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에 앞서 작성자의 편의상 경어가 아닌 평어를 사용함을 알려드립니다. 이번에 모험가 법사를 모두 소개하는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지난번에 작성했던 썬콜 게시글을 좀 수정해서 올립니다. 추가적으로 스킬설명 정도(다만 흥미로운 체라의 전이에 관한 내용도 있으니 읽는 재미는 있으실겁니다.)의 내용이 들어갈 듯 싶네요.
1.썬콜 아크메이지 소개
아크메이지(Archimage)라는 단어의 뜻을 우선 살펴보자면, arch- 라는 접두사는 '위대한', '큰' ,'군주'정도의 뜻을 지니고 있으며, mage라는 단어는 고어로 '마법사'라는 뜻이니 결국 아크메이지는 '위대한 마법사', '대마법사' 정도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듯하다. 실제로 4차전직관인 사제 그리토 역시 아크메이지 전직시 '최고의 마법사'라고 말하며, 자신의 힘 뿐만이 아닌 '자연의 힘'까지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특히 썬콜 아크메이지는 '얼음'과 '번개' 계열의 마법을 극한으로 끌어올려 사용하는 마법사라고 할 수 있다.
2.썬콜 아크메이지의 특성 소개
본격적인 육성법에 들어가기에 앞서, 썬콜 아크메이지라는 직업의 특성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현 시점에서, 썬콜 아크메이지는 '다수 공격'에 있어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직업군이다. 2차에는 '선더볼트'
가 있고 3차에는 '아이스스트라이크'가 있어 빠르고 편리한 필드사냥이 가능하다. 또한 4차의 썬콜 아크메이지의
최종적인 주스킬인 '체인라이트닝'은 '전이'라는 특이한 방식으로 공격하는 다수스킬이며, '전이'만 잘 된다면,
일반필드에서의 범위는 에반의 '플레임휠'을 제외하고는 가장 넓다고 할 수 있다.
썬콜 아크메이지의 강점이 가장 두드러지는 컨텐츠는 바로 '몬스터파크'이다. 일반필드사냥과는 달리
몬스터파크에서는 '아케인에임'의 효과가 두드러지며, 동급템을 기준으로 보았을때, 마법사 직업군
내에서는 단연코 몬스터파크 뎀딜 1위이다. 또한 전직업으로 확대해 보아도, 최상위권인것은 분명하다.
잠깐동안 흥하다가 사라진 아스완 헬사냥팟에서도 썬콜은 최상위권이었다. 필자기준으로 2배때 마리당 평균 35만씩의
경험치가 들어왔으니까.
그러나 한가지 염두에 두어야할 것은 보스나 1:1에서의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쿰정도를 제외하고는 썬콜 아크메이지가 솔플을 하려면 상당한 투자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아카이럼의 경우는 데미지만 잘 뽑으면 법사라서 많이 데려간다.
지난번 글보다 약간 더 세부적으로 정리해보자면, 현 썬콜 아크메이지의 위치는
필드 다수공격 ★★★★☆
몬스터파크/아스완과 같은 체력 많은 곳에서의 다수공격 ★★★★★
자쿰 ★★★★☆/카오스자쿰 ★★★☆
혼테일 ★★★/카오스혼테일 ★★☆
반레온 ★★☆
핑크빈 ★★☆
아카이럼 ★★★★★
여제 각성단장 ★★★★
무릉도장(랭킹모드) ★★☆
정도가 되겠다.
제 1편이었던, 불독 아크메이지에 비해서 설명이 자세한건 필자가 아무래도 썬콜만 근 9년째 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가장 많은 시간을 들여서 해왔으니 가장 상세할 수 밖에 없다.
3.스탯의 배분
썬콜 아크메이지는 마법사 직업군인 만큼 '마력'과 'INT', 'LUK'에 영향을 받는다.
통상 마법사 전용 장비들의 필요 럭 수치는 '필요레벨 + 3'이다.
물론 여제장비나 메이플장비같은 예외적인 장비들도 있다.
보통 많은 수의 썬콜 아크메이지들이 착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무기는 '리버스/타임리스' 무기가 되겠다.
이 '리버스/타임리스'의 럭수치 제한은 완드의 경우 120, 스태프의 경우 123이며, 결국 마법사는 필요 럭수치를
충족시키는 범위 내에서만 럭을 배분하면 된다.
예외적으로 130제 장비는 럭 160을 필요로하며, 140제 장비는 럭 170을 필요로한다.
럭 수치를 충족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여러 공용장비에 붙는 럭과 잠재능력의 올스탯%, 그리고 여러스킬을
이용하는 것이다. 자신의 자본에 따라 럭을 아예 찍지 않을수도 있으며, 최종적으로 마법사의 럭은 만렙이
되었을때 23이 되므로 23까지는 찍어도 무방하다 할 수 있겠다. 다만, 그 이상 찍었다고 해서 망했다고
낙담하지 말자. 어차피 본인만 좋으면 되는 것이니까.


