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의 플레이 시간만큼 (휴대요금처럼) 과금을 부여
최대 과금은 3만원정도
최소 과금은 0원 무료 플레이시간을 적용하여 해당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무료이용
후불요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접속불가
미납에 대한 부분은 게임접속이 안되므로
결국 게임을 하기위해 미납을 완납해야하는 형식
미납자가 많다는건 그만큼 게임에 대해 문제가 있거나
재미가 없다는 판단에 더욱 열심히 개발 하여 미납자를 납부하여 게임을 하게 한다.
사실상 하루 3~4시간 이상 즐긴다면 과금은 나올수 밖에 없는 구조
일주일에 3~4시간 즐기는 유저는 과금에 대한 부담 없음
이러한 과금 형태로 게임을 개발 및 컨텐츠 개발
많이 하고 오래 즐길수록 더 지불하는 방식 하지만 그 지불에 대한 부담은 크지 않는 선으로
하지만 많이 한다고 더 많은 돈을 지불하는것도 어찌보면 불합리할수 있으니
과금폭탁을 피하기 위하여 부케릭을 육성 과금에 대한 적용은 계정이 아닌
케릭마다 따로 적용 A를 31시간 B를 30시간 했다면 최대시간을 사용한 A케릭에 대하여 요금을
부과하여 하드유저에 대한 빠른 육성과 파밍을 막아 컨텐츠 소모를 최대한 늦추고 모든 유저가
평등할순 없겠지만 크게 앞서가지 못하게 하는 방식을 채택
1. 하루 2~5시간씩 즐기는 직장인
2. 하루 10시간 이상 즐기는 하드유저
3. pc방 유저의 경우 사용시간 만큼 사용한 후불요금을 차감 또한 특정시간을 초과 하였을 경우 캐시백
크게 1번과 2번 부류로 나눠진다고 보고
접속을 오래하는 유저는 후불비용이 많이 발생 -> 기업에서 해당 과금의 일부를 캐시백해준다.
접속을 많이 하지 않는 유저는 후불비용이 적게 발생 -> 기업에서 따로 해줄게 없지만 고려사항
과금때문에 게임접속을 안하거나 못하게 하는건 안좋은 부분
게임의 접속률 및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위하여 검은사막 같은 컨텐츠 [제작 자동낚시 추가로 수련]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고 외출용 컨텐츠로 외출용으로 변경시 모든 컨텐츠는 50% 반감효과를 갖고
후불요금에 대한 적용에서는 제외시킨다.
뭐 이정도로 생각해 봤습니다. 물론 어려운 부분이고 지금과는 아예 다른 방식의
게임을 만들어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게임 개발을 해보고 싶지만 능력이 안되어 포기했지만
그래도 생각한것을 머리속에 두기보단 정리해서 글로남겨보고 싶어 적어봤습니다.
허무맹랑한 글일지 몰라도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는 글이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