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치 이후에, 많은 분들이 분쇄를 재발견했죠.
저 역시도 패치되자마자 분쇄의 성능개선에 주목하고 패치날 써보고 감탄했습니다.
그 뒤 분쇄와 여러 궁합을 맞춰보면서 이리저리 써봤는데 결론적으로 제가 생각하기에 가장 분쇄중에 스피디하고 파워풀하면서도 안정적이라 생각하는 게 분쇄+돌진 조합입니다.
분쇄돌진을 추천하는 글은 없는거 같아서, 아마 이렇게 쓰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혹여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소개차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검방일때 쓰는 조합입니다.

1. 이 빌드의 핵심은 뭐니뭐니해도 분쇄- 피의갈증 룬입니다. 이 룬 덕분에 모든게 가능해지는 겁니다.
무려 생흡 9% 라는, 엄청난 피흡스킬입니다. 이건 이제는 보복을 훨씬 뛰어넘는 야만의 좀비스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아이템 생흡과 달리 생흡 9%라는 어마어마한 수치는, 가령 자신의 딜이 5만만 되어도
피흡을 4500한다는 겁니다. 실제 그렇게 들어가는지 정확히는 모르나, 체감으론 충분히 그렇게 적용됩니다.
이 스킬로 인해서, 야만은 공격과 동시에 강력한 생존을 보장받습니다.
물론 방어가 안되는데 견딜리는 만무하지만, 거의 대다수 야만이 이제는 모저 700이상 방어력 7000이상은 기본적으로 된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저렴한 템이 많아서 모저만 1000 정도 올리는 건 일도 아니지요.
물론 거기에 더해서 골고루 생흡이나 적생을 갖추고 딜을 더 올리는건 꽤나 힘들지만 말이죠.
여튼 대략 기본적 방어가 되는 야만이 4만딜만 넘어가도 이 분쇄는 강력한 피흡으로 안정성을 보장해 줍니다.
특히 검방은 방어가 더 높기에, 양손이나 쌍수보다 안정성은 더 큽니다. 한손은 공속이 빠르니까 분노수급이 빠르기 때문에,
즉 분쇄를 양손일 때보다 훨씬 자주 쓸수 있다는 겁니다. 즉 그 의미느 보다 더 피흡을 자주하는 거죠.
그래서 방어가 좀 되면 장판위에서도 왠만하면 좀비딜이 될 정도입니다. 즉 패치 이전의 압도적우세와 동일한 셈입니다.
아니, 오히려 더 강력한데 그 이유는 분쇄는 쿨이 전혀 없는데다가 지속적인 딜을 계속 줄수 있기 때문이죠.
2. 왜 맹돌이냐. 이 조합은 평타 제외하면 분노수급기가 없습니다. 즉 분노는 온전히 분쇄를 위해 쓰이기 때문에
분노가 들어가지 않는 공격기가 필요해지는데, 거기에 딱 적합한게 바로 보복 혹은 맹돌입니다.
보복을 쓸경우, 분쇄와 결합하면 완전 슈퍼 좀비기술이 됩니다. 그러나 단점이 있죠. 이속이 너무 느리다는 점.
근딜 몹에게는 상관없으나 박쥐같은 원딜 몹, 특히 3막 뚱땡이같이 얄미운 몹에게는 때리지 못해서 피흡을 못하고 죽을 위험이 있죠.
그래서 전혀 분노는 안들면서도 공격을 할수있으면서도 회피까지 되는 맹돌이 딱맞는 궁합이 되는 겁니다.
맹돌은 회피도 겸하는데다 '힘세고 강한 돌진'룬을 통해서 쿨타임도 자주 초기화 되기에 스킬 자체가 상당히 강력합니다.
즉 이른바 과거 돌진학살 바바의 장점을 가져온 셈입니다. 차이라면 분쇄로 인해 생존성이 엄청 높아진 거죠.
3. 격노는 습격자의 분노로 공격력 30% 상승을 합니다. 왜냐면 이 스킬트리는 분노수급은 신경쓸필요가 없거든요.
즉 딜만 올려주면 됩니다. 같은 의미로 패시브 스킬도 무자비-무달-미신을 갑니다. 분쇄가 피흡을 커버하기 때문에 패시브도 최대한 딜 스킬을 쓸수가 있어진거죠.
만약 방어가 좀 많이 낮거나, 생흡이나 적생 기술이 전무하다면 아플수가 있습니다. 그때는 무달 대신 피갈증이나 철갑못을 가시면 됩니다.
4. 마지막으로, 평타는 후려치기 또는 가르기를 씁니다. 왜냐?
이젠 광분의 장점이 더이상 없기 때문입니다. 한손일땐 후려치기, 양손은 가르기가 훨 좋습니다.
광분은 한대당 분노수급이 너무 적고, 발동하는데 시간이 걸리는데 그시간동안 분노가 충분히 안모여서 분쇄를 써주기 힘든 상황이 올수도 잇습니다.
후려치기의 징벌 3중첩이면, 광분 5중첩 미치광이와 동일한 딜이 됩니다.
그런데 분노수급은 훨씬 잘되는데다 한대당 데미지가 더 높습니다.(165%) 쉽게 말해서 후려치기 두방이면 분쇄 한번 씁니다.
양손은 공속이 많이 느리기 때문에 분노수급이 좀 느려서 후려치기 보단 가르기가 훨 효과적입니다.
<모든 동영상은 720p 까지 가능하기에 자세히 스팩이나 수치를 보고싶으시면 고화질로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