▲이 두 0차 스킬은 공짜로 스탯을 올릴 수 있는 스킬이다. 이 두 스킬만으로도 럭 20을 채울 수 있다.
이 외에 럭 수치를 충족시키기 위해 착용하는 장비들을 알아보자.(중급을 기준으로 하겠다.)
모자 - 카오스 자쿰의 투구(럭 21)
펜던트 - 혼테일의 목걸이/카오스 혼테일의 목걸이(럭 22), 라이징 썬 펜던트(럭 16)
망토 - 75제 이상의 망토에 망토행운주문서 60% 작
방패 - 메이플실드/메이플매지션실드에 방패행운주문서 60% 작
벨트 - 기술시대 럭 벨트에 악세사리행운주문서 60% 작
반지 - 기술시대 럭 반지, 이벤트 반지 류
안경 - 금이 간 안경, 미카엘라의 안경, 켄타의 물안경에 악세사리행운주문서 60% 작
어깨장식 - 행운의 로얄/샤이니 로얄숄더(각각 럭9/럭10)
(매력30달성후) - 대난투 이론편/실전편(각각 럭3/럭5)
이 정도가 럭 수치를 채울 수 있는 장비들이라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럭수치 123을 충족시키는건 그다지 어렵지
않으며, 여제장비를 착용하기 위한 럭수치 170을 달성하는 것이 약간 까다롭게 느껴질 수 있다.
4.스킬트리
필자의 주관적인 스킬트리이니 절대적이라고 생각하지 말자.

▲만렙을 달성했을시 필수적인 스킬을 모두 찍었을때의 모습.
1)1차 매지션
에너지 볼트 1 - 매직 클로 20 - MP 증가 10 - 매직 가드 3 - 매직 아머 15 - 매직 가드 15 - 에너지 볼트 7
초반에는 매직가드보다는 매직아머의 효율이 훨씬 좋다. 마나 물약도 아낄 수 있고.
2)2차 위자드
텔레포트1 - 선더 볼트 1 - 스펠 마스터리 20 - 선더 볼트 20 - MP 이터 3 - 메디테이션 20 - 하이 위즈덤 10
- MP 이터 20 - 텔레포트 20 - 슬로우 10 - 콜드 빔 1
마나통때문에 다시 키우는 유저라던가, 이미 자본이 충분한 유저들의 경우 저렙인트템과 하이 위즈덤을 빨리 찍어서 인트를 늘리게 되면 나름대로 효과가 상당하다. 다만, 그렇지 않은경우엔(저렙 인트템과 병행이 없을시) 하이 위즈덤을 빨리 찍어봐야 뭐 얼마나 차이나겠나 싶기때문에 이러한 스킬트리를 썼다.
사족을 붙이자면, 필자의 캐릭터는 하이위즈덤이 없을때부터 육성했지만, (카투/카혼목 끼고) 노 뻥 마나통이 4.3만이다. 물론 저렙때 인트템 끼지도 않았다. 이 정도 마나통이면, 크게 불편할 일도 없다. (뭐 여제를 뛴다면야 마나통 클수록 유리한건 사실이다.)
3)3차 메이지
아이스 스트라이크 1 - 매직 크리티컬 1, 텔레포트 마스터리1,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1 - 익스트림 매직 1,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3 - 매직 부스터 6 -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20 - 아이스 스트라이크 20 -
매직 크리티컬 20 - 매직 부스터 20 - 텔레포트 마스터리 10 - 익스트림 매직 10 - 엘리멘탈 리셋 10 -
아이스 데몬 10 - 썬더 스피어 11 - 씰 20
(씰이나 썬더 스피어중 아무거나 포기해도 상관없다.)
아스보다 엠플을 먼저 마스터하는 것은 간단하다 아스 레벨 1의 %뎀은 122% 4타이고, 마스터시 %뎀은 160%로
4타이다. 고로 계산해보면 31%정도의 데미지 증가가 이루어진다. 그러면 엠플을 보자. 엠플은 마스터시
데미지 50%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물론 마나소비도 같이 증가한다지만, 이게 원킬 빨리뜨는 스킬트리이다.
4)4차 아크메이지
필수 공통 스킬트리부분
체인 라이트닝 1, 아케인 에임 1, 글레이셜 체인 1 - 마스터매직 10 - 이후 두가지 스킬트리
(4-1)선 체인 라이트닝
체인 라이트닝 30 - 아케인 에임 30 - 인피니티 30
(4-2)선 아케인 에임
아케인 에임 30 - 체인 라이트닝 30 - 인피니티 30
이후에도 두가지의 스킬트리를 택할 수 있는데, 기호에 따라 메이플 용사를 먼저 찍을 수도, 글레이셜 체인을
먼저 찍을 수도 있다. 메이플 용사의 경우 마스터리 북이 상당히 비싼편이므로, 자본에 여유가 없다면
글레이셜 체인을 먼저 찍는것을 권장한다. 어차피 몬스터파크/아스완 같은 파티컨텐츠에서는 파티원 중 한명은 메용을 19이상 찍었을 확률이 높다.
그렇게 메용과 글체까지 다 찍고 나면, 엘퀴네스를 1 찍고(상태 내성) 블리자드를 마스터한 후, 엘퀴네스를
마스터하고, 남는 스킬포인트는 용사의 의지 5와 나머지는 빅뱅에 몰아주면 되겠다.
5.주요스킬 소개
1)1차 매지션
-매직가드

