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스토리 인벤 베스트 유저 리포트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육성] 마지막 영웅, 빛의 수호자 루미너스 소개 2편 : 스킬과 육성

아이콘 Ligel
댓글: 27 개
조회: 24562
추천: 19
2012-07-23 23:06:29

 

루미너스 소개 두번째인 스킬과 육성글입니다.

마찬가지로 작성자의 편의를 위해 경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관련 이미지는 이번 주말(7/29)까지 모두 추가합니다.

 

1.스탯의 배분

루미너스 또한 마법사 계열의 직업인 만큼, 주스탯은 INT, 부스탯은 LUK이 되겠다.

예전같았으면 부스탯도 나름의 역할을 했겠지만, 얼마전 아이템 부스탯 제한이 전면폐지되면서

부스탯은 사실상 사장된 스탯이 되었고, 그냥 주스탯만 찍으면된다.

 

2.스킬트리

필자의 주관적인 스킬트리이니 절대적으로 생각하지 말자.

 

1)1차

 

1-1)빛 선택시

트윙클 플래쉬1 - 라이트랜스포밍 10 - 오디너리 매직가드 5 - 익스탠드마나 20 - 빛 마법강화 5 - 트윙클 플래쉬 20

- 오디너리 매직가드 10

 

빛을 선택했을때는 딱히 특기사항이 없다. 트윙클 플래쉬는 점프샷이 가능하다.

 

1-2)어둠 선택시

다크 폴링 1 - 라이트랜스포밍 10 - 오디너리 매직가드 5 - 익스탠드마나 20 - 어둠 마법강화 5 - 다크 폴링 20

- 오디너리 매직가드 10

 

어둠을 선택했을때의 장점은 바로 다크 폴링이다. 2차 어둠 스킬인 보이드 프레셔에 비해 활용도가 높기때문에,

어둠을 선택했을때 빛 상태에서는 실피드 랜서를, 어둠 상태에서는 다크 폴링을 사용하게 된다.

 

2)2차

 

기본적으로 찍혀있는 실피드 랜서 1, 보이드 프레셔 1 - 스펠 마스터리 10 - 하이 위즈덤 5 - 매직부스터 10

- 블레스 오브 다크니스 20 - 실피드 랜서와 보이드 프레셔 각각 20 - 인바이러빌리티 9

(혹은 기호에 따라 보이드 프레셔를 19만 찍는다.)

 

루미너스는 레벨업시 인트량에 따른 엠피량 증가가 아닌, 레벨업시 레벨당 일정하게 엠피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엠작에 대한 부담이 없다. 따라서 하이 위즈덤을 굳이 우선순위에 올려놓을 필요 없이, 스펠 마스터리부터 마스터하는 것이 좋다. 인바이러빌리티의 기능은 단순한 밀기이기 때문에, 굳이 마스터를 할 필요가 없으나, 스턴 100%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저라면 사용도가 낮은 보이드 프레셔를 덜 찍는것도 괜찮은 선택이다.

 

3)3차

 

기본적으로 찍혀있는 스펙트럴 라이트 1, 녹스피어 1 - 데스사이드 1, 포틱메디테이션 1, 라이프 타이달 1

- 포틱메디테이션 20 - 라이프 타이달 20 - 라이트쉐도우 가드 10 - 스펙트럴 라이트, 녹스피어 각각 20

- 데스사이드 20 - 안티 매직쉘 10 - 샤인 리뎀션 4 (혹은 기호에 따라 녹스피어를 4만 찍는다.)

 

2차에서의 안습스킬이 어둠속성이었다면, 3차에서의 활용도 낮은 스킬은 스펙트럴 라이트이다. 데미지는 괜찮은편이지만, 시전시 선딜이 긴편이기 때문이다. 이때 주로 사냥은 빛 상태에서 실피드 랜서, 어둠 상태에서 녹스피어를 사용하게 된다. 샤인 리뎀션은 그 속도가 느리고 자동공격이라는 약점이 있어, 회복 스킬로서 사용하기 좋지 않다. 따라서 샤인 리뎀션을 포기하는것이 보통이다. 다만, 난 어쨌든 포기하기 싫다라는 사람들은 그냥 녹스피어를 포기하는것이 차선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4)4차

