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DC 브랜드 리뷰

내댓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리뷰] 이거면 HDD는 그냥 끝! WD Ultrastar DC 하드디스크 리뷰

아이콘 WDC
조회: 1044
2020-01-28 15:58:17



‘웨스턴 디지털 (Western Digital)’ 이라는 이름,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컴퓨터 부품 제조업체입니다. 예전엔 조립PC를 알아보시던 분들이라면 대부분 다 알고 계시고, 지금은 외장하드 제품군으로도 많이 알려진 회사기도 합니다. WD의 주 사업부문은 스토리지 제품군입니다. 그만큼 오랫동안 스토리지 제품들을 만들어왔고, 노하우도 상당히 축적된 업체기도 하죠. 지금은 HGST와 샌디스크를 인수하여 스토리지 업계에서는 HDD와 SSD, 플래시 메모리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군을 아우르는 상당한 규모의 회사이기도 합니다.



WD에 Ultrastar DC라는 라인업도 있어요?


WD의 하드디스크 라인업은 상당히 다양한 제품들을 갖추고 있습니다. 일반 컨슈머용 PC 제품군인 Blue부터 고성능 게이밍 HDD로 거듭난 Black, NAS에 최적화된 Red, DVR 장비에 적합한 Purple 뿐만 아니라 요즘은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Gold도 있습니다.


그리고 HGST의 엔터프라이즈 제품군으로 활약하던 Ultrastar 라인업이 WD와 HGST의 합병 이후의 WD에서는 엔터프라이즈 카테고리에서 Ultrastar DC 제품군으로 다시 탄생하게 되었는데요. 엔트리급 HA200 시리즈, 중간 용량대를 채택해서 엑세스 성능을 높인 HC300 시리즈, 고용량, 고성능 제품군인 HC500 시리즈와 저장용으로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는 HC600 시리즈가 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그 중 데이터센터 레벨의 고성능, 고용량 HDD인 Ultrastar DC HC300, HC500 시리즈제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Source : WD )


주로 일반 소비자 역시 접근할 수 있는 제품군인 WD Ultrastar DC HC300 시리즈는 4TB부터 10TB까지 용량을 지원하는 소형 데이터서버에 적합한 제품입니다. 그리고 HC500 시리즈는 헬륨충전을 통해 내부 안정성을 높인 HelioSeal 기술을 통해 10TB부터 14TB까지 고용량 제품군들을 갖추어, 데이터센터의 스토리지 서버에 적합한 HDD입니다.


Ultrastar DC의 두 시리즈 모두 7200RPM와 128~512MB 버퍼 메모리를 갖춘 고성능 제품으로, 일반적인 데스크탑용 제품인 Blue보다 높은 버퍼 메모리, 일반적인 NAS용 제품인 Red보다 높은 회전수로 만들어져 상당히 높은 성능을 갖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Source : Backblaze - https://www.backblaze.com/blog/backblaze-hard-drive-stats-q3-2019/ )


여기서 HDD 안정성 통계를 잠깐 보시죠.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Backblaze에서는 분기별로 자사 스토리지 서버에 사용한 HDD의 연간 고장률 통계(AFR)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Ultrastar DC 제품군인 맨 위의 HGST(WD) 다섯 개 제품 데이터를 보면 주로 고용량 제품에서 경쟁하는 타사 제품들 대비 낮은 AFR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HDD에 비하면 무려 10배에 달하는 연간 550TB의 작업 부하등급, 200~250만 시간의 상당히 긴 MTBF를 제공하기에 24시간 동작하는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기도 적합합니다.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상기 Backblaze 데이터를 보면 제품 내구성에 대한 부분은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보증기간에 민감한 개인 사용자 입장에서 3년동안 워런티를 제공하는 점 역시도 좋은데요. 일반적인 데스크탑용 HDD의 보증기간이 2년 정도인 반면, 엔터프라이즈 등급의 제품으로써 높은 신뢰도를 가진 Ultrastar DC는 거기에 1년을 더한 3년의 보증기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WD Ultrastar DC, 직접 사용해보았다



제가 이번 리뷰에서 사용한 제품은 12TB 용량의 HC520 제품으로, HelioSeal 기술을 통해 고용량 제품임에도 높은 안정성을 갖춘 점이 특징입니다. 완전한 밀봉구조에서 일반적인 공기보다 헬륨을 충전했을 때의 동작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엔터프라이즈 제품군에서 헬륨충전 드라이브을 사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HDD 제품과 외관상 다른 점을 보면, 밀폐구조를 사용하는 케이스 구조상 외부에서 보더라도 플래터에 접근하기위해 분해를 하려고 해도 그 나사가 전혀 보이지 않게 되어있습니다. 아무래도 절대로 뜯지 말라는 소리겠죠?



