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연구한 내용을 트리로 정리해서 올리는 정식 빌드입니다. 이 글의 간략판이 가이드에 업로드 되었습니다.
(22.01.05 추가) 최신 연구를 반영한 글을 올렸습니다. 이 글을 먼저 읽으신 후 최근 글을 읽어주시면 됩니다.
I. 도입
극신 즉발 환류 트리에 대한 평가는 대부분 신속악세에 돌대를 채용하여 비교적 저렴한 대신 극치 즉발 환류에 비해 딜이 떨어진다는 "가성비" 세팅이라는 인식이 대부분입니다. 여기에 대한 반발로 나온 것이 이 두가지 트리 입니다. 즉, 오늘 소개할 트리는 극신 즉발 환류의 딜을 올리기 위한 트리이며,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극신 즉발보다 더 많은 투자와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는 세팅이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극치즉발수준의 딜에 근접할 수 있을걸로 기대됩니다.
두가지 트리 모두 기존의 극신 즉발 환류가 가진 한계점, 즉 높은 쿨감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부 활용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을 부분적으로나마 해결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극신 즉발 환류는 6개의 스킬을 순차적으로 돌릴 경우 시전시간만으로 이미 리액트 쿨이 돌아와버려 더이상 스킬을 굴릴 수 없었습니다. 극신의 포텐셜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두가지 접근 방식이 오늘 소개할 트리라 보시면 됩니다. 블레이즈 강화는 이름 그대로 블레이즈에 집중하였고, 즉발 마나번의 경우 극치즉발과 동일하게 7딜기를 극신즉발의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하의 글에서는 제가 이전에 쓴 가이드글 수준의 기본적인 내용은 알고 있다는 전제로 진행하겠습니다.
II. 블레이즈 강화
1. 개념
인벤닉 Cassiel님이 제안하신 빌드입니다. 블레이즈 강화란 기존의 극신즉발환류 트리에 기반하며, 블레이즈를 주력으로 삼은 트리입니다. 컨셉은 "블레이즈의 빠른 쿨을 활용하여 쿨이 돌 때마다 넣어주어 dps를 상승시키자" 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블레이즈에 멸화와 홍염을 최대한 부여해야 합니다.
2. 스킬
기존의 극신즉발환류의 기본적인 트리(이하 기본 트리)와 비슷합니다. 다만, 블레이즈를 12렙, 헤일을 11렙으로 낮춰줍니다. 예시적으로 가장 고점이 높은 트리를 제시하자면,
12 (피해 증폭 - 불꽃 확장 - 약점 포착) 전설 출혈
11 (빠른 준비 - 진화된 해일 - 약점 포착) 전설 풍요, 희귀 질풍
12 (빠른 준비 or 넓은 공격 - 용암 지대 or 전격 지대 - 약점 포착) 전설 질풍
12 (빠른 준비 - 꿰뚫는 일격 - 얼음 송곳 or 서리 폭격) 영웅 질풍
12 (빠른 준비 - 강화된 일격 - 안정된 크리스탈 or 충격파) 영웅 풍요, 전설 집중
12 (넓은 공격 - 피할 수 없는 운명 - 마력 증폭) 영웅 질풍
10 (빠른 준비 - 재빠른 발놀림 - 보호막 강화) 영웅 정화, 영웅 수호, ...
4 (날렵한 시전) 영웅 속행, 영웅 정화, ...
트포작 순서는 빨간색 - 주황색 - 파란색 각 6개씩 4를 주시면 됩니다.
3. 템 세팅
1) 보석
보석도 기본트리와 비슷합니다. 보석 레벨간의 간격 역시 기본 트리와 같습니다. 다만 블레이즈 멸화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고, 돌풍 홍염을 블레이즈 홍염으로 바꾸며, 그 중요도도 두번째로 높습니다. 정리하자면 최종 스코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써있는 순서대로 높은 것을 주시면 됩니다.
홍염: 리액트10, 블레이즈10, 리버스10, 아애5~6, 천벌5~6
멸화: 전부 10이 최고. 우선순위는
=
>
=
>
>
입니다.
