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1서버 오스만기준으로 글이 작성되었으며
시작부터 내파50까지에 해당되는 서인도까지 무역동선이 표기되어있습니다!
현 인밴을 사용 중인 다수의 유저들에게는
필요없는 내용일 가능성이 큽니다!
필자의 주변의 입문유저들 알려주려고 정리했던 내용 아까워서 올리는 글입니다!
시작전 알아두면 좋은내용
1. 교역소
- 교역소는 ???로 표기된 새 항구의 교역소 첫 진입 시간을 기준으로 30분마다 리셋됩니다. (빅스톤조자룡님 감사합니다!)
- 2시 47분에 입항하였다면 그 항구는 매시 17분과 47분에 교역소 구매항목 수량이 리셋됩니다.
- 이를 이용하여 구매시 동선을 설정합니다.
- 전체시간은 선박이 더 좋아지면 좋아질 수록 짧아지니 전체동선 기준이 아닌 매각항/재구매 시작항부터 2분간격으로 교역소 리셋시간을 정렬시킵니다.
- 2분이 기준인 이유는 매각/구매는 1분안에 충분하지만 회식/암시장/선박건조 등 다른 용무를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섭니다. 손이 느리시거나 빠르다 하시는 분은 자신의 속도에 맞게 정렬시키시길 바랍니다.
2. 특수항
- 현재 항구 입항정보에는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특수항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 특수항은 교역품목중 특정품목을 판매우대해주는 곳입니다.
-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오스만 기준 매각항 중
북유럽 - 보석 + (향료, 염료)
- 코콜라
이탈리아 - 미술품 + (향신료)
- 베네치아
- 트리에스테
발칸 - 귀금속 + (공예품)
- 아티나
- 테살로니키
근동 - 귀금속 + (기호품) *주류판매 불가
- 트라브존
- 베이루트
- 야파
동유럽 - 직물 + (무기류, 향료)
- 타간로크
- 케르치
- 오데사
북아프리카 - 공예품 *주류판매 불가
- 알이스칸다리야
- 알카히라
북아메리카 - 총포류 + (미술품, 주류)
- 메리다
- 포르토벨로
카리브 - 공예품 + (총포류)
서아프리카 - 공예품 + (조미료)
- 팀북투
남아프리카 - 공예품, 직물 + (공업품, 향신료)
- 이카파
- 소팔라
페르시아 - 공예품, 무기류 *주류판매 불가
- 고치
- 마실리파트남
말레이시아 - 무기류 *주류판매 불가
- 아체
들이 있습니다. (내파가 부족해서 그 뒤에는 제가 항구 국적정보가 담긴 지도가 없습니다...)
3. 유행/과잉- 유행/과잉은 세계지도에 민트색 천칭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해당 정보는 항해 중, 입항시 안내맨트가 표시되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 유행/과잉 안내맨트가 나온 특정교역품 뿐만 가격변동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 유행/과잉에 해당되는 교역품의 항목이 모두 가격변동이 걸립니다.
(ex) 바바라: 서양대포가 유행중이야! -> 총포류 모두에 해당되는 모든 품목 유행
- 해당 천칭항구에 직접 입장시에 정보가 표시됩니다.
- 국가체팅, 인벤에 정보가 올라오기도 합니다
- 유행 품목은 1시간동안 유행하게 되며 이후 1시간~1시간 30분사이 정상가 인근으로 가격이 돌아옵니다.
- 월간과제: 유행 중인 항목으로 80,000두캇의 순이익 ,120%이상 가격의 품목 10개 판매가 있습니다.
- 판매를 할때 일괄 판매가 아닌 10개씩 끊어 파는 것으로 월간과제를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진짜 월간 과제 중 이게 가장 귀찮습니다.... 아다리 안맞으면 깨기 너무힘듬)
4. 철갑상어 알도둑 오스만은 봄에 가난합니다...
- 봄에 다같이 손잡고 신혼여행 떠나는지 캐비아 수량 개박살
- 봄에는 꽃내음에 몸에 땀내도 가려지는지 향수, 시벳 수량 개박살
- 여름, 가을, 겨울에 한참 땡긴 돈으로 항해사 영입 여행 떠나면서 전투랩업에 집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평상시에 무역하면서 들리지 않던 항구의 항해사 영입/조각작업 (*조지앤슨_(두블린))
- 일수쟁이 빙의해서 채무수금, 해적함대 5격파 미션 진행
5. 부관 지정은 보다 편안한 삶을 만들게 해줍니다.
- 함대의 기함만 부관실이 존재해도 전체선박의 재해를 처리해줍니다
- 따라서 1기함과 3~5선박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선실의 추가경험치효과, 추가 지식반영비율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건 추후에 다른 글에서 더 상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식인상어 - 허수아비
눈보라, 돌풍 - 해신의 부적
침수, 암초 - 통
화재, 대화재 - 소화모래
고래충돌 - 뿔 나팔
저체온증, 동상 - 보온도구
입니다. 해당 도구들은 200~100개를 가지고 다니시는 걸 추천드리며
나머지 모든 도구들도 50개씩은 가지고 다니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부관의 강습자동대응은 협상을 키지 않는 것이 오히려 돈이 적게 들 수도 있습니다.
아래서부터는 무역루트 사진입니다
보급항은 꼭 따라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보급항은 11~16일의 항해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개인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셔도됩니다
*A~B급 회식은 지인들 20랩부터 알려준다 말했어서 20랩 인근 도착하면 수정할 예정입니다
초반무역
**윗 캐비아-대포-술의 경우 3~5월 봄에 캐비아를 제외하고 대포-술로 활용 가능합니다
중반무역
중반 팀북투 잠수무역
중반 이후 무역
*보급항은 이쯤 갬을 했다면 알아서 이해하고 정할거라 판단하고 넣지 않았습니다
선박스팩에 따라 물빵 적재비율이 달라서 특정하기 어려웠습니다
** 백금의 경우 내파35 돌파20을 필요로합니다. 인도의 경우 내파50 돌파 20을 필요로 합니다
- 내파의 경우 수집에서 부품 - 내파2, 돌파1 (추가로 c급 +1가능) 선박 - 동양선박 소조선10대 등록으로 내파1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 내파의 경우 부붐 - B급오리나무 장갑 (강화, 일반, 낡은), C~D닻으로 16~24 충족 가능합니다.
- 돌파의 경우 C급 이난노선형 쐐기 충각(강화, 일반, 낡은) + C~D급 닻으로 18~25 충족 가능합니다.
- 각자 각 보유선박의 내파 수치를 파악하고 부품과 수집을 활용하여 추가로 충족시키면 됩니다.
- 돌파를 포기하고 내파만 충족시에는 삼부크로도 백금2항을 제외한 인도-동아프리카-@ 무역이 가능합니다.
***필요에 따라 동아프리카, 서인도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페르시아는 넣지 않았습니다. 인도 수량 개박살 나도 동선거리 때문에 인도가 나은거 같습니다.
경험담: 작위가 3이하일 경우 전투랩 26랩도 강습을 걸지 않았습니다.
작위4랩은 인도의 전투력9만 이상 해적 대응이 될떄 찍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인도 이후의 표는 필자의 지인들이 인도 도착할떄 쯤 만들것 같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