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플웨즈&쿨엔&인벤&다나와를 꾸준히 눈팅하고 하드웨어에
빠져사는...
기특한
회원!!! Revodono(플웨즈,쿨엔,인벤) Soundhorizon(다나와)입니다.
오랜만의 리뷰로 찾아뵙게
되었는데요,
이번에는 AMD의 3세대 APU 리치랜드(Richland) 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리뷰를 하게될 모델은 리치랜드 최상위
모델인 A10
6800K 입니다
A10 6800K는 4.1GHz의 베이스클럭을
가지며, AMD의 터보코어기능을 통해 최대 4.4GHz의 클럭으로 동작하는
쿼드코어(Quad-Core)
프로세서 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2세대 APU인 트리니티보다 얼마나,
어떻게? 달라졌는지
상세히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벤치마크에
들어가기전
이번 리치랜드가 트리니티에
비해서 무엇이 어떻게 달라진건지...
그리고 벤치마크를
도와줄 다른 친구들은 누구인지...
스펙
및 외형을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리치랜드와 트리니티...스펙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스펙을 가지고있으며,
CPU-Z에
표기되는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트리니티의
스펙입니다.
그리고...

리치랜드의 스펙입니다.
사실
달라진거라곤 클럭이 올라간것 외엔 변함없어보입니다.
(리치랜드의 전압이 낮아보이는건, 전력관리 기술에 의한것입니다)
그리고...
리치랜드의 패키징입니다.




어차피
A/S불가능한 시리얼이기에, 가리지 않고 모두 보여드렸습니다 
다음은 트리니티와의 쿨러, CPU비교입니다.

좌측이
트리니티...우측이 리치랜드입니다.
영어가
짧아서 잘은 모르겠지만...
젊은이의
나라에서 확산되었다고 하단에 적혀있고,
만들어진건
중국에서 만들어졌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쿨러입니다.
좌측이 리치랜드 번들쿨러이며, 우측이 트리니티 번들쿨러 입니다.
대충봐선
쿨러에 변화가 없어보이지만,
리치랜드쪽이 CPU와 맞닿는 부분의 면적이 조금더 넓은걸 아실수
있습니다.

쿨링팬은
다른회사에서 만들어진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이번 벤치마크를 도와줄...
바이오스타
마더보드입니다.

이뻐서 이녀석으로 선택했습니다.
4
2전원부에 8개의 S-ATA 6.0, Hi-Fi 사운드 등...
8만원대에서
갖추기 힘든 스펙을 갖추고 있습니다.

전원부를
근접해서 찍어봤습니다.
그리고...

장착했습니다.
화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상단에
140mm 쿨링팬이 3개, 우측에 140mm 쿨링팬이 4개가 더 추가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벤치마크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리치랜드가 출시되기 이전까지...
많은
루머들이 떠돌았는데,
그중
하나가...
"리치랜드는 트리니티대비 CPU성능이 많이 좋아졌다고 하더라"
입니다.
그래서....비록 APU지만, CPU성능을 간단히 체크해보는게 좋다고 판단하여
몇가지
벤치를 진행해보았습니다.
비교군은
아래와 같이 준비 되어있습니다.
메인보드나
CPU에따라 CPU오버, 램오버등 안정화 값이 달라 참고적으로만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벤치마크는
간단히
- 3DMark
- Super Pi
- Cinebench
- B&S
정도로
진행했습니다.
순서대로
결과 보시겠습니다.



순서대로
보시듯이,
파이어 스트라이크, 클라우드 게이트, 아이스 스톰....각 점수들입니다.
린필드가 역시나 피직스 점수에서 상당히 우위에 있고,
리치랜드의경우 트리니티대비 클럭이 상승한만큼...딱 그정도의 성능향상이라 보여집니다.
다음은 부동소수연산 성능을 측정하면서, 오버클럭 안정화프로그램(?)으로도
유명한 수퍼파이...를 구워보겠습니다.

