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목록
-
[포럼] 한국 게임, 활로는 '글로벌 플랫폼'이다.
8월 26일 열린 ‘2025 게임과학포럼’에서 AI 시대 게임 산업의 미래가 논의됐다. 강경석 팀장은 한국 게임이 세계 4위로 성장했으며, 중국 시장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신혜련 교수는 AI와 플랫폼이 인디 게임 개발에 기여하고, 맞춤형 추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원상 이사는 넷마블의 멀티 플랫폼 전략과 ‘나 혼자만 레벨업’ 성공 사례를 소개했다....
게임뉴스 | 기자: 정재훈, 강승진 | 작성시간 08-26
-
[포럼] 김경일 원장 “AI 시대, 인간이 지켜야 할 창의성과 균형”
AI와 인간의 역할 구분 김경일 원장은 현재의 AI가 패턴을 인식하고 규칙성을 찾아내는 데 탁월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속의 이상한 장면을 발견하거나, 기존 데이터에서 벗어난 사례를 식별하는 데는 이미 인간 이상의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는 “패턴에서 벗어난 순간부터는 인간의 생각과 감정이 시작된다”고 말하며, AI가...
게임뉴스 | 기자: 정재훈, 강승진 | 작성시간 08-26
1
-
[인터뷰] 김경일 원장 "게임 본질은 피드백, 산업 정체성 재정립해야"
게임문화재단 산하 게임과학연구원 김경일 신임 원장은 게임이 '정체성'을 파는 산업임을 강조하며, 위탁 연구를 넘어 산업과 학계 연결을 통해 혁신을 추구하겠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비디오 게임 적성평가 기술 개발' 등 실증 데이터 축적과 해외 학술 서적 번역 출판을 병행하며 게임의 긍정적 가치와 사회적 인식 개선을 목표한다....
인터뷰 | 기자: 이두현,김수진 | 작성시간 07-22
-
[게임 심포지엄]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재, 과학적 근거 부족"
게임과학연구원과 국제디지털게임연구학회 한국지회(이하 "DiGRA한국학회")가 공동 주최하는 2025 게임 과학심포지엄이 오늘(18일)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의 주제는 '다면적 플레이어'로, 게임을 즐기는 유저 그리고 그들에게 밀접하게 엮인 문제를 다각도로 훑어보자는 차원에서 채택됐다. 게임 유저 그 자체에 대한 이해는 물론, 그간...
게임뉴스 | 기자: 윤서호 | 작성시간 04-18
14
-
"'유저'에 대한 학술적 연구 필요" 2025 게임 심포지엄 개최
게임과학연구원과 국제디지털게임연구학회 한국지회(이하 "DiGRA한국학회")가 공동 주최하는 2025 게임 과학심포지엄이 오늘(18일)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의 주제는 '다면적 플레이어'로, 게임을 즐기는 유저 그리고 그들에게 밀접하게 엮인 문제를 다각도로 훑어보자는 차원에서 채택됐다....
게임뉴스 | 기자: 윤서호 | 작성시간 04-18
-
김경일 아주대 교수, 제3대 게임과학연구원장 공식 취임
국내 대표 게임과학 연구 기관인 '게임과학연구원(The Game-n-Science Institute, 이하 TGSI)'은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김경일 교수가 제3대 원장으로 공식 취임했다고 밝혔다. 김경일 신임 원장은 게임 심리학 및 인지과학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로, 현재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재단법인 게임문화재단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그간 게...
게임뉴스 | 기자: 정재훈 | 작성시간 04-04
-
게임과 인문학의 만남, '디그라 게임과학 클래스'
국내 최초 게임과학 대중강연 시리즈인 '디그라 게임과학 클래스'가 26일 서울 광화문 CKL 기업지원센터에서 첫 개최됐다. 이번 클래스는 게임과학연구원과 디그라한국학회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디그라 게임과학 클래스는 세계 게임 연구자들의 게임과학 연구를 정기적으로 국내에 소개하고, 한국 게임 산업과 문화에 글로벌 인사이트를 강화하며 대중의 이해 증진을 목표...
게임뉴스 | 기자: 김수진 | 작성시간 08-27
-
국내 최초! 게임과학 대중강연 시리즈 ‘디그라 게임과학 클래스’ 개최
게임과학연구원(代원장 김경일)은 ‘디그라 게임과학 클래스’를 8월 26일(월) 14시, 광화문 CKL 기업지원센터 11층 컨퍼런스룸에서 첫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의 게임과학 대중강연 시리즈로 기획되는 ‘디그라 게임과학 클래스’는 게임과학연구원과 세계 19개국 지회의 한국지부인 디그라한국학회(학회장 윤태진)가 공동으로 제공한다. ‘디그라 게임과학 클...
게임뉴스 | 기자: 강민우 | 작성시간 08-20
-
'2024 게임과학포럼', 게임에 대한 학술적 접근
7월 2일 오전, 양재 엘타워 골드홀에서 '2024 게임과학포럼'이 진행되었다. 게임과 연관한 기초 과학부터 시작해 보다 학술적인 측면에서 게임에 접근해 바람직한 모델을 만들어가기 위한 대의에서 설립된 게임과학연구원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디그라한국학회 윤태진 학회장의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게임과학연구원 산하 센터의 연구 성과 발표로 이어졌다. 이날...
게임뉴스 | 기자: 정재훈 | 작성시간 07-02
4
-
[인터뷰] 게임과 뇌 센터는 왜 '게임 적성 평가 도구'를 만드는가?
Q. 이렇게 만나게 되어 반갑다. 이전에 강연도 듣긴 했지만, 당시엔 조금 다른 주제에 대해 말했었다. '게임과 뇌'센터가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말해줄 수 있나? - 시작은 'ICD-11(국제질병분류-11)'부터였다. 아마 많이 기억하실 거다. 2019년, 세계보건기구(WHO)는 게임을 많이 플레이하는 이들의 정서, 학습, 대인관계 문제를 '게임 이용...
인터뷰 | 기자: 정재훈 | 작성시간 05-22
5
-
[강연] 시대의 변화, 기업은 게이머를 원한다
2024년 4월 11일 오후 1시, 연세대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e스포츠'라는 주제의 게임과학 심포지엄이 진행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노르웨이 아그데르(Agder) 대학의 토비아스 숄츠 교수와 게임과학연구원 안효연 박사, 연세대학교 이병주 교수를 비롯한 석학들이 연사로 참석했으며, 시대 전환에 따른 e스포츠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제로...
게임뉴스 | 기자: 정재훈 | 작성시간 04-11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