Ultrastar DC 제품군은 3.5인치 사이즈의 하드디스크입니다. 보통 개인용 데스크탑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하는 하드디스크가 3.5인치 제품이니, 크기는 익히들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시스템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는 SATA 6Gb/s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개인적인 용도로 데스크탑에서 사용할 수도 있고, 소규모 데이터 스토리지로 많이 사용하는 NAS나 데이터센터의 스토리지 서버에서 사용하는데 장착 호환성에 대한 걱정 없이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SATA 6Gbps로 연결하는 데스크탑의 Windows 10 환경에서는 GPT방식으로 충분히 인식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직접 연결시에도 무리없이 로컬 드라이브로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일반적인 데스크탑에서 사용도 좋지만, 특히 요즘은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도 NAS 도입이 상당히 많아졌습니다. 저 역시도 사용하던 NAS를 이번에 Synology NAS로 교체하게 되어 NAS용 스토리지도 상당히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WD Ultrastar DC HDD를 새로운 NAS에 연결하고, 직접 사용해봤는데요.




스펙상 드라이브당 최대 12TB를 지원하는 Synology DS218Play에서는 12TB 드라이브 2개가 모두 잘 인식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개인 사용자 입장에서 드라이브당 12TB에 달하는 고가의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고용량 드라이브 역시도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잘 호환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NAS와 같은 데이터 서버에서 사용할 때 JBOD로 각각 드라이브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주로 RAID 환경에 대한 고려를 상당히 많이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Synology의 DSM에서는 SHR방식의 RAID를 지원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RAID 방식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실텐데요. 특히 2Bay NAS를 사용한다면 용량과 성능을 중시해서 RAID 0으로 갈 것인가, 아니면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RAID 1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를 많이 하긴 합니다.

저는 SHR 환경에서 사용을 해봤는데, 기본적으로는 SHR 방식의 RAID를 사용했을 때, 같은 용량의 드라이브를 사용하면 RAID1과 같은 미러링을 통해 안정성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긴 합니다. 두개의 HC520이 같은 볼륨으로 상호 미러링 동작을 통해 안정성있게 동작하였는데요. 이를통해 살펴본 Ultrastar DC는 어떠한 RAID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최적의 퍼포먼스를 보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Ultratar DC의 성능과 안정성을 믿고, 세팅 이후 다양한 파일을 옮겨서 외부에서 NAS를 접속하여 다양한 작업을 해보았는데요. 충분히 좋은 성능을 통해 답답함 없이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Ultrastar DC는 서버를 구동하는 데이터 센터에서도 사용하는 엔터프라이즈 디스크인만큼, 어떠한 장착 환경에서 어떤 RAID방식을 사용해도 크게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HC520 드라이브를 사용하면서, 생각보다 진동이 적어서 의아했는데요. Ultrastar DC 시리즈는 RVS(Rotational Vibration Safeguard, 회전 진동 보호장치)가 적용되어, 일반적인 엔터프라이즈 HDD에 비해 저진동 구조로 설계되었기에 진동에 의한 수명 역시 개선되어 개인이 데스크탑이나 NAS에서 사용하더라도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는 않을 정도입니다. 일례로, 저는 데스크탑에서 제가 이전에 구입했던 Blue 드라이브와 구형 WD 엔터프라이즈 드라이브를 함께 사용하고 있는데, 이번에 실제 사용을 테스트해본 HC520의 경우엔 상대적으로 이 둘보다 진동이 훨씬 덜 느껴졌습니다.