결과값이 낮을수록
우수한 부동소수연산 유닛을 지니고 있는 CPU입니다.
역시 린필드가 상당히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리치랜드와 트리니티는 역시나 클럭만큼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씨네벤치의경우 CPU의
렌더링 성능을 알아보는 프로그램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고
보시면됩니다.
일반적으로 CPU의 코어갯수가 많을수록 점수에서 유리하게 나옵니다....만,
지금
테스트하고있는 3개의 CPU는 모두 쿼드코어 프로세서로...CPU자체성능을 그대로 반영한 점수가
아닐까...싶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게임에서는 어떠할까요?
NCSoft의
MMORPG "블레이드&소울"로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벤치
장소는, 바다뱀 보급기지 앞에서 진행되었으며,
항시 13~17명의
유저가 있는 상황에서만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온라인게임에 사람이 많이 모여있는 장소에서 진행한만큼, 정확한 지표라기보단
어느정도 참고할
수준으로만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위의
차트의 수치는 프레임이며, 높을수록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에
진행했던 벤치에서 린필드가 상당한 우위에 있었던점을 생각하면,
게임에서는
실제로 별반 차이가 없는 프레임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CPU로써의
소비전력들은 어떠할까요?
3DMARK의 파이어 스트라이크 벤치마크를 진행하면서,
"파워매니저" 기기를
이용하여 시스템 전체 소비전력을 측정해보았습니다.
CPU와
메인보드를 제외한 모든 스펙은 동일한만큼, 전체 소비전력의 차이가 CPU소비전력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단위는
W(와트)이며, 로드 상황에선 평균적으로 AMD APU들이 높게 나오지만...
정작
아이들시의 소비전력은 APU들이 상당히 낮게 나오고 있습니다.
제
시스템에 HDD의 갯수가 5개인점....장착된 쿨링팬만 13개인점을 생각하면서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HDD가 4~6W정도...쿨링팬또한 5W내외의 소비전력을 나타낸다고 생각할때 일반적인 시스템에서는
아이들시
70W정도 대가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APU기준으로요)
이렇게
CPU벤치마크가 끝이 났고...
다음장에서는
이제...
APU로써...
트리니티 VS 리치랜드의 대결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번장은...
트리니티와 리치랜드의 진정한 승부라 할수있는
APU로써의 성능 테스트 입니다.
사실 APU로써 중요한건 CPU의 성능이 아니라,
얼마나 적절한 CPU성능과 GPU성능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있느냐...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CPU성능은
높은데 GPU성능이 낮아도...
GPU성능이
높은데 CPU성능이 낮아도...뭔가 애매하다 생각합니다.
먼저 APU테스트에서
적용될 세팅들입니다.

위에 보시듯이 APU로써의 성능부분은
상세히
분류를 나누어서 진행하였습니다.
먼저
테스트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 3DMARK
- 리그 오브 레전드
- 디아블로3
- 블레이드&소울
- 툼레이더
이렇게
사용되었습니다.
그럼...역시나
순서대로, 그래프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먼저 3DMARK 입니다.



대체적으로 램을
오버클럭할때 성능이 눈에 띄게 향상되고 있습니다.
GPU나
NB클럭에 의한 향상은 미미하지만 없지는 않습니다.
단순 3DMARK
점수로 보았을때, 트리니티나 리치랜드나 별반 차이 없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은 게임쪽
벤치마크...
그
시작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를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벤치마크
옵션은 총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벤치마크는
"리그 오브 레전드" 5:5 게임 리플레이를 재생하여
한타(5:5집단
싸움(?))상황에서 1분간 프레임을 측정하였습니다.


.
.
.
.


.
.
.
.


여기까지 "리그
오브 레전드" 의 벤치마크 결과입니다.
중간
옵션정도면 무리없이 게임이 충분히 가능한 결과이며,
트리니티와 리치랜드의 차이는 거의 나질 않습니다.
오버클럭에
의한 프레임 향상도 매우높음 옵션에서 두드러지나
중간
및 최소 옵션에서는 전혀 체감하기엔 힘든 프레임차이라 보여집니다.
다음은 "디아블로3" 벤치마크를
진행 해보겠습니다.
디아블로는 2가지
옵션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벤치마크는
"디아블로3" 의 2장 마지막 퀘스트상황에서 시작부분에서부터 중간부분까지...
쭉
이동하면서 몬스터를 몰아서 1분간 프레임을 측정하였습니다.


.
.
.
.


