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시아 전기] 고레벨로 갈수록 스킬 관련 옵션을 선호! 형상 티어 리스트

게임뉴스 | 이문길 기자 |
프라시아 전기에서 과금의 첫 목표는 영웅 형상 및 탈것을 뽑으라는 말이 있다. 다른 부분은 과금을 하더라도 바로 강해지는 느낌이 나지 않을 뿐더러 효율이 의심스러운 경우가 많지만, 형상과 탈것에 대해서만큼은 영웅~전설을 뽑으면 순식간에 캐릭터가 강해진다.

다만 모든 형상이 1티어는 아니다. 기본적인 옵션은 동일하지만 추가로 붙는 옵션에서 꽤 많은 차이가 나며, 무엇보다 영웅 등급부터는 스킬이 중요해지기 때문에 같은 등급이더라도 효율이 다르다.

특히 초반과 다르게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지금 유저별로 영웅 등급 형상이나 탈것이 몇 벌씩 쌓였을텐데, 우연히 새로운 형상과 탈것을 뽑더라도 이걸 확정시켜야 할 지, 아니면 출혈을 감수하고 다시 돌려봐야할지 고민이 많을 것이다. 이번 기사에서는 고레벨로 갈수록 중요시되는 형상에 대한 티어리스트로 정리해봤다.


▶ 고레벨들이 선호하는 형상은 무엇일까? 누구나 제작할 수 있는 티어 랭킹에서 확인하기!



▲ 성장의 1등 공신인 형상, 과연 무엇이 1티어일까?


전설 등급 형상 티어 리스트




▣ 1티어 옵션은 스킬 피해율과 명중!
가장 많은 유저들이 1티어로 꼽는 형상은 스킬 피해율과 스킬 명중 옵션을 지닌 참격의 기수선각자의 광휘다. 스킬 피해율과 명중 모두 고레벨이 되었을 때 가장 데미지 증가율이 높은 옵션이고, 붙어있는 스킬 역시 2가지 속성 피해를 10 추가하는 옵션이라 버려지는 것이 없다.

단점이라면 속성 추가 피해의 특성상 몬스터의 속성 저항 피해를 뚫기 위해 추가로 기억 회복(컬렉션)을 모아 속성 피해를 올리는 등 세팅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점이다.

물론 전설 등급 형상까지 얻을 정도의 레벨이면, 이미 세팅이 어느 정도 끝난 상태일 확률이 높고, 기억 회복 진척도도 쌓였을테니 그렇게까지 진입 장벽이 높지는 않다.

론도의 영광 역시 치명 7%와 피해 저항 무시, 무기 공격력 증폭, 스킬 명중 옵션으로 무엇 하나 버릴 것 없는 옵션을 지녀 1티어로 손꼽힌다. 무기 공격력 증폭 옵션이 그다지 좋은 효율이 아니기에 살짝 미묘하나, 치명타 7%라는 수치로 인해 치명타가 중요한 환영검사에게는 기수와 광휘보다 좋은 형상이다.




▲ 상위 레벨로 갈수록 스킬 관련 옵션과 속성 피해를 으뜸으로 쳐준다


▣ 2티어에서도 스킬 명중과 스킬 피해율이 선호된다
2티어에서는 황금 사막의 꿈이나 깊은 밤의 응답이 있다. 두 형상 모두 스킬은 상태 이상에 치중되어 있어 PvP를 할 것이 아니라면 버려지는 옵션이지만, 자체 옵션이 좋은 케이스다. 황금 사막에서는 치명타 10%와 스킬 명중 13, 깊은 밤은 스킬 피해율 12%와 피해 저항 무시 9라는 어마어마한 수치를 자랑한다.

강철의 감시자 같은 경우에는 막기 11.5%, 방어력 9와 피해 저항 11, 스킬에서 무기 공격력 저항율 8%와 HP 300옵션으로 탱커에게 최적화된 옵션을 가지고 있다. 메인 탱커를 지향하는 유저에게는 다른 형상보다도 1티어라 할 수 있다.

사냥에서도 유지력이 훨씬 좋아지기 때문에 오랫동안 어시스트 모드를 돌리기 위해 다른 1티어 형상이 있더라도 강철의 감시자를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방어 옵션의 효율이 중요한 PVP에서도 빛을 발하기 때문에 쟁을 자주 하는 유저라면 충분히 졸업 형상이라 할 수 있다.