드라이브 벤치마크




조금 더 자세하게 WD Ultrastar DC를 알아보기 위해, 이번 리뷰에 사용된 HC520의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 Dell의 엔터프라이즈용 데스크탑 시스템에 물려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요. 테스트 시스템에 설치된 일반적인 Windows 10 환경에서는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먼저, 스토리지의 정보를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유틸리티인 CrystalDiskInfo 8.3.2버전에서 HC520의 정보를 살펴보았습니다. SATA 6Gb/s 환경에서 7200RPM으로 동작, S.M.A.R.T.와 APM, NCQ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많은 스토리지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CrystalDiskMark입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버전은 7.0.0버전으로, 최근 완전히 리뉴얼 된 테스트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전의 6.0.2버전보다 실제 사용에서 중요한 “랜덤 4K” 성능에 대한 부분이 테스트 항목에서 강화되었는데요. 통상적으로 많이 수행하는 1GB테스트와 최대 용량인 64GB 테스트시 성능에 대한 저하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시퀀셜 테스트에서는 246~8MB/s 수준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일반적인 컨슈머 NAS용 HDD에서 측정된 결과가 보통 140~180MB/s 정도의 시퀀셜 R/W임을 성능 감안하면 상당히 우수한 성능입니다.

특히 4K R/W 성능 역시도 우수한데요. 이번 테스트에서 눈여겨볼 부분은 4K테스트에서는 Read보다 Write에 대한 성능이 더 우수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보통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더라도 HDD가 R/W를 둘 다 많이 수행하지만, 특히 좋은 Write 성능을 가져야하는 데이터센터용 HDD의 역할을 충분히 잘 수행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음은 ATTO Disk Benchmark 4.00.0f2 버전입니다.

I/O Size 레벨에 따라 실제 드라이브의 퍼포먼스를 벤치마크 테스트하는 툴인데요. 파일 사이즈를 통상적으로 테스트에 많이 사용하는 1GB 파일부터 부하를 강하게 걸어주는 32GB 파일 사이즈, 두 가지를 테스트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 변동폭이 크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R/W성능이 거의 유사한 수치로 유지되는 점이 특징입니다.

HDD를 테스트해보면 엔트리 레벨 제품군에서는 R/W 성능에 편차가 생기는 경우가 간혹 보이는데, 역시 고성능 HDD 특유의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점은 Ultrastar DC답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특히 테스트에 사용된 HC520의 경우엔 버퍼 메모리 용량 역시 256MB로 상당히 강력한 사양을 갖추고 있어, I/O에 대한 퍼포먼스 유지력이 상당히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HDD 퍼포먼스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가장 오랜 기간동안 테스트 툴로 사용되는 HD Tune Pro 테스트입니다. 범례를 자세히 보면 Read는 최대 300, Write는 최대 250에 기준점이 잡혀있는데요. 실제 양쪽 데이터를 비교해보면 R/W의 성능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엑세스 타임에 대한 부분을 살펴보면 Write의 엑세스 타임이 상당히 짧은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Read 성능도 좋지만 Write에 대한 퍼포먼스를 확보한 것을 위의 테스트들과 함께 증명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마치며




SSD가 대부분의 퍼포먼스를 담당하게 된 지금 시점에서 Ultrastar DC 제품군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본연의 역할에 가장 충실한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용량을 통한 수많은 데이터의 보관하고, 그 데이터를 읽고 쓰는 성능 역시도 우수하기 때문이죠. 특히 SSD가 대체하기 어려운 비용대비 저장용량에 대한 부분은 아직까진 HDD가 우세합니다. 메모리 캐싱을 통해 그 성능을 더 끌어올릴 수도 있기에 합리적인 스토리지 시스템 구축을 위해 아직도 많은 업체들이 선호하기도 합니다.

직접 만나본 WD Ultrastar DC HC520은 고성능, 고용량을 모두 갖춘 ‘HDD의 정석’이었습니다.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되는 제품인 만큼, 개인 사용자나 소규모 비즈니스 환경에서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스토리지 퍼포먼스와 신뢰도를 통해 믿고 사용할 수 있는 HDD라고 생각되는데요. 지금까지 저도 수많은 HDD를 용량, 종류, 용도별로 사용해보았지만, 제가 사용해본 HDD 중에서는 가장 매력적인 제품이었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7616842&keyword=ultrastar%204tb&cate=112763
▲다나와에서 WD Ultrastar DC HC310 4TB 더 알아보기


http://prod.danawa.com/info/?pcode=7617235&keyword=ultrastar%2012tb&cate=112763
▲다나와에서 WD Ultrastar DC HC520 12TB 더 알아보기

Lv52 WDC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