1차때 배워 평생 써먹는 법사의 생존기반스킬 매직가드.
받는 데미지의 일정%만큼 HP대신 MP를 소모하여 막는 스킬이다.
지난 연합의 진격 패치때 모험가 법사의 매직가드는 버프해제되지 않도록 수정되었다.
-매직클로


1차 마법사의 공격스킬. 여러번의 패치를 거쳐 1타겟에서 3타겟으로 조정되었다.
1차 스킬임을 감안하면, 공속/공격범위/사정거리 등은 쓸만하다.
2)2차 위자드
-선더 볼트
2차 때에는 주 다수스킬. 최대 6마리를 공격할 수 있는 '범위형' 공격이다.
다른 특이사항은 없다.
-슬로우


▲시전이펙트(좌)와 몬스터에 적용되는 이펙트(우)
마스터시 이동속도는 -80이나 떨어뜨릴 수 있으며, 보스에도 적용되는 디버프스킬이다.
최근에는 아스완 헬팟에서 많이 애용되었으며, 이 외에도 핑크빈에서 사용하게 되는 스킬이다.
-메디테이션

▲시전이펙트(좌)와 파티원에게 적용되는 이펙트(우)
앜메계열의 유일한 파티버프이지만, 솔직히 마력30의 효과는 마법사군 아니면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는 자버프라고 봐도 좋다. 다만, 파티버프라는 이유로 뿌리기와 중첩되지 않는다.
-콜드빔

플레임에로우가 1타겟에서 3타겟으로 확장된 것에 비해서, 썬콜의 경우엔 워낙에 썬더 볼트가 편리하므로,
콜드빔은 여전히 1타겟을 유지하고 있다. 공격한 적을 빙결하는 능력이 있다. 2차때에 포기하게 되는 스킬.
-스펠 마스터리
마스터시 숙련도 50%와 마력 10을 추가해주는 스킬이다. 다른 특기사항은 없다.
3)3차 메이지
-아이스스트라이크



▲시전이펙트1(제일 위), 시전이펙트2(위에서 두번째), 시전이펙트3(아래에서 두번째), 피격이펙트(맨아래)
3차시 사용하는 주요 공격스킬 중 하나로, 주로 복잡한 층간 형태의 지형의 사냥터에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는 치명적오류, 빨코2 등에서 이용된다. 역시 얼음속성 스킬답게 빙결 기능은 보너스.
빙결에 저정도 범위의 스킬이기 때문에 매크로들이 썬콜을 애용한다.
(덕분에 썬콜 = 매크로라는 공식이 은연중에 생겼다. =_=)
범위를 비교하자면, 익스플로젼에 비해서는 상하범위가 약간 짧고, 대신 좌우범위가 약간 길다.
-엘리멘탈리셋

