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설계, 게임 밸런스에 대해서
ー 야생의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또는 야생에서 사용을 목적으로 설계한 카드는 있습니까? 또한 앞으로 야생에 대해서는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습니까? 예를 들면 정규전에서는 별로 잘 안쓰이지만, 야생전에서 필요한 구멍을 채우기 위한 카드입니다.
Stephen Chang: 우리들이 신규 확장팩을 설계할 때는 그 테마의 분위기를 소계하고 싶은 메커니즘에 맞는 최고의 카드를 설계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신규 확장팩이 발매되면 기존의 덱에 추가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덱의 아키타입을 찾아볼 수도 있어서 정규나 야생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있어 흥분되는 일입니다. 특히 울둠의 구원자 확장팩에서 이미 공개한 카드에 관해서 말씀드리자면, 퀘스트 중인 탐험가는 운고로의 퀘스트랑도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어떠한 포맷(정규나 야생)에서 강해지는 경향도 있습니다만, 플레이어가 그 카드의 사용법을 찾는 것을 재미있게 설계하려고 합니다.
ー 질리악스가 전체 66%이상의 덱에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밸런스 팀에 있어 문제는 있습니까? 과거에 별로 채용률이 큰 카드는 밸런스 조정(너프)의 대상이 된적이 있었습니다. 현재 상황에는 만족하고 있나요?
Stephen Chang: 저희는 질리악스가 발매된 후 계속 주시를 해왔습니다만, 현재 메타의 위치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많은 덱에 채용되고 있습니다만, 각자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질리악스를 합체의 모델 케이스가 되는 카드로 설계하였으므로, 그것이 실현 된 것을 즐겁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메타에서의 강력함을 계속 감시하겠지만, 현시점에서는 전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ー 발견, 생명력 흡수, 속공 등 새로운 효과를 갖고 있는 카드가 향후 기본 카드나 오리지널 카드에 추가될 가능성은 있나요?
Liv Breeden: 기본 카드에는 추가되지 않습니다. 기본 카드는 플레이어에게 직업의 특징을 알릴 수 있는 하스스톤의 중심적인 세트가 되었으면 하니까요. 오리지널 세트에 추가 하는 것은 가능합니다만, 로테이션이 없는 세트에 추가 하는 것은 주저하게 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적절한 기회가 있을 때 검토 할 것 입니다.
ー 직업의 약점을 강조하는 것은 매우 좋은 일이네요.
한편 (각 직업의 카드를 설계할 때는) 하나의 직업으로 다양한 플레이 스타일을 갖게 하고 있나요? 아니면 특정 덱 타입에 중점을 두고 있나요?
Liv Breeden: 시간이 경과하면서 어떤 직업이 다른 스타일을 갖게 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스타일로 새로운 덱을 준비하는 것은 저희의 게임 설계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약점을 갖게 함으로서 그 직업의 강점은 더욱 강조됩니다. 특정 직업을 특정의 한 개의 덱을 사용하게 하는 것이 아니고, 그 약점을 명확하게 하는 것 입니다. 직업의 아이덴티티(특성)을 갖는 것으로 그러한 강점을 더욱 개성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ー 사제는 새로운 전체 제압 카드를 얻었습니다. 사제는 어떠한 세트에서도 강력한 하수인이 적었으며, 콤보를 달성할 때까지 주문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사제의 기본 세트나 오리지널 세트에 조정을 진행하거나 전체 제압 주문을 추가할 계획은 있나요?
Liv Breeden:기본 세트와 오리지널 세트의 강력한 전체 제압이 없다면 사제가 확장팩 마다 명확히 다른 특성을 갖을 수 있습니다. 어떤 시점에는 영혼의 절규, 어떤 시점에는 대규모 실성, 그리고 이번에는 죽음의 역병을 얻었습니다. 이러한 점으로 확장팩에 따라 새로운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눈보라, 불기둥, 얼음회오리+파멸의 예언자를 계속 갖고 있는 마법사는 새로운 전체 제압 카드를 디자인 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ー 발매 전에 카드의 능력을 변경했어야만 하는 경우는 있었나요? 예를 들면 어둠의 반격 카드와 무시무시한 콤보가 있었기 때문에 라스타칸의 대난투의 카드를 변경하는 것과 같은 거요.
Liv Breeden: Chakki가 망자의 혼과 무모한 실험가를 사용한 무시무시한 콤보를 발견했기 때문에 무모한 실험가를 수정했습니다. 처음에는 턴 종료가 아닌, 즉시 파괴를 진행하는 효과였습니다. 그 능력과 무모한 실험가+단검 곡예사+망자의 혼+듀금의 인도자로 무한적으로 데미지를 주는 콤보가 가능했기 때문에 턴 종료에 사망하는 효과로 변경했습니다.
출처: https://beerbrick.com/2019/07/10/news-2019071002/
참고: 일본어->한국어 번역이므로 다소 어감이 이상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전문 번역가가 아닌 제가 직접 타이핑해서 번역한 내용이니 양해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