 

기본적으로 찍혀있는 라이트 리플렉션 1, 아포칼립스 1, 앱솔루트 킬 1, 모닝스타폴1 - 다크라이트 마스터리 5

- 매직마스터리 30 - 다크 크레센도 30 - 다크니스 소서리 30 - 라이트 리플렉션과 아포칼립스 각각 30

- 앱솔루트 킬 30 -메이플 용사 30 - (용사의 의지 5) -모닝 스타폴 30

 

4차에서의 특징은 빛 스킬이 어둠 스킬에 비해 데미지가 심하게 낮다는 점이다. 그래서 필드에서도 그냥 닥치고 어둠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쨌거나 둘다 마스터할 수 있다. 다크라이트 마스터리를 일찍 찍는 이유는 간단하다. 좀 더 자주 이퀼리브리엄 상태에 도달해서 데스사이드나 앱솔루트 킬을 난사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패시브/액티브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는 당연히 패시브마력과 숙련도를 올려주는 매직마스터리이고, 대다수의 유저들은 보스를 주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 다음으로는 다크 크레센도를 찍는것이 일반적이다.

 

위와 같이 루미너스는 빛/어둠/이퀼 전용 스킬들이 하나씩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직업에 비해 메이플 용사를 한참 늦게 찍는 직업이기도 하다.

 

3.주요 스킬소개 

 

1)0차 스킬

 

-파워 오브 라이트

이 스킬은 루미너스가 암흑 상태이상에 대해 영구적으로 면역을 가지게 해주는 스킬이다.

이게 무슨 쓰잘데 없는 스킬이냐라고 생각할 법도 한데, 3차 스킬인 안티매직쉘 때문에 존재하는 스킬이라고 보면된다. 안티매직쉘의 효과는 상태이상을 3회에 걸쳐 100% 방어한다는 효과이다. 그런데 어차피 암흑 걸려도 데미지 반감이 없는 마법사 직업군이 암흑 방어하느라 그 회수를 까먹는다는건 말이 안된다. 따라서 이런 스킬이 부여되었다.

 

-라이트 블링크

이 스킬은 마을에서는 드래곤 블링크처럼 랜덤이동을, 필드에서는 화면상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몹으로 이동하는

스킬이다. 그냥 1자맵에서 빠른 이동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쓰이는 스킬.

 

-선파이어

빛 상태에서 공격시 빛 속성 스킬이 50%의 추가공격력을 얻는다. 이 추가공격력은 기존데미지와 별개의 타수로 환산된다. 또한 빛 스킬 사용시 HP를 1%씩 회복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루미너스의 또 다른 특징이라면 스킬 사용시 대사가 나온다는것인데(.... 별로 반갑지는 않다... 오글거림)

선파이어 돌입시 "어둠을 가르는 한줄기 빛으로!"라는 대사가 나온다.

 

-이클립스

어둠 상태에서 공격시 어둠 속성 스킬이 50%의 추가공격력을 얻는다. 이 추가공격력은 기존데미지와 별개의 타수로 환산된다. 또한 어둠 스킬 사용시 마나를 소모하지 않는 기능이 있다.

 

이클립스 돌입시 대사는 "어둠이 느껴진다."

 

-이퀼리브리엄

이퀼리브리엄 상태에서 발동되며, 이퀼리브리엄 스킬 사용시 100%의 추가공격력을 얻는다. 이 추가공격력은 기존데미지와 별개의 타수로 환산된다. 또한 이퀼리브리엄 스킬의 쿨타임이 사라지며, 100%의 스탠스효과를 가지고 있고, 데미지를 1만 받는다.(공반 제외)

 

이퀼리브리엄 돌입시 대사는 "빛과 어둠은 하나다."

 

 

※참고사항

 

이퀼리브리엄의 지속시간은 메카닉 카드의 효과인 버프지속시간 증가의 영향을 받는다. 아마 이너어빌리티의 버프지속시간 증가의 영향도 받을것으로 추정.

 

메카닉 S카드가 한장 있으면 이퀼리브리엄 시간은 3초 증가.

 

또한 힐라에서 한정된 (어쩌면 아카이럼이나 반 레온에서 가능할지도 모른다.) 이퀼리브리엄 활용법이 있는데, 이퀼상태시 공반에서 죽은 후 부활하면 다시 이퀼상태로 바로 돌입하는게 가능하다.

