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카드 코인 습득에 대하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컴퓨터 화면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번 원카드 코인 수급은 매우 복잡한 방식으로 구동되는것 같습니다.
시간에 따라 코인을 주고, 등수에 따라 코인을 주고, 심지어 4등은 코인조차 주지 않는 ㅗ 구조.
이 구조가 어떻게 구동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저는 여러 가설을 설정했습니다.
당연히 정확하지 않음으로 그냥 가볍게 봐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우선, 이 실험을 위해 신뢰구간 90%에 오차범위 5%로 표본 271개를 추출했습니다. 여기서 4등한 경우는 제외하였습니다. 자료는 코인습득량, 원카드한시간, 방 인구수, 등수를 측정하였습니다.
여기서 원카드 한 시간이 매우 애매합니다... 제 컴퓨터가 이상한지 원기가 이상한지 시간 타이머가 없어졌다 등장했다 해서...
시간표시가 없다;;
그래서 제가 직접 원카드 카드를 배부한 순간부터 끝난 시간까지의 시간을 직접 측정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실제 방 입장부터 원카드가 끝난 기간은 당연히 제가 측정한 시간보다 일정 시간 더 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 시간은 전부 일정한 시간을 가지기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여 그냥 제가 측정했습니다.
자 그렇다면!
1. 코인(C)은 시간(t), 방 인구수(1대3, 1대2, 1대1을 말함; P), 등수(R)에 각각 영향을 받는가?
이에 대해 상관성을 구하고자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구했습니다. 왜 피어슨이 아닌 스피어만으로 하였나면, 선형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제외하고 단조적인 관계가 있는지를 알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코인, 시간, 등수만 서로 상관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방 인구수와 별개로 그냥 등수가 높으면 코인을 많이 주는 것이죠.
산포도를 보더라도 방 인구수는 별로 상관없고 등수에 따라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그렇다면 코인(C)과 시간(t)과 등수(R)은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다행이도 코인과 시간에 관해서는 1차의 선형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비선형이 아니기 때문에 편하게 코인을 모으면 됩니다.
다음은, 코인과 시간과 등수에 관하여 초당 코인 포인트(100포인트당 1코인임)을 얻을 수 있는 "코인함수"를 추론하였다. 코인함수 C(t, R)에서 t는 시간, R은 등수입니다.
1등에 대하여 코인함수는 "C(t, 1)=16.825t + 315.724" (t에 관하여 90% 신뢰구간은 (16.69,16.96))
2등에 대하여 코인함수는 "C(t, 2)=11.154t + 205.283" (t에 관하여 90% 신뢰구간은 (11.063,11.246))
3등에 대하여 코인함수는 "C(t, 3)=5.616t + 100.104" (t에 관하여 90% 신뢰구간은 (5.554,5.678))
4등은 당연히 0개입니다(C(t, 4)=0).
(회귀분석에서 1등은 R^2=.998, 2등은 R^2=.998, 3등은 R^2=.996으로 결정계수가 매우 높았다. 그리고 전부 P=.000으로 α<0.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남.)
그렇다면, 등수에 대하여 등간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자. 여기서 등간성은 3등, 2등, 1등의 기울기가 서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가?
1등과 2등에 대한 비율은 약 66.3%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1등과 3등에 대한 비율은 약 33.38%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오차범위를 감안하여 대략 1등 대비 2등은 66.6%, 3등은 33.3%의 코인을 습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등수와 관련하여 코인별 습득량은 등간성을 가집니다. 그리고 유저들이 생각한 것이 맞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아니 그래서 얼마동안 해야 코인 다모으는데?
방 인원수 및 내가 몇등할지 전부 확률이 같다고 가정할 경우의 코인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C(t)=10.223t + 207.607"
이럴 경우 코인 300개를 모으는데 필요한 시간은 대략 평균 48분 30초 가량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원카드 시작 대기 시간을 고려하지 못했고, 1대1방이 등장할 확률이 더 낮기 때문에 실제로는 평균 48분보다 더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4. 그렇다면, 방 인원수 별 우리는 어떤 전략을 취해야 현명한가?
당연히 방 인원수가 없을수록 시간을 끄는 것이 기회비용상 이득입니다. 왜냐하면 1등부터 4등까지 코인 습득에 있어서 등간성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1대3의 방에서는 최대한 빨리 끝내고, 1대1의 방에서 최대한 시간을 끄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만약 등간성이 보장되지 않았다면, 다양한 코인 습득 전략이 나왔을겁니다. 이 부분이 아쉽
<요약>
1. 코인을 다 모으는데 최소 (48분+원카드 대기시간)만큼 필요하다.
2. 방 인원수와 관계없이 코인은 시간과 등수에 의해 결정된다.
3. 방 인원수가 적을수록 코인을 모으기 유리하다.
4. 코인은 1등 대비 2등이 66.6%, 3등이 33.3% 4등이 0%를 먹는 것으로 추정된다.
가독성 씹망이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4번에 대한 관찰이 좀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충해서 "방 인원수별 코인전략"글을 다시 쓰도록 하겠습니다.
표본데이터를 업로드 실패했습니다.
표본수집 도와준 유타씨 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