사실상 메이플에서 폐기처분된 속성을 무효화시키기 위한 스킬.
주로 보스전에서 계속 써야하는 스킬이다.
-씰


▲시전이펙트(좌)와 몬스터에게 적용된 이펙트(우)
설명만 보면, 정말 좋은 스킬이다 95% 확률로 몬스터의 스킬, 마법공격을 봉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직크래쉬와 다크바인드와는 다르게 보스에 적용할 수 없다.
그때문에 대난투 외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스킬로, 개편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매직부스터

마법공격속도를 2단계 상승시켜주는 자버프스킬. 다만 타직업의 부스터류 스킬에 비해 딜레이가 굉장히 긴 편이므로 주로 펫을 이용해서 사용하거나, 줄에 매달려서 버프를 사용하게 된다.
-텔레포트마스터리

▲사용이펙트(좌)와 피격이펙트(우)
빅뱅패치가 되면서 추가됬었던 스킬이다. 텔레포트를 이용해서 보조적인 공격을 하는 스킬인데,
실상 스탠스/회피율 기능이 없는거나 마찬가지인 모험가 마법사군에게 있어서 이 스킬은 거의 일반필드 전용스킬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물론 보스시에도 써먹을 수는 있으나, 배틀메이지와 같은 누적뎀 효과를 볼 수 없다.
-앨리멘탈 엠플리피케이션
이 스킬은 패시브 스킬이므로 이펙트가 없다. 150%만큼의 MP를 사용하여, 150%의 데미지를 얻는 스킬이다.
무기상수가 1.00인 마법사군에게 있어서는 필수적인 스킬. 비숍의 경우 엠플대신 홀리포커스를 가지고 있다.
-익스트림매직(썬,콜)
불독의 익스트림매직에 비해서 좀 잉여로운 효과를 지니고 있다.
체력이 30%이하로 남은 (일반)몬스터를 확률적으로 즉사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솔직한 심정으로 이 효과 체감도 안온다.
마스터시 지속피해상태거나 상태이상에 걸린 적에게 10%만큼의 추가데미지를 주게되는 점은 불독의 익스트림 매직과 같은데, 이 효과때문에 의미가 있다.
-아이스데몬