 

-퍼미에이트

링크스킬이며, 방어율 무시 10%의 효과를 지닌다.

 

2)1차 스킬

 

-트윙클 플래쉬(빛)

▲위에서부터 발사체 이펙트, 시전 이펙트, 피격 이펙트

 

트윙클 플래쉬는 빛을 선택한 루미너스에게 주어지는 1차 스킬이며, 점프샷이 가능한 것이 특징.

 

-다크 폴링(어둠)

다크 폴링은 어둠을 선택한 루미너스에게 주어지는 1차 스킬이며, 범위형 스킬이고, 기본적으로 3타 스킬이다.

2차 전직이후에도 사용빈도가 높은 스킬이다.

 

-익스탠드 마나

모험가 마법사군의 MP증가(패시브스킬)의 역할을 해주는 스킬이며, 차이점은 증가하는 MP량이 30%로 더 많다는것

과 액티브 버프형 스킬이라는 점이다.

 

사용시 대사는 "빛을 모으겠어." 또는 "하압!" 같은 기합소리..

 

-라이트랜스포밍

다른 마법사군의 텔레포트와 같은 용도의 스킬이지만, 특이사항은 사용 직후 투명화되어 '바디어택을 당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것이다. 이 바디어택을 당하지 않는 것은 '물리 공격'에 한정되며, '마법 공격'은 무시할 수 없다. 이 기능이 있는 이유는 2차 스킬인 '블레스 오브 다크니스' 때문

 

덤으로 이동속도 20, 점프력 10이 증가한다.

 

-빛 스킬 강화/어둠 스킬 강화

각각 자신이 선택한 속성의 공격력을 5% 증가시켜주는 패시브 스킬이다.

 

-오디너리 매직가드

기본적인 다른 마법사군의 매직가드와 다른점은 패시브 적용이라는 것이다. 받는 데미지의 85%만큼을 MP로 대신한다.

 

3)2차 스킬

 

-실피드 랜서(빛)

▲왼쪽에서 부터 시전이펙트, 발사체 이펙트, 타격 이펙트

 

빛 속성의 스킬로, 기본적으로 마스터시 115%의 데미지로 4타 공격을 한다.(선파이어시 총 8타) 공격속도는 빠른편이 아니지만, 1자형 맵에서의 사거리는 쓸만하다. 3차시에도 빛 속성 주 사냥스킬은 실피드 랜서가 된다.

 

-보이드 프레셔(어둠)

▲왼쪽부터 시전이펙트, 타격이펙트

 

어둠 속성의 스킬로, 스킬키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하며, 방향키로 구체를 조종하여 몹을 공격한다. 선딜이 길기 때문에 어둠을 선택한 루미너스의 경우 이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다크 폴링으로 사냥을 하게 된다.

 

-매직 부스터

▲시전 이펙트

 

공격속도를 2단계 향상시키는 기본적인 버프스킬이다.

 

-블레스 오브 다크니스

▲왼쪽에서 부터 구체 1개에서 3개까지의 변화

 

▲블레스 오브 다크니스 발동시 오라 이펙트

 

마스터기준으로 피격을 받은 후 5초간 피격당하지 않으면 발동되는 반패시브버프스킬로, 구체의 개수에 따라 마력이 증가하며(최대 30), 구체가 있을때 피격당하면 데미지를 구체가 흡수해준다. 따라서 이 스킬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히 라이트랜스포밍을 사용하는것이 중요하다.

 

-인바이러빌리티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단순한 밀격스킬이다. 공격도 하지 않고 밀면서 몹을 스턴상태에 빠뜨린다. 다만 공반시 이 스킬을 사용해도 공격으로 간주되어 비석을 세우게 되므로 주의할것.

 

사용시 대사는 "물러서라."

 

-스펠마스터리

숙련도를 50% 증가시키며, 패시브 마력을 10 증가시켜주는 스킬이다.

 

-하이 위즈덤

인트를 40증가시킨다.