2) 장비, 각인 및 특성
6악이나 2지4악 모두 가능합니다. 각인은 기본트리와 동일하며, 특성은 목걸이 신치, 나머지 신속으로 갑니다.
4. 운영
운영에서 기본트리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트리는 6개 스킬을 전부 순서대로 눌렀다면, 이 트리는 블레이즈를 제외한 나머지 5개를 원래 순서대로 누릅니다. 그리고 블레이즈가 중간중간에 들어갑니다.
일반적인 경우 블레이즈 쿨이 돌면 돌리던 사이클보다 우선적으로 블레이즈를 넣어야 합니다. 이는 끝마, 중독 상관없습니다. 단. 몹이 곧 도망간다든가 해서 딜을 더 못넣을거 같다면 사이클을 돌리는게 이득일 겁니다. 이런 식의 판단은 경험과 숙련도가 필요로 합니다.
리액트의 룬의 경우, 솔플이나 서폿이 없는 파티인 경우에는 집중룬을 채택합니다. 안그러면 마나가 부족합니다. 반면에 서폿이 있으면 오히려 마나가 너무 빨리 찰수도 있습니다. 그때는 다른 것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참고 영상으로 지난번 글에도 올렸던 영상을 다시 올립니다. 저도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만만한 쿤겔 갔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r4-DTQlIo
III. 극신 즉발 마나번
1. 개념
극신 즉발 마나번은 극치 즉발 마나번의 방식을 그대로 차용했습니다. 즉, 극신에서 7딜스킬을 사용하는 트리입니다. 끝마 유지는 혹한 지배력 강화를 사용하며, 혹한을 사이클 안에 넣어서 지속적으로 마나를 소비합니다.
2. 스킬
기존의 기본 트리에서 손길이 빠지고 혹한이 들어옵니다. 트포작 자체는 극치 즉발 마나번 방식과 동일합니다. 스킬 트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10 (피해 증폭 - 불꽃 확장 - 약점 포착) 전설 출혈
11 (빠른 준비 - 진화된 해일 - 약점 포착) 영웅 풍요, 전설 풍요, 희귀 질풍
12 (정신강화 or 깨달음 - 지배력 강화 - 강화된 일격) 전설 풍요, 전설 집중
12 (빠른 준비 or 넓은 공격 - 용암 지대 or 전격 지대 - 약점 포착) 전설 질풍
12 (빠른 준비 - 꿰뚫는 일격 - 얼음 송곳 or 서리 폭격) 영웅 질풍
12 (빠른 준비 - 강화된 일격 - 안정된 크리스탈 or 충격파) 영웅 풍요
12 (넓은 공격 - 피할 수 없는 운명 - 마력 증폭) 영웅 질풍
4 (날렵한 시전 or 빠른 준비) 전설 광분
트포작 순서는 빨간색 - 주황색 - 파란색 각 6개씩 4를 주시면 됩니다.
3. 템 세팅
1) 보석
보석도 기본트리와 비슷합니다. 보석 레벨간의 간격 역시 기본 트리와 같습니다. 다만 블레이즈 멸화와 돌풍 홍염을 제거하고, 혹한 홍염 멸화를 주면 됩니다. 그리고 혹한 홍염은 리액트-2 입니다. 정리하자면 최종 스코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써있는 순서대로 높은 것을 주시면 됩니다.
홍염: 리액트10, 리버스10, 혹한8, 아애5~6, 천벌5~6
멸화: 전부 10이 최고. 우선순위는
>
=
>
>
=
>
입니다.
2) 장비, 각인 및 특성
6악이나 2지4악 모두 가능합니다. 각인은 기본트리와 동일하며, 특성은 목걸이 신치, 나머지 신속으로 갑니다.
손길을 채택하지 않아 마나중독시에 돌대 풀효율이 달성되지 않으나, 7딜기를 사용하여 결과적으론 비슷한 딜이 나옵니다. 오히려 이를 피하고자 돌대를 저받이나 질증으로 바꿀 경우 전체적인 dps가 낮아집니다.
