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DC 브랜드 리뷰

내댓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리뷰] WD Ultrastar DC HC520 12TB 엔터프라이즈 NAS HDD 안전성에 성능을

아이콘 WDC
조회: 535
2020-02-05 17:23:54


스토리지 시장은 최근 몇년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 입니다.

전반적으로 SSD 가격 하락폭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본적인 기계 부품의 가격 하락이 한계에 다다른 하드디스크 제품군의 가격 하락 요소는 많지 않는 편 입니다. 다만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용량을 늘려가고 있는 상황 입니다.


잠시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정체기에 다다른 시점에 등장한 헬륨을 이용한 하드디스크의 등장은 8TB 이상의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볼 수 있게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HGST가 WD 산하로 들어가서 스토리지 라인업이 서서히 정리되어 가는 와중에 출시된 웨스턴디지털의 Ultrastar DC HC520을 소개 합니다.



웨스턴디지털의 엔터프라이즈 라인업은 HC500 라인은 510/520/530 제품군은10TB~14TB 까지 헬륨을 이용한 충진재를 이용해서 플레터의 숫자와 성능/온도/ 진동에 있어서 다수의 스토리지를 동시에 운영하는 랙이라든지 케이스 폼펙터에 최적화된 제품군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단일 디스크 가격은 래안텍에서 출시한 국내 유통 제품 기준으로 52만원에 구입이 가능하고, 오늘 소개할 HC520 #엔터프라이즈 하드디스크 기준으로 2베이라면 백만원 정도의 구입 비용이 들어갈 정도로 아직은 일반 하디드스크 구입을 생각한다면 높은 비용이 들어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글 말미에 이 비용 지출에 대해서 합당한가에 대해서는 제품의 테스트해보고 마무리 지어 보겠습니다,



전형적인 헬륨 충진을 위한 패키징 입니다. 일반적인 하드디스크가 숨구멍 같은것이 있었다면, 헬륨을 이용한 8TB 이상<타사제품포함>의 제품군의 경우에는 하드디스크가 밀봉이 되어 있습니다.



3.5인치 폼펙터와 SATA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제품으로 NAS등 엔터프라이즈 시장을 위한 제품이 되겠습니다. 참고로 동일한 플랫폼으로 SAS 인터페이스로도 판매는 하고 있습니다.



같은 웨스턴 디지털 산하라고 하더라도 WD RED의 경우에는 5000rpm 제품군이 있지만, 고성능 위주의 엔터프라이즈 하드디스크를 추구하는 HC 라인업은 7200rpm 제품군으로만 구성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헬륨 충전된 하드디스크의 경우에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패키징 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하드디스크 대비 외부하우징의 두께라든지 크기는 더 두껍게 제작이 됩니다.



헬륨을 충진한 제품군의 경우 낮은 발열이 장점 입니다. 하디드스크가 밀집되어 있는 NAS 및 엔터프라이즈 케이스의 경우에는 스토리지 동시 구동에 따른 발열과 진동에 민감한 편인데 1도라도 낮춘다면 냉각 비용을 감소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웨스턴 디지털 HC520 #엔터프라이즈 하드디스크의 경우 안정성이 높은만큼 외장하드디스크에 사용해도 된다는 뜻 입니다. 열 관리에 있어서도 장점이 있는데다 고성능이고 내구성도 높기 때문이죠. 일부 WD의 외장형 하드디스크에 NAS 하드디스크가 들어가는것에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하드디스크를 USB 및 썬더볼트로 연결되는 DAS 사용에 있어서도 장점이 되겠습니다.



USB3,0 외장하드디스크에 헬륨하드를 장착해서 테스트 한번 해보았습니다. 단순한 데스크탑 하드디스크보다 안전성이 높고 24시간 켜두고 외장하드를 사용해도 스토리지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다는 점~~ USB3.0 외장 인터페이스의 속도도 충분하기에 일반 SATA 포트에 연결 후 속도 비교를 한번 해 보았습니다.



일반적인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오가는데 있어서의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아도 될만큼 큰 차이 없는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다만 작은 파일을 지속적으로 많이 옮겨가는 작업이라면 역시 SATA 3로 PC와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더 장점이 있겠습니다. Ultrastar HC520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플레터의 밀도를 증가시키면서 읽기/쓰기 성능이 동시에 향상된 결과 입니다.


<참고: Ultrastar 제품의 경우 PMR 방식의 구동을 합니다. >



다른 테스트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살짝 놀라운점은 외부 인터페이스 전송속도에서는 SATA3가 큰 장점을 보였지만, 액세스 시간은 USB3.0이 더 빨랐네요 하하 몇 번더 테스트를 해볼걸 그랬네요 물론 CPU 점유율 측면에서 차이도 있기는 합니다,. 시스템 부하가 적은 것은 역시 시스템에 직결 하는것이 더 좋네요

<참고: 벨로시랩터의 10000rpm 하드디스크의 경우 액세스 속도 8ms 정도인데 Ultrastar 제품은 이보다 빠른 5~6ms을 기록 합니다>



실 읽기 쓰기 성능에 있어서 성능 보다는 다소 미진한 결과 값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변수가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따라서 이 결과 값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고로 HC5XX 시리즈의 경우에는 SAS 기반의 서버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제품군도 함께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어떤 목적의 사용에 있어서든지 성능에 있어서는 후회할만한 선택은 아니겠지만, 근본적으로 구입 목적은 NAS 및 서버에서의 사용이 되겠습니다.