 

4)3차 스킬

-스펙트럴 라이트(빛)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시전 이펙트

 

빛 속성의 스킬로, 일종의 반 속사형 스킬이다. 다만 사용시 선딜이 긴 편이고, 스탠스가 없으면 사용하기 까다롭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8명의 적을 121%의 데미지로 4번 공격한다.(선파이어시 총 8타)

이 스킬은 3차때 일반필드사냥에서보다는 160이후 연무장에서 4차 스킬인 라이트 리플렉션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4차가 얼마나 후졌으면 이러겠는가. 어...?)

 

또한 혼테일에서 머리만 3개 남은 경우 3개를 다 타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녹스피어(어둠)

▲왼쪽에서부터 시전 이펙트1, 시전 이펙트2, 피격체 이펙트

 

어둠 속성의 스킬로, 3차 스킬중에선 가장 효율이 좋은 스킬이다. 주로 치명적 오류나 빨간코 해적단의 소굴 2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스킬이다. 마스터기준 361%의 데미지로 2번 공격(이클립스시 총 4타)

 

-데스사이드(이퀼)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시전이펙트

 

▲타격이펙트

 

데스사이드란 중세 유럽에 등장하는 '사신'이 들고 있는 죽음의 낫을 뜻한다. 이름에 걸맞게 이 스킬은 매우 강력하다. 이퀼리브리엄 스킬로, 평상시에는 마스터 기준 쿨타임 24초이지만, 이퀼리브리엄 상태에서는 노쿨타임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퀼리브리엄 스킬답게 엄청난 범위와 위력을 자랑한다.

 

사용시 대사는 "베어라." 또는 "데스사이드"

 

-포틱 메디테이션

▲시전이펙트1, 시전이펙트2

 

▲파티원 적용이펙트

 

루미너스의 파티스킬로 메디테이션하고 별다를것도 없는데 마력이 40 올라간다. 또한 메디테이션과 중첩가능.

 

-라이트쉐도우 가드

▲시전이펙트1, 시전이펙트2

 

▲회피시의 문구

 

마스터시 물/마방 300에 회피율 20%가 붙는 스킬이다.

 

사용시 대사는 주로 "빛과 어둠은 하나다."

 

-라이프 타이달

HP와 MP를 비교하여 어느 쪽이 더 많은 %로 남아있는지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

HP가 더 많은 경우는 크리티컬 30% 증가, MP가 더 많은 경우는 데미지 20% 증가의 효과를 지닌다.

어차피 보통은 거의 크리티컬 30% 증가 효과 고정이라고 보면된다. 간혹 MP조작을 통해 데미지 20% 효과를

보려할때도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다.

 

굳이 MP조작을 통해 데미지 20% 효과를 보려거든 보스전에서 앱솔루트 킬을 난사할때만 신경쓰면된다.

(앱솔루트 킬은 올크리티컬 판정이 나기때문)

 

-안티 매직쉘

상태이상을 최대 3번까지 100% 방어하는 버프스킬이며, 횟수를 모두 사용시 300초의 쿨타임이 적용된다.

기본적인 상태이상 내성과 무관하게 무조건 이 3회가 먼저 까인다. 패시브 효과로는 속성/상태이상 내성이 40% 증가하는것.

 

-샤인 리뎀션(빛)

▲시전이펙트

 

빛 속성의 공격 겸 회복 스킬이지만, 느려터진데다 기본옵션이 공격이라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포기하게 되는 스킬이다. (요상하게 범위도 꽤나 넓다는게 함정)

 

5)4차 스킬

-라이트 리플렉션(빛)

▲시전이펙트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전이이펙트

 

▲타격이펙트

 

라이트 리플렉션이라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반사하든 퉁겨나오는 스킬이다. 이는 썬콜 아크메이지의 체인 라이트닝과 비슷한 스킬이지만, 첫타 사거리는 더 짧고 대신 전이 거리가 '엄청' 긴 스킬이다.

다만, 전이시마다 10%의 분산데미지가 적용되어 갈수록 데미지가 낮아지는걸 목격할 수 있다. 마스터시 8명의 적을 300%로 4번 공격한다.(선파이어시 8타)

 

팁이라고 한다면, 자쿰에서는 맨 위 혹은 맨 아래 팔을 타격시 모든 팔을 칠 수 있으며, 혼테일/카오스 혼테일에서는 꼬리를 타격할 시에 머리까지 전이가 된다.