4. 운영
운영은 기본 트리의 사이클처럼 운영하되 좀 더 길어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마나중독 시에는 손길이 없어 돌대 풀효율이 아니므로 돌풍으로 광분을 먼저 터트리고 딜하시면 됩니다. 다만, 광분이 안터졌다고 돌풍을 다시 기다릴 필요는 없습니다. 그거 안해도 기본 트리의 마나중독에서의 딜과 거의 비슷합니다. 그리고 블레이즈 후 바로 혹한을 사용하여 마나 소모를 빠르게 해 주세요.
블레이즈 강화와 마찬가지로 이 트리도 솔플이나 서폿 없는 파티에서 마나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그때에는 혹한의 1트포를 정신 강화로 바꾸거나 집중룬을 낍니다. 어차피 1트포는 트포작을 안할 거니까요.
참고 영상으로 지난번에 연구글에서 올렸던 실제 운영 영상입니다. 마찬가지로 익숙하지 않아 쿤겔로 찍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gCv2Q_V3CA
IV. 종합 평가
이 부분은 양자간. 기본트리와의 비교로 평가하겠습니다.
1. 블레이즈 강화의 장단점 및 평가
1) 장점
① 기본 트리를 준용하는 만큼 유연성이 좋습니다. 핵심 스킬들을 제외하면 원하는대로 바꾸시면 됩니다.
② 손길을 사용하는 만큼 끝마 유지나 방어면에서 안정적이며, 이는 기본트리와 동일합니다.
2) 단점
① 세팅비가 기본 트리보다 비싸집니다. 특히 블레이즈를 유의미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8홍염 이상은 필요하고 멸화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습니다.
② 딜하는 방식이 익숙하면서도 익숙하지 않은, 적응이 필요합니다. 딜사이클에서 벗어난 스킬에 신경써야 합니다.
③ 위 2번에서 지적했다시피 딜사이클에서 벗어난 스킬을 신경써야 하므포 더이상 무지성 피아노는 불가능합니다.
2. 극신 즉발 마나번의 장단점 및 평가
1) 장점
① 딜 상승률 자체는 가장 높습니다. 물론 큰 차이는 아닙니다만... 아래 dps를 참고하세요.
② 블레이즈 강화에 비해 쌉니다. 혹한 홍염 8까지만 올리면 되서 부담은 덜합니다.
③ 딜사이클을 순서대로 굴리는 기본 트리의 스타일이 그대로 살아있어 무지성 피아노가 가능합니다.
2) 단점
①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손길을 채택하지 않아 방어면은 물론 끝마시 마나회복속도가 그대로이기 때문에 사이클이 멈추었을 경우 중독으로 바뀌는 속도가 빠릅니다.
② 위 1의 이유로 다른 트리에 비해 딜각을 더 잘, 끈질기게 봐야 합니다. 즉 운용 난이도가 높습니다.
③ 유연성이 떨어집니다. 위 스킬트리에서 천벌은 바꿀 수 없습니다. 천벌이 혹한 쿨 돌아가는 사이에 사용하는 만큼, 이를 대체할 스킬도 그만큼 쿨이 길면서 강해야 하는데, 캐스팅기를 제외하면 그런 스킬이 없습니다.
3. 종합 평가
딜적으로는 7딜기가 분명 우월합니다. 하지만 그 차이는 미비할 뿐더러 둘 다 잠재능력은 충분하다 보여집니다. 따라서 양자간의 우열을 가릴 순 없고 플레이 스타일 차이 정도로만 보시면 됩니다. 기존의 무지성 피아노치기가 좋다 하기는 분은 7딜기를, 좀 더 안정적인 운영을 원하신다면 블레이즈 강화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저라면 둘 다 가겠습니다. 템 세팅이나 이런 부분에서 크게 차이나는거도 아니니 손길이 필요한 곳에서는 블레이즈 강화를, 손길이 필요없거나 익숙한 레이드라면 7딜기를 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