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화 후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기타] 크론석 발크스 스택작 케릭

아이콘 금성임다
댓글: 4 개
조회: 6025
추천: 1
2019-11-16 14:58:41

크론석이나 발크스는 기본적으로 펄템입니다.

돈을 쓰는 만큼 강화를 쉽게 해주는 거죠. 기타 어쩌고는 생략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강화를 보다 쉽게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크론석은 강화실패시 강화하락을 방지해 줍니다

발크스는 강화실패시 상승할 스택을 미리 채워 줍니다


강화는 보스템을 기준으로 합니다


장광 단계에선 크론석이나 발크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요즘은 고강화에서 크론석이나 발크스를 쓰는 데 이것은 모두 거래소 개편과 함께 온 '기파가격의 대상승'에 따른

강화 방식의 변화입니다. 즉, 크론석이나 발크스를 쓰는 것이 강화실패시 손실되는 기파가격보다 싸기 때문입니다


크론석은 거래소에서 펄옷을 사서 갈갈이 시에 개당 1백만으로 봅니다

발크스는 같은 방식으로 개당 4백만으로 봅니다


-----------------------------------------------------


1. 보스템 고에서 크론트


고 크론트시 크론석 34개, 약 3천 4백

고트 실패 후 광 복구시 30스택(광확률30%) 대략 3트 기준으로 기파20 응축3 스택값 약2천 대략 7천 소요.


순수하게 소요비용만 따지면

단연 고에서 크론트가 비용이 덜 듭니다

그럼에도 크론트를 하지 않는 이유는 강화는 단 한번으로 끝나지 않고 고유동까지 쭉 가야하기 때문에

어차피 스택이 필요하기 때문이고 이 스택을 쌓기 위해선 실패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아니 스택작은 녹템으로 하고 보스템은 그냥 쭉 성공하는 게 좋잖아? 그렇죠.

최근의 경향은 이렇게 가고 있고 이 이유또한 기파가격의 상승때문이죠.


2. 어느 스택에서 크론트를 할 것인가?


50스택에서 고강화 확률은 대략 38% 스택값 대략 1억 

40스택에서 고강화 확률은 대략 30% 스택값 대략 5천


본인의 선택입니다.


40스택은 쌓기 쉽고 50스택은 어려우니 그냥 40스택에서 하겠다

무슨 소리, 30%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데 난 40%에서 하겠다하면 50스택에서 합니다.

참고가 된다면 전 50스택에서 합니다.


3. 아니 그럼 유스택은 어떻게 만들어?


이거는 아래 스택작에 따로 말씀드리겠습니다

------------------------------------------------------------


발크스는 언제 쓸 것인가


30스택 1천 5백

40스택 5천

50스택 1억

발크스 10개 4천.............이 가격을 기준으로 보면


30스택에서부터 발크스를 써도 충분하죠. 다만 이 가격의 기준이 거래소 광녹템이 기준이라서

직접 스택작을 하는 것을 기준으로하면 40스택도 4천이하로 만들어 지고 이때는 40스택 이후부터

발크스를 쓰는 것이 좋겠죠.


다른 식으로 말해보면


40스택에서 고보스 트라이를 실패하면 44스택이 되는 데 여기에 다시 고보스 트라이를 하는 것과

40스택에 발크스 4개를 얹어서 44스택에서 고보스 트라이를 하는 것을 비교해보심 되겠습니다


40에서 고트 실패하고 광복구를 다시 할려면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대략 7천만이 더 들어가죠.

발크스 4개면 1천6백입니다. 40에서 크론트를 한다고 해도 3천4백입니다. 40스택에서 확률과 44스택에서 확률을

따져보면 발크스 1천6백만어치가 아깝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럼 40에 발크스 8개를 얹는 것은 어떨까요?

이것은 역시 본인의 선택입니다.

최근의 추세는 고트라이 스택을 처음부터 높이 가는 거죠.

녹템으로 44스택까지 만든후에 발크스 4개나 8개를 얹고 48이나 52에서 크론트를 하는 거죠.

(발크스 5개나 10개를 얹어도 됩니다. 4단위로 가는 것은 저만의 습관입니다)


이 모든 것의 전제는 펄옷이 원할하게 공급이 된다는 가정하에 입니다.

---------------------------------------------------- 


그럼 고보스템 만드는 것을 글로써 간단히 시뮬레이션 해보겠습니다


1. 20스택까지 블스로 쌓는다


2. 32까지 장녹템으로 쌓는다................여기까지 스택작케릭에서 하고 비젼서로 추출합니다.

                                                       보스템 광트라이 경우 여기서부터 3트 실패하면 40비젼서로 추출.


3. 44까지 광녹템 고트 3회 실패시킨다


4. 44 + 발크스 4 또는 8 = 48 또는 52 에서 크론트 한다.


이렇게 하면 고트에서만 1회 실패시 기파 10개만 소모해서 보스템을 간단히 만들수 있습니다.


유스택은 위에 3번 44스택에 고녹템 2회 혹은 4회까지 실패시킨 후 발크스 10개를 얹으면

64 또는 74스택이 되죠. 여기서 부터 고보스 트라이 들어가시면 되겠습니다


------------------------------------------------


유나 동에서는 크론트를 할 것인가?


보스템의 경우

유에서는 대략 110스택까지 노크론트........110스택은 유악세로

동트라이시는 140~170까지 노크론트.........동크론트는 최하 140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동스택은 110스택에 유녹템을 넣어도 좋을 거 같네요.


검은별 무기같은 경우 고는 80스택에서 크론트를, 유는 140이상에서 크론트를 추천합니다.


------------------------------------------------------

스택작 케릭은

만들면 강화만 죽어라 하게될 수도 있어서 어떨지 모르겠네요.

스택작 재료 14강 레플이나 장광녹템 같은 것의 개수는 본인 선택입니다.


스택작을 할 때


무조건 20까지 블스 30까지 장녹템 40까지 광녹템 ???


아니죠. 역시 본인 선택입니다. 오늘 블스가 잘 붙으면 0스택부터 응축을 써도 되는 거죠.


또 응방이 싸서 재료는 보통 녹템 방어구를 쓰지만 부케에 고녹템 정도 맞춰주고싶다 한다면

부케용 무기를 재료로 써도 되고, 아쿰이나 헤라 그루닐 등을 써서 고가 되면 부케용으로 써도 됩니다.


Lv77 금성임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검사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