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적

인증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심장실험) 약제사 작동방식 집중실험 (업뎃1)

SongAk
댓글: 67 개
조회: 10138
추천: 96
2023-08-04 13:38:32

🔺모바일 환경에서는 폭이 좁아 문단이 밀리거나 뒤틀려 보일 수 있습니다

 오늘 공개할 내용은 약제사의 작동 방식에 대해 알아내기 위한 실험입니다.
다음의 주요 목표를 두고 밝혀내기 위한 실험을 시행했습니다.


     ============= 실 험 주 제 ============= 
     1. 약제사는 일반 주입처럼 작동하는가?
          ⭕ 주입된 스킬처럼 작동하는가? 각 주입의 하위 패시브의 작동 여부
          ⭕ 효력 증가를 받는가?  예) 효용성 문양

     2. 발동 시 데미지는 주입된 스킬처럼 간주하는가? 특이점이 있는가?
          ⭕ 발동 시 최초 적중 데미지는 물리데미지? 속성데미지?
          ⭕ 정밀 주입 (주입된 스킬의 극확 9%) 패시브 및 각종 하위 패시브와 상호작용 등

     3. 혼합 발동 시 규칙은? 냉기 패시브의 취약과 동시 발동 같은 상황에서
     ================================== 

2023-08.05. 업데이트 1차
  1. 암흑/독/냉기 피해증가 옵션 혼합 사용 시 작동방식 실험 추가 (바로가기)
  2. 주입된 기술 극대화 피해 추가 옵션 작동방식 실험 추가 (바로가기)


◽약제사의 주입과 관련한 기능(들)의 작동 여부 평가하기
실험 자료는 첨부파일의 '프로젝트_약제사테스트' 시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표. 본문 10초 요약 

결과를 요약하면
실험에 측정한 대부분의 조건에서
     기능들이 작동해야만 얻을 수 있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했습니다

✔소름돋는 전리품(전설 노드) 
약제사 발동에서는 버프 아이콘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버프아이콘이 없어도 히든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측정을 시행하지는 못했습니다.



◽ 판단 과정 및 근거 자료 살펴보기

🔺이어지는 표 두 개에 포함된 정보들이 모든 평가의 판단 근거가 되니 주의깊게 보시길 바랍니다.

실험 자료는 첨부파일의 '프로젝트_약제사테스트' 시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위와 같이 각각의 목표 값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 A1 부터 G4 까지 17개의 실험을 설계를 합니다.

  • 이 실험의 결과로 다음 표의 결과를 얻었습니다. 각 실험 마다 표본은 100개입니다.
    진짜로 지옥같은 자료 수집 시간😆
       (시도 1회 당 시간 * 1700)
       ──────────
           =  WTF
      (비제압% * 비치명% * 15%) 


실험 자료는 첨부파일의 '프로젝트_약제사테스트' 시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 독 주입
  1. 강화된 독주입 (A1 vs A2)

    ♾️판단 기준: 기본값 대비 12%의 총 독피해 증가 / 표기되는 틱수 : 12회(13회) 
    ♾️측정 값 : 기본값 대비 11.23% 의 총 독피해 증가, 표기되는 틱수 12회(13회) 확인👍작동

  2. 혼합 독주입 (A2 vs A3)

    ♾️판단 기준: 강화된 독주입 대비 75% 의 총 피해량 증가
    ♾️측정 값 : 강화된 독주입 대비 78.52% 의 총 피해량 증가 👍작동

  3. 뒤섞은 독주입 : 시행안함

    이전 실험의 경험에 비추었을 때, 그리고 다른 패시브의 작동여부에 비추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으로 추정 가능

B. 암흑 주입
  1. 뒤섞은 암흑주입 (B1 vs B2)

    ♾️판단 기준: 기본 암흑주입 만료피해량 대비 12% 의 총 피해량 증가
    ♾️측정 값 : 기본 암흑주입 만료피해량 대비 12.75% 의 총 피해량 증가 👍작동

  2. 강화된, 혼합 측정 안함

C. 냉기 주입
  1. 강화된 냉기주입 (C2)

    ♾️판단 기준: 약제사 발동 시 취약 발동확률 24 = (61% x 40%)
    ♾️측정 값 : 약제사 발동 시 취약 발동확률 29% 👍작동

  2. 뒤섞은 냉기주입 (C1 vs C3)

    ♾️판단 기준: 감속(CC) 중 약제사 발동 시 최초 적중 피해량 증가 20%
    ♾️측정 값 : 감속(CC) 중 약제사 발동 시 최초 적중 피해량 증가 22.24% 👍작동

  3. 혼합 냉기주입 (C4)

    ♾️판단 기준: 약제사 치명타로 발동 시 빙결 확률 12.2%
    ♾️측정 값 : 약제사 치명타로 발동 시 빙결 확률 13.0% 👍작동

E. 정밀 주입
  1. 판단 (E vs E2, E2-2)

    ♾️판단 기준: 약제사 발동 시 적중한 최초 데미지의 극확 증가 9 
    ♾️측정 값 :  약제사 발동 시 적중한 최초 데미지의 극확 증가 26%,  28% 👍초과하여 작동
    ♾️기본 값은 케릭터 스펙인 35.5% 에 근접하게 나왔습니다. 37.0%

    🔺패시브의 수치보다 약 세 배 높은 극확 증가 보너스가 관찰되었음이 확인.