 

 

라이트 리플렉션의 공격속도 변화

 

기본 분당 57회(분당 타수 456회)
2단계 분당 67회(분당 타수 536회)
3단계 분당 71회(분당 타수 568회)

 

-아포칼립스(어둠)

▲시전이펙트1

 

▲시전이펙트2

 

▲타격이펙트

 

어둠속성 공격스킬이며, 느린 공속을 가졌지만, 엄청난 범위와 강력한 데미지, 그리고 많은 타수로 그것을 커버한다.

마스터시 최대 8명의 적을 350% 데미지로 7번 공격한다.(이클립스시 14타)

 

자쿰/카오스 자쿰에서는 오른쪽 2층 발판 끝부분에서 칠 경우 8개의 팔을 모두 타격하는게 가능하며,

혼테일에서는 바닥에서 시전시 다리, 꼬리, 날개, 양팔을 타격하고, 오른쪽 작은 높은중간발판에서 공격시

날개, 양팔, 머리 3개를 타격하는게 가능하다.

 

사용시 대사는 "아포칼립스" 또는 "사라져라" 또는 "아마겟돈"

 

아포칼립스의 공격속도 변화

 

기본 분당 40회(분당 타수 560회)
2단계 분당 45회(분당 타수 630회)
3단계 분당 48회(분당 타수 672회)

 

-모닝 스타폴(어둠)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시전이펙트 1, 시전이펙트 2, 진행이펙트

 

▲폭발이펙트와 타격이펙트

 

어둠속성 공격스킬이며, 느려터졌고 굳이 몹을 밀거면 2차 스킬인 인바이러빌리티가 있는데, 이걸 왜 쓰는가? 라는 질문이 있을법한 스킬. 하지만 이 스킬의 진정한 용도는 몹을 어느정도 모아놓고 날려서 다크 크레센도의 스택을 한꺼번에 채우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굳이 마스터할 필요도 없는 스킬.

 

-앱솔루트 킬(이퀼)

▲시전이펙트

 

▲타격이펙트

 

이퀼리브리엄 스킬이며, 루미너스의 유일한 1:1 스킬이라고 할 수 있다.(그래도 최대 2명 공격함) 일반 몹에게 사용할 때에는 즉사시키고, 그 외의 경우에는 마스터 기준 333%의 데미지로 7번(그러니까 결국 사용시엔 14번) 공격하며, 방어율을 40% 무시한다. 결국 기본방어율에 앱솔루트 킬 방어율을 합치면 90%가 되어 보스용 스킬임을 확인시켜준다. 모든 공격은 크리티컬 판정을 받으며, 공격속도도 빨라 에반의 일루젼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

 

사용시 대사는 "사라져라", "앱솔루트 킬!"

 

-매직마스터리

마스터시 숙련도를 70%로 증가시켜주며(최종적으로 루미너스의 숙련도는 95%가 된다.), 패시브 마력 30, 크리티컬 최소 데미지 15% 증가옵션을 가지고 있다. 다크라이트 마스터리 이후 가장 먼저 마스터해야할 패시브 스킬이다.

 

-다크 크레센도

▲시전이펙트와 시전이 끝난후 오라이펙트

 

크레센도란 음악에서 '점점 크게'라는 뜻을 가진 악보기호인데, 다크 크레센도는 공격이 1회 성공시마다 80%의 확률로 데미지가 1% 증가하는 스킬이다. 최대횟수는 30회. 다만, 180초 안에 풀스택을 쌓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모닝 스타폴의 적절한 응용이 필수.

 

사용시 대사는 "어둠이 느껴진다."

 

-다크니스 소서리

▲시전이펙트

 

보스를 뛰기 위해서는 꼭 마스터해야할 스킬로, 아크메이지의 '앨리멘탈 리셋'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더불어 방어율 무시 40%를 달고 있는 스킬이다. 이 스킬이 없이 보스를 갈 경우, 힐라/아카이럼/핑크빈/여제에서 아름다운 데미지 반감을 맛볼 수 있다.

 

 

※참고사항

 

일부 보스의 경우 무속성을 포함한 '전속성반감'을 가진 경우가 있다. 최근에 등장한 보스의 경우 대부분 달고 나오는 기능.

