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CPU/RAM] AMD의 ARM 코어가 노리는 것은 "Cloud"전용 서버 CPU

아이콘 후래쉬마린
조회: 1938
2012-12-10 15:47:44







ARM 아키텍처가 데스크톱 시장에 들어갈 가능성은 단기적으로는별로 없다. 

먼저 소개되는 것은 서버 시장이 될 것 같다.

이번에는 AMD의 서버용 CPU에 대해 설명하고 싶다.

예정대로 추이 한 2012 년의 Opteron


2012 년 2 월에 AMD가 분석가에 공개 한 로드맵



로드맵을 되돌아 보면,

 2012 ~ 2013 년에는 "Socket G34"을 위해 " Abu Dhabi "가 투입될 예정 이었지만,

이것은 11 월 5 일" Opteron 6300 "시리즈로 발표 된 .

또한 "Socket C32"의 " Seoul "과"Socket AM3 + "의" Delhi "는 12 월 4 일에 각각

"Opteron 4300 ""Opteron 3300 "시리즈로 발표된 .스케줄.

문제는 앞으로이다.

아래의 슬라이드는 2012 년 6 월에 열린 개발자 이벤트 "AMD Fusion Developer Summit 

2012"(AFDS)에서 공개 된 서버용 로드맵이다.

제목이 "2012-2013 SERVER ROADMAP"가되고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래의 "New Platform"이 투입되는 것은 2013 년이라는 것이된다.


AFDS에서 공개 된 서버용 로드맵. 

이 시점에서는 아직 ARM 기반 서버의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New Platform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플랫폼, 즉 소켓을 포함한 전체가 쇄신된다.
  • 차세대 CPU는 모두 28nm 공정으로 제조된다.
  • 기존의 Socket AM3 + 이외에 2 프로세서까지 지원하는
  •  Socket C32의 일부에도 APU 제품이 소개된다.

이와 함께 10 월 29 일에 발표 된 것은

 "2014 년에 ARM 기술 기반 Opteron을 제조한다"는 성명이다.


10 월 29 일 ARM 채용에 관한 발표의 요점을 정리 한 슬라이드



2014 년 ARM 기반 Optron을 양산하려면 
28nm 공정이 현실적


AMD 계산은 ARM 프로세서를 만들뿐만 아니라,

2 개의 중요한 점도 발표되고있다.

ARM 기반 Opteron / AMD가 먼저 인수한 SeaMicro 사가 있었다

"Freedom Fabric"라는 프로세서 간 접속 기술을 이용한다.

이와는 별도로, AMD는 여전히 x86 CPU와 APU 디자인을 계속한다.

일부 언급되지 않은 점도 알 수있다.

우선 AMD는 ARM에서 "ARMv8"의 "아키텍처 라이선스"를받은 것은 없을 것이라는 것.

아키텍처 라이센스는 연재 178 회 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생략하지만,

만약 아키텍처 라이선스를 받으면, 

발표와 후속 질의 응답도 어디 까지나 "ARM 기술 기반 프로세서"라는 말투에 

시종 당 단순히 " Cortex-A57/A53 "의 CPU 라이센스를받은다음에 머물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이를 구현하는 것은 역시 28nm 공정이라 생각된다.

지금 일정으로는 20nm 공정을 이용한 제품을 2014 년에 양산 할 수 있을지는 다소 미묘하기 때문이다.

20nm 프로세스는 TSMC와 GLOBALFOUNDRIES가 모두 발표하고,

일단 2013 년에는 양산에 들어갈 것이 현재의 전망이다.


하지만 약간 선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TSMC조차 28nm 세대 제품 양산에서 정말 고객이 28nm 제품을 양산 할수있게 될 때까지 1 년 이상 지연이 있었다.

20nm 세대 파운 드리가 말하는 "2013 년 시작"에 회의적인 고객이 대부분이다.

반대로 말하면, 

2014 년에 확실하게 양산하기 위해서는, 

28nm가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것이된다.


"SeaMicro의 Freedom Fabric과 결합이 전제"라는 대목에서

이 ARM 기반 Opteron이 기존 제품과는 다른 사용 방법을 상정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것은 어떤 것인가라는 것이 이번 주제이다.

ARM 기반 서버가 노리는 분야는


AMD가 2012 ~ 2015 년 사이에 서버의 용도별 동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 슬라이드.

"Traditional IT"는 기존의 파일 서버와 간단한 응용 프로그램 서버 인 용도


위의 슬라이드는 6 월 AFDS에서 AMD CTO 인

마크 페이퍼 마스터 (Mark Papermaster)가 보여준, 향후 3 년간의 서버 로드맵이다.