NAS용 하드디스크 출시 전만 하더라도 웨스턴 디지털에서는 WD Black 제품군과 일반 유저들에게 있어서 하드디스크 끝판왕이라고 했던 벨로시랩터 제품군이 있었습니다. 전 아직도 이 두 제품에 있어서의 내구성은 세월이 흘러가면서 아직도 느끼고 있습니다. 여튼 시대가 원하는 대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손쉽게 일반 유저들도 사용할 수 있다는것은 기술의 발전이 큰 것이겠죠



하디스크의 기판이 한참 많이 줄어들었던 시기가 있었는데 듀얼액츄에이터를 비롯한 RVS 센서 대용량 범퍼 등...여러 이유등으로 기판이 다시 커진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개인이 사용하는 NAS의 경우에는 사실 하드디스크를 대표하는 스토리지의 성능 보다는 외부로 연결되는 네트웍망의 성능에 영향을 더 많이 받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NAS의 경우라도 2개의 1기가 랜포트를 합쳐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오늘 소개하는 Ultrastar HC520의 대역폭을 따라가지도 못 합니다.


최근은 일반 UTP 케이블을 이용해서 2.5Gbps까지 대역폭이 확장되기도 했지만, 근본적으로 광케이블을 이용한 10Gbps이상이 대안이 아닐까 합니다만. 근본적으로 이를 연결하는 중계기와 허브의 가격이 자비가 없는것이 더 큰 벽이 아닐까요



테스트를 위해서 Asustor NAS 장비에 장착해서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8TB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한다면 공식적인 호환성 테스트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NAS에서 인식하는데 있어서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온도는 2TB용량을 가지는 경쟁사의 하드디스크보다도 낮은 결과값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헬륨을 충전한 하드시스크의 전반적인 운영 효율 측면에서 더 유연하다는 장점을 가진것은 사실 인듯 합니다.



NAS 및 서버에서 다수의 네트웍 케이블을 묶어서 최대의 대역폭을 확보하는 기술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식인 라운드로빈을 이용해서 1Gbps 랜포트 2개를 묶어서 200Mb/s속도를 낼 수 있는 대역폭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원래 정석이였다면 802.3ad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허브를 이용한 네트웍 구성이 가장 이상적이기는 했으나, 현재 사용하는 허브를 포트 많은 제품으로 교체하면서 프로토콜 지원이 빠져서 하는수 없이 임시적으로나마 구성했습니다.



그리고 동일하게 PC에서도 2개의 랜포트를 1개로 묶어서 대역폭을 늘려야 하지만, ITX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터라 추가적인 듀얼 랜카드 설치가 안되는 관계로 테스트 상황을 좀더 극한으로 가보기로 했습니다.



1Gbps로 연결된 2개의 시스템에서 Ultrastar HC520이 장착된 엔터프라이즈 하드디스크로 동시에 로드를 걸어 보기로 했습니다. 동시에 데이터가 들어오는 만큼 일반적인 상황이였다면, 1개의 시스템에서 전송 속도가 뚜욱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하겠지만, 링크어그리게이션을 잡아두니 대역폭 제한이 걸리는 상황은 사진 처럼 없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단일 랜포트를 사용했다면 대역폭 정체에 따른 한쪽 시스템의 속도 하락폭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링크어그리게이션으로 대역폭을 늘리고 Ultrastar HC520의 동시에 2대의 시스템에서 부하를 걸게 된다고 하더라도 큰 성능 하락 없이


네트웍 성능: 204.75MB/s

디스크 쓰기 성능: 220.58MB/s


성능을 보여주게 되면서 동시에 데이터 쓰기 성능 대역폭 부하에 있어서 일반 유저 기준 및 데이터 센터에서 활용시에도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줄것으로 생각 합니다. 연 550TB 의 워크로드 성능을 보장 한다고 합니다.



일반 SATA포트와 단일 네트웍 이용시 읽기 쓰기 에서도 딱 그 대역폭 만큼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반 유저들이 이용시 보통 단일 포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비추어 본다면 최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에서도 당연한 결과 값이겠죠



여러모로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14TB라는 용량을 언제 채우냐고 하겠지만, 제가 디스크에 담아보니 하루만에 12TB용량을 채우고도 남았습니다. 영상 1개의 용량은 수십기가에 달하는 경우도 많은 만큼 개인이 사용하는 NAS 및 DAS 장비에 있어서 레이드 구성 뿐만 아니라 장시간 이용에 따른 데이터 안전성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보험같은 성능을 제공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많은 수의 디스크를 일반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경우

- NAS에서의 많은 수의 디스크 및 레이드 구성시 오는 데이터 안전성 측면

- 데이터 센터에서 이용시 헬륨 충전 하드디스크의 발열 관리와 밀집도 대비 용량 증가 이에 따른 부대 비용 감소등이 장점으로 제공 합니다.

기본적으로 Ultrastar HC 라인업이 PMR 방식의 성능과 7200rpm으로 구성된 기업용 제품에 더 특화되어 있는 제품군이기에 멈추지 않는 시스템 및 안전성을 답보해야 하는 웍스테이션 및 개인 시스템에 있어서 좋은 솔루션이 아닐까 합니다.




원문: https://modulestudio.blog.me/221789191885

Lv52 WDC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