▲시전이펙트(좌)와 발사체이펙트(중), 그리고 피격이펙트(우)
1자형 맵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는 3차 불독의 주공격 스킬. C-2같은 맵에서 주로 사용하고,
3차 몬스터파크, 로미오와 줄리엣 파티퀘스트 시에도 자주 사용한다. 도트데미지가 존재하는 몇 안되는
썬콜 아크메이지의 스킬이다.
-썬더스피어
3차 썬콜의 1:1 공격기인 썬더스피어다. 그러나 대단히 느린 공격속도를 보여주므로 그냥 포기하는 스킬이 되겠다.
4)4차 아크메이지
-체인 라이트닝
▲시전이펙트(좌)와 전이이펙트(중), 피격이펙트(우)
썬콜 아크메이지의 주 공격스킬. 체인 라이트닝은 '전이'를 통한 다수공격기라는 점이 특기할만 하며, 이 전이 방식으로 인하여 일반사냥터에서는 엄청난 범위를 보여주게된다. 전이가능한 최대 거리는 첫 사거리의 절반이다. 타겟수는 최대 5마리로 약간 적지만, 상당한 공격속도와 추가 크리티컬 확률로 이를 커버한다. 다만 이 전이조건이 좀 특이하기 때문에, 혼테일같은 보스에서는 제대로 전이가 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에반의 '블레이즈'도 마찬가지이다.
※체라의 전이조건에 대한 부가설명
1)우선 체라의 전이가능한 최대범위는 앞서 말했듯이 첫 체라 타격 범위의 절반이다.
또한, 보통 유저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체라는 몹과 몹을 기준으로 전이되지 않는다.
2)일종의 '전이중심'이란 곳을 기점으로 삼아 전이가 일어나게된다.
이 '전이중심'은 크기가 작은 몬스터들의 경우에는 그냥 그 몹의 기하학적 중심과 일치한다.
3)다만, 특정맵 안에서 원정대로 진행되는 보스들. 즉, 자쿰과 혼테일, 핑크빈, 여제의 경우엔
이 '전이중심'이 맵 중앙에 위치한다.
자쿰의 경우에는 이 '전이중심'과 팔 사이의 간격이 체라의 '전이범위'보다 짧기에 팔간의 전이가 가능하다.
또한 자쿰의 경우에서 체라가 단순한 전이가 아니라는걸 알 수 있는데, 위에서부터 아래의 순서대로 자쿰의 팔에 번호를 매겨보자 L(left)1, L2, L3, L4, R(right)1, R2, R3, R4라고 각 팔에 번호를 매겨놓자. (번호가 작을수록 위에 있는 팔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약 체라의 전이조건이 단순이 자동으로 가장 가까운 물체를 타격하는 것이라면 L1을 쳤을시 그냥 L1 -> L2 -> L3 -> L4로 전이가 되어야한다.
그런데 실제의 경우는 어떨까? L1 -> L2 -> R3 -> R4이다. 이는 맵 중심이 자쿰의 '전이중심'이 되기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각 팔의 전이중심은 같은 곳이기 때문에 이같은 전이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반면, 혼테일의 경우 체라가 머리를 3개 다 치지 못하고, 그저 1개의 머리만 칠 수 있다. 이는 혼테일의 '전이중심'이 맵중앙에 위치하는데, 맵중앙~머리 사이의 거리가 체라의 '전이범위'보다 길기 때문이다. 대신, 도중에 와이번이 소환되면, 체라가 바로 꺾이면서, 와이번을 제거하게 되는것도 이같은 전이시스템때문인것이다.
핑크빈에서도 이 '전이중심'때문에 재밌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맵 중앙쪽에서 오른쪽 바깥 석상을 체라로 치다가 '미니빈'이 소환되면, 체라가 갑자기 석상에서 맵 중앙의 미니빈을 향해 돌진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또한 '전이중심'이 '맵중앙'이며, 맵중앙~미니빈간 거리가 '전이범위'보다 짧기에 일어나는 일종의 기현상인 것이다.

▲인소야닷컴의 '크리민스'님이 올려주셨던 스샷이다. 이런 전이는 '전이중심'이 '맵중심'에 위치하고, '미니빈'과 '전이중심' 사이의 거리가 '전이범위'안에 들어있으므로 전이조건이 충족되었기 때문이다.
필자도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인소야닷컴의 '크리민스'님을 통해서 알게되었다.
-글레이셜 체인

▲시전이펙트(상)와 피격이펙트(하)
불독 아크메이지에게 미스트 이럽션이 있다면, 썬콜아크메이지에게는 '글레이셜 체인'이 있다. 최대 타겟수는 12마리이며, 재사용 대기시간 5초, 몬스터의 방어율을 추가로 40% 무시하는 한정 뎀딜스킬이 되겠다. 부가 기능으로는 도트데미지와 몹을 끌어오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얼음속성 공격기답게 빙결능력도 가지고 있다. %데미지로만 따지면 체라의 약 1.6배 정도 되는 스킬. 미스트 이럽션과 같은 엄청난 데미지 뻥튀기를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몹을 모아줌과 동시에 도트데미지를 입힘으로서 체라와의 연계가 잘 되는 스킬이며, 미스트 이럽션과는 다르게 준비과정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아케인에임
패시브스킬로, 하나의 적을 3번 이상 공격시 일정 확률로 데미지가 증가하며 최대 40%의 데미지 증가 효과를 보여준다. 이 스킬이 있기 때문에, 모험가 법사군이 다수스킬에서의 강점을 확실하게 가져갈 수 있었다. 또한 방무 20%의 효과도 지니고 있다.
-빅뱅
▲차징이펙트(좌)와 시전이펙트(우)
게이지를 채우는 차징형 공격스킬. 그러나 공속과 필드사냥범위에서 체라의 상대가 되질 못하므로 쓰는일이 없다.
심지어 빙결마저 확률로 걸리는 희한한 스킬로, 도트데미지도 못주므로 그냥 쓸일없다고 보면된다.
-인피니티



