅 웨이브 몰아넣다 죽는 거랑 비슷함(죽밀라가 아닌 유리한 상황에서 밀어넣고 타워 딜교-다이브각 잡는 것을 말함)
제압 먹고 되도 않게 기어 들어가서 대주라는 소리가 아니라 상대 정글 1대1 이길 수 있는 상황 혹은 반반이라면 자꾸 동선 예측하면서 상대 정글 괴롭히라는 소리임 그러면 무조건 자기가 먼저 선턴이 나오고 갱킹을 먼저 가는 상황이 나옴 또 한 편으로 이렇게 상대 정글 괴롭히면 상대편 라이너가 힘듦 왜냐면 이걸 커버를 가야하는 상황이 만들어 지기 때문임
카정을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내가 카정을 들어갔는데 상대 정글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면 상대 정글이 있을 곳은 딱 하나임 미드 라인을 기준으로 반 가르기 해서 내가 위면 상대는 무조건 아래임 불변의 진리(예외라면 장시간 대기 땅굴 정도인데 캠프 다 있는 상태에서 같은 방향 땅굴 성공은 빅웨이브까지 박아넣는게 아니라면 오히려 정글 입장은 손해임)
정글 챔피언도 특정 조건이 아니라면 고혈 빨아먹는 픽이 아니라 1~2티어 교전 강한챔을 해야하는 이유임 이걸 잘 하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낮은 티어에서 한 번만 유리한 위치에 놓이면 그냥 게임 내내 자신이 게임의 템포를 주도할 수 있음.
2. 시야의 마술사 연습
대부분 정글들은 와드 시야, 챔피언 시야, 미니언 시야 어디까지 생각 안 하면서 하는 사람 많음. 물론 마이너한 부분은 맞음 이거 알아도 갱 속도 차이 1초밖에 안 남. 그런데 이걸 알면 생각보다 큰 도움이 됨
일례로 바텀 웨이브가 하프에 있을 때 벽에 딱 붙어서 부쉬에 가면 안 보임. 혹은 바텀 강가 부쉬에 와드가 있을 때 블루팀 3거리 부쉬 밖에 나와 있어도 안 보임 이런 사소한 정보들을 이용해서 상대 바텀에게 저게 왜 저기서 나와?와 같은 반응을 만드는 예리한 갱킹을 설계해야함. 그리고 맵 상으로 2티모미터만큼 가까운 거리라도 실제 초반 교전에선 평타 한 대 못 쳐서 못 따는 경우가 많음 이런 상황을 방지하려면 조금이라도 가까운 곳에서 대기하는게 좋음 이러려면 상대 시야를 확인하는 연습을 해야하는데 이건 게임 플레이 하면서 상대 무빙을 의식하면서 내가 시야에 발각 되었는지 체크하고, 애매하다 싶었으면 리플레이 보면서 확실하게 검증하면 됨
3. 피 관리 연습
정글이 라이너와 가장 큰 차이를 지니는 점을 말한다면 피관리임. 라이너는 체력 수급 기술이 없다면 무조건 라인전을 진행함에 따라서 피가 빠지지만 정글은 강타와 정글 아이템 때문에 정글링이 좋은 챔피언은 대부분 체력이 참 따라서 자신의 체력으로 어디까지 상대 딜을 받아내고 갱킹으로 피가 빠지는지 데이터 베이스를 누적시키는게 좋음. 라이너는 자신의 체력이 곧 라인전 압박감으로 직결되지만 정글은 그런 것이 크지 않기 때문에 그걸 적극 활용해서 정글러와 상대 라이너와의 체력 교환은 곧 강제로 주도권을 가져옴을 의미함
4. 공격과 방어의 개념
정글의 방어 혹은 수비라는 개념은 대부분의 정글러가 모르는 개념이라고 생각함. 정글은 정글링이 매우 중요함 라이너의 cs 수급과 같음. 그런데 보통 정글이라 하면 갱 가서 상대 죽이는 것을 메인 임무로 생각함 하지만 진짜 불리한 상황에서 성장차이 안 나고 뒤집는 정글의 경우 자신의 정글에 '방어'라는 개념이 있음 말 그대로 내가 상대 정글을 카정을 친다면 상대 정글이 카정을 올 수도 있음 이거에 대한 방어를 하는거임. 아니면 내가 불리한 입장이면 최적 동선이 아니라 시간적인 손해가 있더라도 그 쪽 캠프를 먼저 털어놓고 안전한 쪽을 먹는 방식. 한편으로 카정을 시도할 때 반대편 우리 정글을 미리 비워놓거나 시야를 잡아두어서 상대 정글 동선을 2지선다로 확정짓는 이런 식으로. 이 개념이 잡힌다면 아무리 불리해도 상대 정글에 비해 크게 밀리지 않는 성장력을 가질 수 있음.
5. 변칙과 성장
불리한 상황일 때 무지성 풀캠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불리한데 무지성 풀캠을 한다는 의미는 둘 중 하나로 볼 수 있음. 그냥 하기 귀찮아서 캠프나 돌다 15gg하겠다. 혹은 내가 무지성 풀캠만 잘 되어도 게임에 기회가 생길 만큼 성장성이 좋은 반면에 상대는 그렇지 않은 챔이다. 그러니 자신과 상대 정글 챔피언의 포텐셜을 생각하면서 자신의 포텐셜이 낮다면 무지성같아도 변칙적으로 갱킹을 찔러서 라이너한테 빌붙는게 맞고, 자신이 에코처럼 후반 캐리력이 좋은 챔피언이면 풀캠을 도는 것도 좋은 선택
6. 도주기, 도주경로 확인
갱킹의 성공 여부가 중요한 경우는 상대의 위치만큼이나 생존기 여부도 중요함. 예를들어 아무리 상대 르블랑이 우리 포탑 앞에서 타워 때려도 ewr다 살아있으면 잡아내기 힘듦 따라서 뻘갱킹으로 위치 노출되고 손해보기 싫으면 무조건 상대 도주기를 확인해야함. 대부분 도주기는 초반 쿨타임이 길기 때문에 이를 적극 활용해야 상대를 깔끔하게 잡아냄. 그리고 상대의 예상 도주경로를 미리 계산하고 대처법을 세워두고 가야함. 제일 중요한건 상대 라이너가 우리 라이너 혹은 나를 뚫어내는 방향으로 도주를 계산하는 경우를 가장 의식해야함. 대표적으로 세트나 사이온 같은 챔들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