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효율적인 닥사는 그만! 빠른 'Lv30 희귀 장비' 파밍을 위한 사냥터

게임뉴스 | 하성철 기자 | 댓글: 3개 |
스펙업이나 판매용으로 희귀 장비 파밍은 필수!
정예 몬스터를 우선 공격하도록 도와주는 탐지 기능
30레벨 희귀 장비를 획득할 수 있는 마을별 사냥터와 정예 몬스터 정리



탐지 기능과 사냥터 선정 시 고려사항!

프라시아 전기의 어시스트 모드는 제한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무한히 해당 기능을 사용하는 게 힘든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사냥터에서 자동 공격(단축키 F)을 이용해 자동 사냥을 하는 경우가 자주 존재한다.

이 경우 캐릭터 주변을 스캔하여 원하는 목표를 찾고 해당 목표를 먼저 공격하도록 도와주는 탐지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탐지 목표를 정예 몬스터로 설정한다면 정예 몬스터를 우선으로 공격하게 되고 보다 효율적인 희귀 아이템 파밍이 가능하다.

※ 어시스트 모드일 경우 자동 탐지 기능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 일반 몬스터는 사냥 시 희귀 아이템은 획득할 수 없다



▲ 정예 몬스터가 희귀 아이템을 드랍하기 때문에 정예 몬스터 위주로 사냥해야 한다


탐지 기능 설정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메뉴-환경설정-전투-탐지'로 이동하여 '자동 탐지 사용'을 '사용'으로 변경한 뒤 아래의 '탐지 우선 순위' 탭으로 이동하면 된다. 해당 탭에서 '특수 대상'과 '플레이어'는 '사용 안 함', '몬스터'는 '사용'으로 설정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몬스터' 탭의 '정예 몬스터'만 '사용'으로 하면 설정은 끝이다.

설정한 뒤 자동 사냥을 시작하면 자동으로 탐지를 주기적으로 사용하면서 주변 정예 몬스터 위주로 사냥을 진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환경설정에서 '전투-탐지-자동탐지'를 사용으로 한다



▲ 해당 탭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탐지 우선 순위' 중 특수 대상과 플레이어를 사용 안함으로 변경한다



▲ 몬스터만 사용으로 한 뒤 정예 몬스터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사용 안함으로 설정한다



▲ 주변의 정예 몬스터를 지속적으로 탐지한다


탐지 설정이 끝났다면 적절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사냥터를 선정해야 한다. 만약 본인이 취약한 부위가 있다면, 당연히 해당 부위의 장비를 얻을 수 있는 사냥터를 선택하는 게 좋다.

드랍되는 아이템을 확인하는 방법은 '메뉴-세계지도' 혹은 '단축키 M'을 통해 세계지도 UI로 이동한 뒤, 확인하고 싶은 사냥터를 클릭하면 된다.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는 출현 몬스터, 발견 가능한 심연석, 권장 레벨, 드랍 아이템 등이 있다.



▲ 세계지도에서 사냥터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지역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몬스터가 드랍하는 아이템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어떤 장비가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면 값어치가 높거나 붙은 스텟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무기→ 특화장비, 장신구→방어구' 순으로 파밍하는 것이 좋다.

무기는 캐릭터의 공격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딜 상승에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비다. 직업에 따라 검, 방패, 텔라, 활이 존재한다. 또한 근거리 명중, 마법 명중, 원거리 명중과 같은 옵션을 얻을 수 있어 중요한 스텟인 명중을 챙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실제로 거래소에서 무기가 모든 장비 중 대체로 가장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특화장비에는 건틀렛, 성물, 각인의돌, 파이프가 있으며 장신구에는 팔찌, 목걸이, 귀걸이, 반지가 있다. 두 장비 모두 명중 스텟 향상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무기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장비 부위로 볼 수 있다. 다만 목걸이의 경우 공격력 상승에는 기여하지만, 별도의 명중 스텟이 붙어있지 않은 점은 참고해야 한다.



▲ 딜 관련 수치나 명중 관련 스텟이 붙은 장비의 우선순위가 높다


어떤 사냥터로 가야 할까? 추천 사냥터와 비추천 사냥터!

