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아세계관 보면 대칭임
대표적으로 질서vs혼돈, 빛vs어둠, 루페온vs이그하람 빛강선vs둠강선 등등...
질서의세계-오르페우스-아크라시아(별) << 태초의 빛 아크로 루페온이 만듬
근데 이그하람은 소멸하지 않는 아크야말로 혼돈의 결정체라 생각해 아크에 욕심을 가짐
무질서의 세계 -혼돈의세계(오르페우스같은개념)-페트라니아(별), 심연 등등
이건 이그하람이 만든게아니고 알아서생김
세계관에는 이렇게 말함
"질서의세계에서 무한한 생명의 힘 아크가 탄생했던 것처럼, 혼돈의 세계에서도 질서를 가진 어둠의 생명이 탄생했다."
이 문구는 아크말고 뭔가가 있고, 그 에너지로 페트라니아가 만들어졌다는거임.
이 '무언가'를 '태초의 어둠' 이라고 하겠음. (정식명칭은 따로있을거같긴함)
보통 아크를 태초의 빛 이라고 세계관에서 말하기 때문임
세계관은 이 태초의 어둠을 어떻게든 모호하게 감추어 놓으려고 애쓴 흔적이 보임..
하지만 대칭관계에 있는 아크라시아와 페트라니아 처럼, 혼돈의 세계에도 아크와 비슷한 다른 존재가 있을거라고 생각됨.
질서속의 혼돈의결정체에 욕심을 갖게된 이그하람처럼,
루페온도 혼돈속의 질서의결정체, '무언가'에 욕심을 갖게 되었다고봄.
루페온은 세계를 만든 원동력이기도 하지만 세계를 멸망시킬수도 있는 아크를 두려워하기 때문임.
그래서 라제니스한테 아크열쇠 맡겨놓고 자리를 비웠고, 그사실을 아는 카마인은 루페온이 빛과 어둠, 질서와 혼돈을 모두 가지기위해 '이 세상'에서 사라졌다고 얘기하지.
'이세상'의 정의는 뭘까? 아크라시아는 아닐거임. 피조물인 아브렐슈드도 베아트리스도 아크라시아 밖으로 나갈수 있는데, 루페온정도의 스케일이면 오르페시아를 떠났다고 보는게 맞겠지.
세계관의 이 멘트처럼 태초의 어둠'무언가'는 아크와 공명함. 이그하람은 아크를 갈망하며 아크라시아 침공 (태초의전쟁)
루페온은 '무언가'를 갈망하며 페트라니아 ㄱㄱ
앞에서 언급한 태초의 전쟁은 그'무언가'랑 아크랑 공명해서 만들어진 균열로 쳐들어간거임.
'무언가'랑 아크는 정작 만나려고 하니 모든게 무로 돌아가며 멸망각이 보이자 루페온 이그하람은 휴전을함
휴전하면서 균열 땜질할때 이그하람이 아크에 힘을 보탠다고 나오는데 아마 '무언가'의 힘을 보탰다고봄
그래서 에버그레이스와 가디언들은 저 문구 처럼, 아크+'무언가' 로 만들어진 생명체임. 중립적인 성향. 그래서 혼돈속성도 있어서 걔네들은 알아서 페트라니아로 넘어감. 지금 아크라시아에 남아있는 애들은 중립속성 혹은 질서속성임.
아크와 '무언가'는 만나면 파멸적인 에너지를 내며 무로 돌아가는 성질이 꼭 물질, 반물질을 닮았음.
세계관에 대칭이 있다고 가정하고 읽었을 때의 뇌피셜이니 심심풀이로 봐주길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