 

전속성반감을 가진 보스로 알려진것은

 

-에피네아

-힐라

-아카이럼

-핑크빈(그리고 아리엘 석상)

-여제(와 각성단장)

-카오스핑크빈

 

따라서 다크니스 소서리가 없다면 이러한 보스에서 데미지 반감을 당하게된다. 게다가 기본적인 방어율 무시 40%를 제공하기 때문에 방어율이 높은 아카이럼/핑크빈/여제/카오스핑크빈에서 큰 역할을 해준다.

 

각각의 방어율은

 

아카이럼/핑크빈/여제(와 각성단장) = 70%

카오스핑크빈 = 180%

 

이다.

 

사용시 대사는 "어둠을 받아들여라."

 

-다크라이트 마스터리

다크라이트 마스터리의 역할은 빛과 어둠의 게이지 변화량을 증대시켜 이퀼리브리엄 상태에 빠르게 도달하게 해주는 것이다. 또한 이퀼리브리엄 상태 지속시간도 10초 증가시켜주므로 꼭 먼저 마스터하길 바란다.(마스터시 이퀼리브리엄 시간은 20초)

  

※다크라이트 마스터리 마스터시 빛 어둠 게이지 MAX량과 스킬 사용에 따른 변화량

 

게이지의 MAX량은 96000으로 알려져있으며,

 

라이트 리플렉션 : 264, 36번 시전 후 이퀼
아포칼립스 : 397, 24번 시전 후 이퀼
실피드 랜서 : 225, 42번 시전 후 이퀼
스펙트럴 라이트 : 155, 61번 시전 후 이퀼
녹스피어 : 210, 45번 시전 후 이퀼
 
스킬별로 다음과 같은 게이지 변화량을 가지고 있다.
다만 보이드 프레셔 같은 경우는 측정하기 난감한 경우라 제외.

 

-메이플 용사

전직업 공용스킬인 만큼 설명은 생략하겠다. 루미너스에게는 극후반에나 찍는 스킬이 된다.

 

 

 

4.사냥터

 

간단하게 정리해보자면 이렇다.

 

10~30 : 기본적으로 튜토리얼 퀘스트를 수행해야 2차 전직이 가능하다.

 

31~74 : 스토리퀘스트 깨는게 레벨업 속도도 괜찮고, 지루하지도 않다.

 

74~85 : 치명적 오류, C-1, C-2

 

86~100 : 빨간코 해적단의 소굴 2, 빨코 미니던전

 

100~130 : 스토리 퀘스트, 로미오와 줄리엣 파티퀘스트, 네트의 피라미드

필드사냥을 굳이 하고 싶은 경우, 107~115 : 용의 숲 2

 

130~160 : 각종 파티퀘스트. 보통 순서는 드래곤라이더 - 탈출 - 호브 - 켄타, 몬스터파크 중급던전

필드사냥을 굳이 하고 싶은 경우, 120~135 : 부활하는 기억

 

160~ : 각종 파티퀘스트, 몬스터파크 상급던전, 파티플레이존 연무장

 

 

 

5.아이템

 

루미너스의 기존 마법사군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기상수가 다르다는 것이다.

완드와 스태프의 무기상수가 1.00인것에 비해, 샤이닝로드의 무기상수는 1.3이면서 무기기본 마력은 완드와 같다. 이부분은 이후 필수적으로 조정 혹은 너프가 될것으로 보이는 부분이다.

 

잡설은 이정도까지만 하고 본론으로 들어가자.

 

무기상수가 기존보다 높다. 그리고 기본 무기마력은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무엇이 더 중요하겠는가?

 

당연히 마력의 중요성이 더 커지게된다.

 

기존 마법사군은 낮은 무기상수로 인해 고자본으로 갈수록 투자효율이 떨어지며, 마력의 가치가 다른 직업군의 공격력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루미너스의 경우는 마력 또한 타 직업군의 공격력과 대등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마법사군에 비해 마력에 좀더 집중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인트%에 목메지 않아도 될 수 있는

"레벨업시 INT수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 있으므로, 무리하게 인트% 잠재 좋은 아이템만을 찾아다닐 필요도 없다.

 

 

 

 

Lv83 Ligel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메이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