▲시전이펙트1(왼쪽 위)과 시전이펙트2(오른쪽 위), 그리고 스탠스발동시 이펙트(아래)
일정시간 동안 4초마다 데미지 증폭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스킬이 발동되고 있는 동안에는 MP소모가 없다. 또한 4초마다 HP/MP를 일정%만큼 회복한다. 이 스킬이 발동되고 있는 동안에만 스탠스가 발동되며,
그 확률은 썬콜 아크메이지의 경우 50%이다.(비숍의 경우 50%, 불독의 경우 70%)
얼핏 들으면 굉장히 좋은 스킬 같으나, 실상은 단계 증가로 인한 빠른 맥뎀 도달과 재사용 대기 시간이 3분이나 되는 주제에 스킬해제에 해제된다는 안습한 면을 가지고 있다. 나중에 개편이 다시 된다면, 개편시켜야할 4차 스킬 0순위이다.
-엘퀴네스
멍청한 모험가 마법사 소환수 시리즈 중 하나로, 최대 3마리의 적을 공격하지만, 공격 속도가 너무나도 느리다. 게다가 AI따윈 없어서 나는 앞의 몬스터를 공격하는데 소환수는 뒤의 몬스터를 공격하는 경우도 있다.
그나마 이프리트와는 다르게 빙결능력이라도 보유하고 있으므로 멍청한 소환수가 때린 일반몬스터가 죽지 않더라도 빙결되어 바로 썬콜유저를 공격하는일은 없다.
뭐 그래도 보스뛸때 켜놓으면 약간이나마 도움이 된다.
-마스터매직
마스터시 버프 유지시간이 50%늘어나며(이 기능은 온오프 형식이다.) 패시브로 마력 30을 올려준다.
이때문에 초기에 마스터하게 되는 스킬.
-메이플용사