    🔺세 배?  주입이 3개라서?  약제사 발동을 이끌어낸 최초 피해에는 세 가지 타입이 모두 존재할까?


A4. 정복자 효과 : 효력 증가
  1. 판단 (A2 vs A4)

    ♾️판단 기준 : 약제사 발동 시 독피해량 증가 20 (효용성 문양 수치)
    ♾️측정 값 :  약제사 발동 시 독피해량 증가 24 👍작동

    ★ 민첩 25 효과 차이 고려
       민첩 579 → 604   (1.58% 피해량 상승, 1,604 / 1,579 - 1 )

    🔺제가 실시한 이전 실험 글링크 '(위상실험) 타락 위상 작동방식 탐구' 의 결과와 교차해서 보면 효력증가는 제약사의 발동에서도 독피해, 암흑폭발이나 오한효과 모두 같은 방식으로 정상 적용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F. 비물리 / 물리 피해 여부는?
  1. 실험 빌드의 물리/비물리 피해결정요소 차이점 계산
    ♾️물리피해 증감 : +148.5%   (상대증감비 +8.75%)
    ♾️비물리피해 증감 : +128.5%  (상대증감비 -8.05%)
    ♾️나머지 데미지 증감 요소는 완전 동일함

  2. 측정 기준 및 결과 (C1 vs F)
    ♾️판단 기준 : 약제사 발동 시 적중 피해량(C1) 보다 비발동 시 피해(기록 F)가 +8.75% 인 경우
    ♾️측정 값 : 약제사 발동 시 적중 피해량(C1) 보다 비발동 피해(기록 F) 가 +7.31%
     높음
               👍비물리일 가능성 높음

🔺7.3%의 차이 값은 표본의 크기가 작아 낮은 확률이지만 오차범위에 해당할 수도 있다
🔺그러나 최소와 최대값 모두 비 발동 피해량(물리)에서 더 높게 측정된 것 (17→21 / 33→35)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G1. 속성 피해 옵션 적용  1차 업데이트로 추가
   🔺
주입된 기술 피해 : 약제사 발동을 만들어낸 스킬의 최초 적중 피해가 측정 대상

  1. 판단 지표 만들기 : 반지 착용 전/후 피해증가 차이 계산
    ♾️착용 전 : +91.0%    (기록 G1)
    ♾️착용 후   ────── (기록 G2)
        암냉독합 +155.4% (최종피해 증감비 +33.72%)
        암흑 +114.2%       (최종피해 증감비 +12.15%)
        냉기 +110.5%       (최종피해 증감비 +10.21%)
        독 +112.7%          (최종피해 증감비 +11.36%)
    ♾️나머지 데미지 증감 요소는 완전 동일함

  2. 측정 결과 (G1 vs G2)
    ♾️판단 기준
        a. +33.72% 에 근접한 경우 → 세 옵션 모두 동시에 적용할 가능성이 더 높음
        b. +10% 에 근접한 경우  → 하나의 옵션만 적용할 가능성이 더 높음
            └ 이 경우 세 속성 중 어느 옵션만,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는 추가 실험이 필요함
        c. 0% 에 근접한 경우 → 속성 피해 옵션 적용 없음

    ♾️측정 값 : +13.83%   (판단 b)
    👍여러개의 속성 피해 증가 중 하나의 옵션만 적용할 가능성이 더 높음


   🔺주입된 기술 피해 : 약제사 발동을 만들어낸 스킬의 최초 적중 피해를 말함 (주입이 아님)
  1. 판단 지표 설계 : 장갑 착용 전/후 극대화 피해 차이 계산
    ♾️착용 전 : +50.0%     (기록 G3)
    ♾️착용 후 : +70.3% (상대증감비 +13.53%)   ── (기록 G4)
        3배 시 : 110.9% (상대증감비 +40.60%)
    ♾️나머지 데미지 증감 요소는 완전 동일함

  2. 측정 결과 (G3 vs G4)
    ♾️판단 기준
        a. +13.53% 에 근접한 경우 → '주입된 기술 극대화 피해' 옵션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적용
        b. +40.60% 에 근접한 경우  → 세 배로 적용
        c. 0% 에 근접한 경우 → 주입 기술 극피 적용 없음

    ♾️측정 값 : +43.16%  (판단 b)   👍 세 배 적용 가능성이 더 높음


🙀기타 관찰한 지점

  1. 약제사 발동 시 강화된 냉기주입 패시브로 인한 확률적 취약이 동시에 걸리면?
    ★ 독 피해는 취약 보너스만큼 증가된 값으로 적용받았다.