■ '황금거리' / '모래벌레 사육장' : 전 직업 특화장비 획득 가능

특화장비가 필요하다면 바닷골 마을 근처의 '황금 거리'와 부랑자 거리 근처의 '모래벌레 사육장'을 권장한다. 특화장비는 무기에 비해선 딜 관련 수치가 아쉬울 수 있으나 높은 명중 스텟을 얻을 수 있는 장비이기 때문에 핵심 부위로 여겨진다.

황금거리의 경우 권장 레벨이 30~32이기 때문에 쉽게 사냥이 가능하다. 이후 어느 정도 세팅이 됐다면 권장 레벨이 33~35인 모래벌레 사육장으로 이동하여 특화장비 파밍을 이어가면 된다. 사냥터를 옮기는 이유는 모래벌레 사육장에서 얻는 특화장비의 경우 추가로 스킬 명중이 붙어있기 때문이다.



▲ 직업 상관 없이 특화장비를 노리고 있다면 '황금거리'와 '모래벌레 사육장'으로!


■ '노예시장' / '운하거리 부둣가' : 직업마다 장착할 수 있는 무기와 특화장비를 한 번에 해결

만일 본인의 직업이 환영검사 혹은 향사수일 경우 산호석 전초기지 근처의 '노예시장'을 추천한다. 권장 레벨은 33~35이며 환영검사와 향사수가 장착할 수 있는 무기와 특화장비 모두 획득이 가능하다. 특히 해당 사냥터에서 획득할 수 있는 환영검사의 특화장비는 근거리 명중과 명중 스텟 모두 챙길 수 있다.

집행관과 주문각인사의 경우 붉은닻 항구 근처의 '운하거리 부둣가'를 권장한다. 위의 사냥터와 마찬가지로 해당 직업의 무기와 특화장비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다만 환영검사의 특화장비의 경우 처럼 보너스 명중 스텟이 붙은 장비는 드랍하지 않는다.



▲ '노예시장'과 '운하거리 부둣가'는 무기와 특화장비 파밍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 '간헐천 지대' / '불타는 벌판' : 장신구를 원한다면? 하나의 몬스터만 사냥해도 팔찌와 반지 획득

장신구 파밍을 원한다면 신기루 마을 근처의 '간헐천 지대'와 호박석 마을 근처의 '불타는 벌판'을 추천한다. 다른 몇몇 사냥터에서도 장신구를 얻을 수 있지만 두 장소는 하나의 몬스터가 팔찌와 반지를 모두 드랍한다. 즉 몬스터 하나만 사냥해도 팔찌와 반지를 모두 획득할 수 있어 사냥 시 장소 이동을 많이 안 해도 되며 이는 빠른 사냥이 가능하게 한다.

간헐천 지대가 불타는 벌판에 비해 권장 레벨이 낮기 때문에 우선 간헐천 지대에서 사냥하다가 레벨 및 파밍 상태를 고려하여 불타는 벌판으로 이동하는 것을 권장한다.



▲ '간헐천 지대'와 '불타는 벌판'에선 효율적인 장신구 파밍이 가능하다


■ '고통의 계곡' / '삼각주 하류' / '붉은 모래 언덕' : 최악의 효율, 비추천 사냥터 TOP3

물고개 마을 근처의 '고통의 계곡', 얽힘공단 마을 근처의 '삼각주 하류', 아슬라니스 마을 근처의 '붉은 모래 언덕' 이 3곳의 사냥터는 가지 않는 게 좋다. 획득할 수 있는 장비의 가치도 다른 사냥터에 비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모두 권장 레벨이 30레벨 후반에서 40레벨로 다른 사냥터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다.

해당 사냥터에서 얻을 수 있는 직업 전용 장비도 다른 사냥터에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스텟을 보유했기 때문에 이 3곳의 사냥터는 추천하지 않는다.



▲ '고통의 계곡' '삼각주 하류' '붉은 모래 언덕'은 웬만하면 피하자!