"디아블로3" 의경우도
역시 램을 오버클럭했을때부터 성능이 확연히 차이가 날만큼 프레임이 벌어졌습니다.
최소옵션이면
무리없이 게임을 즐길수 있으며, 램의 오버클럭이 좀더 수월한 유저의경우
조금더
옵션을 올려서 게임을 플레이해도 괜찮을것이라 판단됩니다.
다음은 "블레이드&소울" 로
진행해보았습니다.
"블소" 역시
앞장에서 진행된 CPU테스트처럼
바다뱀
보급기지 앞에서 13~17명의 유저수를 최대한 유지하며 벤치마크가 진행되었으며
최소
10회...최대 20회까지 반복적으로 측정을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여서 그래프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옵션은
앞서 보여드린 CPU테스트와는 다르게, 전체옵션을 3으로 설정하여 진행되었습니다.
(옵션을
최상(5)로 올릴경우 프레임이 1의자리 숫자가 나와서, 전체옵션을 중(3)으로 보여드리는게 낫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생각보다 내장
GPU로 이정도까지 되는구나...를 벤치하면서 많이 느꼈습니다.
"블레이드&소울" 이
결코 저사양게임이 아니고, 유저가 많은곳에서 일부러 벤치마크를 진행한점을 생각하면
일반적인
필드에서 솔로잉정도는 30~40프레임으로 가능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역시나 GPU오버에서는 별다른
프레임향상이 없다시피하고, 램오버에서부터 프레임이 점점 상승하고 있습니다.
다음은...패키지게임중
하나로,
AMD 최적화로 유명한 "툼레이더" 로 벤치마크를
진행하였습니다.
자체적으로 벤치마크
툴이 내장되어있어 결과가 꽤나 신뢰있다고 판단됩니다.
프레임의경우 소숫점
한자리는 반올림을하여 보여드리니 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결과는
위와 같으며, 벤치마크상의 프레임만 봤을때는...최소옵션으로 줄여야 게임플레이가 원활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장에서는
트리니티 & 리치랜드의
발열과
소비전력을 알아보겠습니다.
발열은 기본쿨러장착후 3DMARK-파이어 스트라이크을 진행하여
메인보드에
장착된 온도 표시기에서 최저(아이들), 최대(로드) 온도를 체크하였습니다.

아이들시에는
두제품다 10대 온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요즘
날씨가 춥지 않은 날씨인걸 생각하면, 아주 낮은 온도라 할 수 있겠습니다.
(메인보드에
자체적으로 장착되어있는 온도표시기...인만큼, 비교적 정확하지 않을까...생각해봅니다)
최대온도의경우 리치랜드가
꽤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리치랜드가 기본적으로 트리니티보다 CPU 및 GPU클럭이 높게 설정이 되어있기 때문이
아닐까...하는 추측이듭니다.
다음은,
소비전력 부분입니다.
CPU성능
페이지에서 보여드렸듯이
"파워매니저"
기기를 이용하여 시스템 전체 소비전력을 측정하였습니다.
역시나
소비전력의경우도 3DMARK-파이어 스트라이크 를 진행하며
최소(아이들)전력과,
최대(로드)전력을 측정하였습니다.

아이들시에는 60~70W
대를 보여주며, 로드시에는 200W에 근접하는 소비전력을 보이고있습니다.
역시 CPU나
GPU의 클럭이 리치랜드가 높은만큼...트리니티보다 소비전력이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이번 리뷰는 리치랜드 6800K의 NDA 해제에 맞추어 비공개로
진행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AMD의 선전을 바라는터라, 많은 기대감을 갖고 리뷰를
진행하였으나...
아직은
역시 파일드라이버 아키텍쳐에 공정전환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 그런지
성능은
사실 실망에 가까웠습니다.
누군가의
말처럼...
트리니티에서
클럭을 올려놓은 버전이 아닐까 싶을정도로
클럭에
의한 성능향상 "만" 돋보였으며,
내장
GPU의 이름이 바뀐만큼...이렇다할 성능향상은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더불어 소비전력이나
발열도 더불어 높아지며,
트리니티대비
매리트가 있는가?...
라고
묻는다면,
"트리니티
대비 좀더 높아진 오버폭" 정도로 밖에 할말이 없을듯합니다.
가격이
트리니티와 같거나 비슷하게 나오지 않는한 소비자의 눈을 돌리기엔 다소 역부족이라 보여지며,
스팀롤러
아키텍쳐와 GCN이 적용되는 카베리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며 이글을 마무리합니다.

AMD여.............................힘을
내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