    ★ 암흑주입의 만료 시 피해는 증가되지 않았다.

    ★ 이와 같은 혼합 발동 시 암흑주입이 더 앞선 순서로 계산됨을 추정할 수 있다. 
     예) 암흑주입 적용 → 취약(강화된 냉기주입) 적용 → 취약 상태로 독 주입 적용

  2. (누군가의 의뢰)
    암흑 주입을 직접 사용한 상태에서 약제사가 동시에 발동 시 뒤섞은 냉기주입(CC 적에게 20%증뎀) 이 발동하는가? 그렇다

    ★ 암흑주입을 직접 쓴 상태에서 약제사가 동시에 발동하는 것이 가능했으며 뒤섞은 냉기주입과 함께 있을 경우 최초 적중 피해가 최대값 38, 36 등 그렇지 않을 때인 최대 33 보다는 확실하게 20% 정도가 증가된 값이 측정. 측정값 10 회 내로 빠르게 관찰되어 실험은 짧게 종료함

    ★ 주의: 뒤섞은 냉기주입은 주입이 아닌 '주입된 기술' (다른 말로 표현하면 주입 발동을 유발하는 기술) 의 피해만 올려주는거라 암흑 폭발 데미지/독 데미지와는 무관함.

◽실험 통제 정보
A. 실험 위치 선정
  • 생명력 재생 어픽스, 29단, 뒤틀린 공동, 원한 서린 영혼, 생명력 증가


  • 업데이트 1차 실험 : 28단 사라트의 은신처, 피바람 거미(생명력 증가), 생명력재생


B. 무기, 스킬, 케릭터 세부 스탯, 위상
  • 기본 활, 기본 단검 사용
  • 정복자 최소화, 문양 전부 제거, 전설 노드 전부 제거
  • 꿰뚫는 사격(추가패시브X), 구멍뚫기(감속 CC용, 취약패시브X)
  • 위상: 위세, 불복, 천벌, 어스름한 (실험 조건과 관계없는 위상SET)


C. 변인 통제 계획

  • 부상당한 적 발동 회피 : 절대 피를 깎을 수 없는 몬스터 그룹 선정: 
  • 덫에 걸린적 추가 피해 발동 회피 : 덫 사용 계획 없음
  • 근접 피해 보너스 상시 유지 : 근접 거리에서만 실험
  • CC조건 실험 통제 : 반드시 구멍뚫기 사용하여 디버프 효과 있는지 확인
    └기타 효과 중첩 방지 : 감속을 위해 구멍뚫기 사용 시 구멍뚫기로 인해 빙결 등 약제사 발동의 변수가 터지는 경우는 감속만 걸릴 때 까지 건너뜀



실험 자료는 첨부파일의 '프로젝트_약제사테스트' 시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맺음말
🙀 이 글의 중요한 포인트를 다시 반복하면 실험한 주입과 관련된 기능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습니다. 실험하지 않은 더 많은 관련기능들이 있지만 대부분은 작동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치명적인 맹독, 연금술사 시리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실험 없이도 필드에 나가서 기본 기술을 톡톡 쏴 보는 것 만으로도 발동이 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1차 업데이트로 수정
🙀 놀라운 점은 정밀 주입 3포인트의 극확 보너스를 9%가 아닌 26% 이상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세 가지 주입이 각각 독립적으로 보너스를 받은걸까요(9% 9% 9%) ? 툴팁과 약제사 발동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결과값을 보았을 때에는 이 쪽의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주입된 기술의 극대화 피해옵션도 세 번의 적용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아 보였습니다.
   (실험 G3 - 바로가기)

🙀 소름돋는 전리품은 버프형식으로 작동유무를 볼 수 있는데 약제사 발동에는 버프가 발생하지 않는군요. 실제 피해량도 변화가 없는가? 에 대해서는 정밀하게 실험해야만 확실해 질 수 있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정황으로 판단하면 적용이 안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봅니다.

 저는 이번 실험으로 약제사와 관련한 궁금증을 대부분 해소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다양한 의견이 새로운 영감을 주기도 하고 시각을 넓혀주기도 했습니다. 여러가지 의견을 내주신 분들께 감사드리며. 참을 수 없는 궁금증이 생길 때 다시 업데이트를 해보겠습니다


Lv37 SongAk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디아4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