▲시전이펙트(좌)와 파티원 적용이펙트(우)
전직업 공통 4차 스킬 메이플 용사다. 딱히 설명할 것이 없겠다.
6.사냥터
1-8(간혹 그 이상)
사우스페리 초보자 튜토리얼 모든 퀘스트 완료, 이 때, 모든 퀘스트를 완료하게 되면 전직가능레벨인 8보다
높은 9나 10이 될 수 있는 데 전직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레벨 높게 가서 전직해도 스킬 포인트,
스텟 모두 보상해주므로 그냥 퀘스트는 보이는 대로 다 깨버리자.
8-20
- 노틸러스 해안가 - 파란리본 해안가 파란 리본 돼지
20-30
- 헤네시스 미니던전 - 무너진 골렘의 성터
20 초반에는 빠른 레벨 업을 보여주지만 후반부에는 다소 지겨울 수 있다.
- 엘리니아 히든스트리트 - 원숭이의 숲2
20 초반에는 몬스터의 원거리 공격으로 인해 다소 불편할 수는 있지만 성장이 가장 빠른 사냥터이다.
(30-70 파티 퀘스트 추천 : 차원의 균열)
30-40
- 퀘스트 중시형 : 버섯의 성(30-36) - 커닝스퀘어(36-40)
버섯의 성 같은 경우 머쉬킹의 레더글러브(마력2)를 주기 때문에 깨면 좋겠으나, 레벨업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필수적이지도 않으므로 빠른 레벨업을 원한다면, 무시하고 건너뛰자.
- 성장 중시형 : 버섯의 성 퀘스트를 무시하고 바로 커닝스퀘어 - 7층 8층 A구역으로 이동하여 CD들을 마구
잡아주면 40까지 폭업이 가능하다. 대신 상당한 물약소모를 감수해야한다.
40-50
- 다른 곳 생각할 필요가 없다. 오르비스 스카이로드 - 붉은 빛의 정원 2
50-55
- 엘나스산맥 - 얼음골짜기2
- 루디브리엄 하늘테라스,구름테라스
55-70
- 퀘스트 중시형
55-60까지 오르비스 크리세 마을 퀘스트 (미카엘, 미카엘라 안경을 얻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
60-65까지 아랫마을 퀘스트 (동화책 찾아주면 EXP : 13400 이라는 큰 경험치 얻을 수 있음)
65-70까지 루디브리엄 지구방위본부 퀘스트 (마티안의 촉수 퀘스트와 여러 부수 퀘스트)
- 성장 중시형
1) 아쿠아리움 사냥터
55-60 아쿠아리움 - 빅 피쉬 골짜기
60-70 아쿠아리움 - 붉은 산호 숲
2) 루디브리엄 사냥터
55-60 루디브리엄성 - 구름테라스<5>, 하늘테라스<5>
60-65 루디브리엄성 - 장난감공장<1공정>,<2공정>
65-70 지구방위본부 - 마티안의 초원 ,메카티안의 초원
(70-120 파티 퀘스트 추천 : 로미오와 줄리엣 사냥 파티)
70-90
- 퀘스트 중시형 : 70-75까지 아리안트 퀘스트, 75-90까지 마가티아 퀘스트
- 성장 중시형
70-80 진리의 사헬지대1,2
매크로가 없는 서버의 경우 잠자는 사막
80-95 진리의 C-1, C-2, 미니던전 - 치명적오류
간혹 C-2에서 사냥하다보면 '장갑 공격력 주문서 60%'가 드랍된다. 이것도 팔면 나름 도움이 된다.
90-110
- 퀘스트 중시형 : 무릉 퀘스트와 백초마을 퀘스트 병행(90-97) 후 빨코 진출
- 성장 중시형
88-98 : 무릉도원 - 천도과수원3
95-110 : 무릉도원 - 빨간코 해적단의 소굴2 , 미니던전 - 보물섬의 약탈
캡틴은 간혹가다 혼돈의 주문서를 드랍된다. 나름 유용한 돈벌이가 될 수 있다.
110-120
107-117 리프레 - 미나르숲 - 하늘 둥지2
113-123 엘나스 - 사자왕의 성 - 성벽아래2
115-120 엘나스 - 사자왕의 성 - 성벽아래3
113-123 리프레 - 붉은 켄타우로스의 영역
(120-200 파티 퀘스트 : 드래곤 라이더 - 탈출 - 위험에 빠진 켄타 - 호브 제왕의 부활 <경험치 순>)
120-140
117-127 루디브리엄 - 히든스트리트 - 꼬여버린 시간
기간틱바이킹은 '리버스 엔릴 티어' 레시피를 드랍한다.
117-127 엘나스 - 사자왕의 성 - 성벽 아래 4
126-136 리프레 - 미나르숲 - 용의 숲2 전기속성 약점
리스튼은 '리버스 람피온' 레시피를 드랍한다.
129-139 리프레 - 히든스트리트 - 레드 와이번의 둥지 얼음속성 약점
140-171
시간의 신전
추억의 길은 죄다 반감이니 길만 뚫고 어서 지나가자.
후회의 길 : 전기속성 약점
망각의 길 : 전기/얼음속성 약점
역시 시간의 신전하면 떠오르는건 시조다. 사냥하다가 간혹 떨어지는 시조도 나름대로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이다.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망각3에서는 '리버스 에아스 핸드' 레시피가 드롭된다.(아닐지도 모른다.)
165-200
미래의 길
파괴된 헤네시스
연무장 : 제 1연무장이 마법사에게는 가장 좋다. HP회복 포션인 장어구이가 거의 무한대로 공급되고,
엘릭서도 꽤 많이 떨어지므로 인피니티만 잘 활용하면 물약값이 거의 들지 않는다. 오히려 물약이
쌓이는 걸 경험할 수 있다. 또한 130제 방패인 '데이모스 세이지실드'의 레시피가 드랍되며, 이 외에도
'리버스 피오니'등의 리버스 무기 레시피도 드랍된다. 덤으로 화비표창도. 여러모로 마법사에게 득이
되는 곳이다.(최근 연무장의 젠률이 폭락했다고 하는데, 그래도 아주 못쓸 사냥터는 아니다.)
7.마치며
썬콜에 대한 소개글은 이걸로 두번째이다. 지난번 글에서 부족했던 스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추가했고,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체라의 전이조건에 대한 설명도 넣었다. 모쪼록 썬콜 아크메이지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불독과 마찬가지로 썬콜 또한 자신의 특징이 뚜렷하며, 충분히 재미있는 모험가 직업군이다.
모험가 마법사 소개글은 총 5편정도로 기획하고 있으며, 제 3편에서는 비숍, 제 4편에서는 엠피작에 대해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 5편에서는 템세팅에 관련된 쪽으로 글을 작성하고자한다. 2/6이후로 개강한 관계로 이번 주말즈음에나 제 3편의 작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제 2편 썬콜 아크메이지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