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역사관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기타] 야만인 코난과 워크래프트 오크

뱃속탱
댓글: 9 개
조회: 8537
추천: 20
2017-08-18 17:39:43

 

코난의 상징적인 모습인 '왕좌의 코난'

<파괴자 코난>의 엔딩과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의 엔딩.

 

지난번 글에서 얼라이언스 국왕 '바리안 린'이 야만인 코난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란 이야기를 했습니다. 하지만 사실, 워크래프트에 보이는

야만인 코난의 영향은 '바리안 린' 뿐만 아니라

워크래프트의 '오크'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아니, 오히려 '코난과 융합한 오크'는

다른 작품의 오크와 워크래프트 오크를

구분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죽 멜방.

 

 

몽골 모자와 바이킹 투구를 합친 모자.

 

 

 

뿔투구, 가슴을 안가리면서 어깨갑옷은 하는 패션.

 

 

 

 

코난 더 바바리안에 나오는 갑옷과 복장은

지금봐도 멋지고, 화려하고, 독창적입니다.

몽골, 바이킹, 사무라이, 로마 검투사, 켈트..

동서양의 문화가 융합된 복장을 보여줍니다.

 

동양!

 

코난 더 바바리안 영화에는 판타지 영화치곤

드물게 동양인이 주요 등장인물로 나오고

코난의 검술도 동양의 검객에게 배우는 등

동양이 긍정적으로 묘사되는데

 

이런 코난의 특징 역시

 블리자드 오크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종족의 지배자>의 표지. 

 

 

재미있는건 워크래프트의 간판 오크인 쓰랄의 이야기 역시

코난의 이야기에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바리안 린은 '원작 소설 코난'에 영향을 받았고,

쓰랄은 '영화 코난'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종족의 지배자>의 스토리와 <코난 더 바바리안>의 스토리를 비교하면

 

(스포일러를 피하기 위해 하얀 글씨로 했습니다. 드래그 하세요)

 

설산에서 부모님이 적들에게 살해당하고 노예가 되었으며

노예 검투사로 승리를 거듭하다 탈출하고

마지막엔 자신을 노예로 만든 적을 살해하는데..

이 과정에서 주인공이 사랑하는 금발여성이

죽는것도 비슷합니다.

 

이 적과 나누는 마지막 대화도 굉장히 유사합니다.

 

블랙무어는 자신을 파멸시킨 쓰랄에게

"넌 내 최고의 걸작이다! 내가 널 이렇게 만들었다!"라고 말하고,

쓰랄은 이 말에 충격을 받습니다.

 

유사하게, 코난의 적인 툴사둠은 코난에게

"넌 내 아들이다! 내가 널 존재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툴사둠이 부모를 살해하였기에 코난은 복수를 위해

누구보다 강렬하게 살아왔고, 그것이 코난 그 자체이며,

자신을 죽이면 코난도 아무것도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마이에브와 일리단의 대사와도 판박이네요.)

 

다만 코난은 이 툴사둠의 말에 대해

정확한 답을 주지 못하는데, 종족의 지배자에서는

블랙무어가 쓰랄을 만들었지만 테레사, 중사, 스노송, 오그림 둠해머 등등 역시

쓰랄을 있게 만들었다는 감성넘치는 해답을 보여줍니다.

 

둘 다 제가 너무너무 좋아하는 이야기에요.

 

 

 

그저 비주얼이 비슷하거나

그저 이야기가 비슷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감수성을 공유하는게 워크래프트와 코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워크래프트를 좋아하는 사람에겐

반드시 코난을 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이번 주말은 코난과 함께하는게 어떨까요?

 

 

 

 

 

 

 

 

Lv22 뱃속탱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