▲ 스킬은 조금 아쉽지만 기본 옵션이 우수한 형상이 2티어 자리를 차지했다


▣ 3티어 실전성이 떨어지나, 주요 옵션이 붙은 경우
3티어에서는 통곡하는 태양이 있다. 주요 옵션은 치명타 피해율과 치명타 피해 증가이며, 스킬로는 황금 사막이나 깊은 밤처럼 상태 이상과 관련된 옵션이 달려 있다. 겨울 숲의 방랑자와 비슷한 문제를 공유하는데, 치명타 피해율이나 치명타 피해는 기본적으로 치명타율이 받쳐줘야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세팅의 어려움이 있다. 추후 장비를 통해 치명타율이 비약적으로 올라간다면 티어가 상승할 여지는 있지만, 현재까지 그정도의 고스펙을 맞추기란 불가능에 가깝기에 포텐셜만 있고, 실용성은 떨어진다는 평가다.

겨울 숲의 방랑자는 사냥면에서는 2티어까지도 볼 수 있다. 피해 저항 무시와 치명타 피해, 무기 공격력 증폭이 달려있는데, 아쉬운 부분이라면 치명타 피해는 치명타율이 세팅이 되어 있지 않으면 효율이 낮고, 스킬쪽의 부가옵션처럼 달린 상태이상 시간 +110은 크게 체감이 안된다는 점이다. 자체 스펙은 나쁘지 않으나 효율이 나쁜 공격 옵션을 지닌 형상인 셈이다.




▲ 3티어는 실전성이 떨어지는 옵션이 끼어 있지만, 다른 옵션이 좋은 경우다


▣ 4티어 특정 상황에서만 옵션이 발휘되는 형상
이외의 형상은 대보스용 옵션을 주렁주렁 달고 있는 오다의 냉혹이나, 힐러 특화형인 메디아의 대의, 공성용 옵션이 달린 카바르크의 의지, PVP에 올인한 길버트의 긍지 등 쓰임새에 따라서는 2티어까지 올라갈 수 있으나, 범용성이 떨어져 4티어라 평가받는다.

정리하자면 각각의 용도에서는 스페셜리스트라 불릴 정도로 효율이 좋지만, 정작 해당 콘텐츠 외에서는 상위 영웅 형상과 큰 차이가 없다.




▲ 4티어는 특화된 옵션을 지닌 형상들이다


영웅 등급 형상 티어 리스트




▣ 1티어 옵션은 일반 몬스터 관련
영웅 등급에서의 1티어는 사냥에 한정되지만 일반 몬스터 공격력 11과 일반 몬스터 피해 8, 그리고 전투 중 MP 회복 10 스킬이 달린 으뜸자의 영예와 비슷한 옵션에서 명중이 달린 현자의 권위가 좋다. 단순히 사냥만 놓고 본다면 준전설급이라 봐도 무방할 성능이다.




▲ 단순하지만 강력한 옵션으로 원활한 사냥을 도와준다


▣ 2티어는 속성 피해나 스킬 관련 옵션 형상
저레벨에서는 크게 재미를 볼 수 없지만, 상위 레벨로 갈수록 체감되는 옵션인 속성 피해 및 스킬 피해율 형상 역시 인기가 높다. 다만 두 옵션 모두 어느 정도 기억 회복이나 장비 강화를 통해 관련 옵션 수치를 챙겨야 하기에 무작정 초보가 쓰기에는 부담된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2티어로는 탐구자의 혁신 같이 방어 위주의 옵션을 챙겨 유지력을 높여주는 형상이 사냥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많고, 헤스터의 아량과 같이 피해 저항 무시 및 스킬 명중 등 범용성 있게 쓰이는 옵션이 2티어로 꼽힌다.




▲ 고레벨로 갈수록 중요한 속성 피해, 혹은 유지력을 높여주는 형상도 좋다


▣ 3티어 고티어에서의 효율은 떨어지나 저티어 사냥만은 좋은 무기 추가 공격력
3티어에서는 무기 추가 공격력 관련 형상들이다. 무기 추가 공격력의 경우 저레벨 단계에서는 효율이 뛰어나지만, 고레벨로 갈수록 몬스터들의 추가 공격력 피해 저항 수치가 높아져 점차 후순위로 밀리게 된다.

무기 추가 공격력 외의 옵션이나 달려 있는 스킬이 다소 아쉬운 경우가 많기에 3티어로 평가받는다. 다만 앞서 말한 몬스터들의 높은 추가 공격력 저항 수치는 향후 조정될 수 있다고 개발자 노트에서 언급했기에 재평가 받을 여지가 있음을 참고하자.




▲ 개발자 노트에서는 몬스터의 추가 공격력 저항 수치를 낮출 예정이라고 한다


▣ 4티어 특정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범용성이 떨어지는 형상
4티어에서는 전설에서도 그랬듯 PVP에 모든 옵션이 쏠려 있거나, 건물 추가 데미지 등 특정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옵션이 달린 경우다. 또는 메인 옵션도 애매한데, 스킬마저 당장 써먹기 어려운 경우가 보통 4티어에 속한다.




▲ 특정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경우 높은 티어로 쳐주기가 어렵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