30레벨 희귀 아이템 획득 사냥터! 권장 레벨 순으로 정리

■ 깊은 숲 속 마을 - 어스름깃털 언덕(Lv.30~32 / 적색 심연석)



▲ 깊은 숲 속 마을 - 어스름깃털 언덕 위치



▲ 어스름깃털 언덕 등장 몬스터 정리


■ 바닷골 마을 - 황금 거리(Lv.30~32 / 청색 심연석)



▲ 바닷골 마을 - 황금 거리 위치



▲ 황금 거리 등장 몬스터 정리


■ 볕소금 마을 - 소금바람 항구(Lv.30~32 / 녹색 심연석)



▲ 볕소금 마을 - 소금바람 항구 위치



▲ 소금바람 항구 등장 몬스터 정리


■ 황금수수 마을 - 푸른 용의 숲(Lv.30~32 / 청색 심연석)



▲ 황금수수 마을 - 푸른 용의 숲 위치



▲ 푸른 용의 숲 등장 몬스터 정리


■ 갈무리 마을 - 가려진 숲(Lv.33~35 / 황색 심연석)



▲ 갈무리 마을 - 가려진 숲 위치



▲ 가려진 숲 등장 몬스터 정리


■ 부랑자 거리 - 모래벌레 사육장(Lv.33~35 / 청색 심연석)



▲ 부랑자 거리 - 모래벌레 사육장 위치



▲ 모래벌레 사육장 등장 몬스터 정리


■ 산호석 전초기지 - 노예시장(Lv.33~35 / 적색 심연석)



▲ 산호석 전초기지 - 노예시장 위치



▲ 노예시장 등장 몬스터 정리


■ 신기루 마을 - 간헐천 지대(Lv.33~35 / 청색 심연석)



▲ 신기루 마을 - 간헐천 지대 위치



▲ 간헐천 지대 등장 몬스터 정리


■ 깃털펜 마을 - 어둠장벽(Lv.36~38 / 황색 심연석)



▲ 깃털펜 마을 - 어둠장벽 위치



▲ 어둠장벽 등장 몬스터 정리


■ 담쟁이 마을 - 경계지 숲(Lv.36~38 / 녹색 심연석)



▲ 담쟁이 마을 - 경계지 숲 위치



▲ 경계지 숲 등장 몬스터 정리


■ 붉은닻 항구 - 운하거리 부둣가(Lv.36~38 / 황색 심연석)



▲ 붉은닻 항구 - 운하거리 부둣가 위치



▲ 운하거리 부둣가 등장 몬스터 정리


■ 수풀민 마을 - 은빛태양 시가지(Lv.36~38 / 녹색 심연석)



▲ 수풀민 마을 - 은빛태양 시가지 위치



▲ 은빛태양 시가지 등장 몬스터 정리


■ 단풍 마을 - 잿빛안개 폐허(Lv.39~41)



▲ 단풍 마을 - 잿빛안개 폐허 위치



▲ 잿빛안개 등장 몬스터 정리


■ 샘못 마을 - 모래폭풍 용병기지(Lv.39~41 / 황색 심연석)



▲ 샘못 마을 - 모래폭풍 용병기지 위치



▲ 모래폭풍 용병기지 등장 몬스터 정리


■ 얽힘공단 마을 - 삼각주 하류(Lv.39~41 / 적색 심연석)



▲ 얽힘공단 마을 - 삼각주 하류 위치



▲ 삼각주 하류 등장 몬스터 정리


■ 흰꽃마을 - 아민타 검문소(Lv.39~41 / 적색 심연석)



▲ 흰꽃마을 - 아민타 검문소 위치



▲ 아민타 검문소 등장 몬스터 정리


■ 가려진 마을 - 고대유적지(Lv.42~44 / 황색 심연석)



▲ 가려진 마을 - 고대유적지 위치



▲ 고대유적지 등장 몬스터 정리


■ 물고개 마을 - 고통의 계곡(Lv.42~44 / 녹색 심연석)



▲ 물고개 마을 - 고통의 계곡 위치



▲ 고통의 계곡 등장 몬스터 정리


■ 아슬라니스 마을 - 붉은 모래 언덕(Lv.42~44 / 녹색 심연석)



▲ 아슬라니스 마을 - 붉은 모래 언덕 위치



▲ 붉은 모래 언덕 등장 몬스터 정리


■ 호박석 마을 - 불타는 벌판(Lv.42~44 / 녹색 심연석)



▲ 호박석 마을 - 불타는 벌판 위치



▲ 불타는 벌판 등장 몬스터 정리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