여기서 알 수있는 것은 기존의 서버 (Traditional IT)은 점차 감소 추세에있는 것을 알수있다.

반면에, "HPC"(High-Performance Computing, 대규모 과학 기술 계산)은 다소 증가하고있어 

이에 보다도 "Virtualization"(가상화)과 "Cloud"가 큰 성장을 보이고있다.


Traditional IT는 지금까지의 싱글 / 2 프로세서 용 Opteron가 맡아 왔던 부분.

HPC는 Opteron에 GPU 최근에는 AMD의 FireStream와 NVIDIA의 Tesla 등을 조합 한 케이스가 보급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조합이 널리 이용되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Virtualization은 Cloud와 섞어 논의되는 경우도 있지만, 

나름 물리적 서버를 대량으로 늘어 놓는 대신 고성능 서버를 약간두고,

여기에 가상 서버를 달린다.

또는 기업이 PC를 대량으로 늘어 놓는 것이 아니라,

서버에서 가상 PC를 움직여이를 저렴한 씬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등 노력이다.

이 부분 역시 기존의 Opteron가 그대로 이용되게 될 것이다.



문제는  Cloud이다.

여기서 상정되는 용도는 현재와는 다른 영역이된다.

아래의 이미지는 12 월 5 일에 도내에서 개최 된 ARM의 기자 설명회 것이지만,

서버 시장의 용도를 분류 한 것이다.


ARM이 가정 서버 다른 용도. 세로축은 처리 용량, 횡축이 처리 대역폭을 보여줍니다.

 녹색은 계산 주체, 오렌지는 적당히 계산 처리, 하늘색은 대부분 계산이없는 처리



"One Size Does Not Fit All"이란 "1 가지의 핵심 모든 용도를 조달하는 것은 무리"라는 의미.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림의 "Compute Intensive"는 ARM 기반 서버에 적합하지 않고 

주로 물색 "Modest Compute"을 겨냥하고있다.


"Static Web"은 정적 (다시없는 간단한) Web 서버. "CDN"은

Contents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서 나름 동영상 등을 제공하는 서버를 말한다.

마지막 "Caching / NoSQL"가 앞으로 얘기 할 분야이다.

이전 기사 에도 "Hadoop" "Cassandra" "Memcached"이라는 키워드에 접했지만, 

바로 이것이 Caching / NoSQL에 해당한다.


NoSQL에 대해 좀 더 설명하자.

NoSQL은 "검색 언어"SQL "을 기반으로 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의 의미이다.

그런데, 예를 들면 Google 또는 Yahoo! 같은 초대형 검색 엔진이라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성능 (검색 속도) 및 용량 (저장할 수있는 데이터 건수) 측면에서 부적당하다.

그래서 이러한 기업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스스로 거대한 검색 엔진을 구축했다. 

이것이 NoSQL라는 것으로, 요컨대 SQL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검색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검색 엔진의 경우,

데이터 양이 거대하기 때문에 1 대의 머신으로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는 것은 물론 무리 다.

따라서 대량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분산시켜 미세 데이터를 유지하고 

검색을 걸쳐 결과를 반환하는 구조를 취한다.

이 때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Hadoop 및 Cassandra이다.


그러나 Hadoop 및 Cassandra를 사용해도 결국 데이터가 HDD에 들어있는면,

그것을 메모리로 가져와 반환 하는것 때문에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이러한 검색 결과를 미리 메모리에 캐시하는 것으로 응답 시간을 단축 하자는 것이 "Memcached"이다.


이 구조가 Cloud로 분류되기 십상 인 것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본 개념 인 "필요한 자원을 필요한 때 필요한만큼 제공한다"는 구조를 만드는데,

이 Hadoop / Cassandra / Memcached 같은 응용 프로그램이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기도하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사실 64bit ARM 코어와 원리 적으로 친화성 이 높다.

예 Memcached는 어쨌든 대량의 메모리를 쌓고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이 오면 

자신의 유지 메모리에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

데이터가 있으면 그 결과를 반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만큼 높은 CPU 성능은 필요없고, 대신 메모리 I / O 성능과 메모리 탑재량 만 문제가된다.


32bit의 ARM 코어는 최대 메모리 탑재량은 4GB까지이지만,

64bit 코어라면 Cortex-A53조차 1TB의 메모리 탑재량에 대응한다.

이것이라면 x86에 뒤지지 않는다.

메모리 I / O 성능을 1 코어만으로 비교하면 인텔의 "Haswell"이나 AMD " Piledriver "코어의 후속 인

'Steamroller"코어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Haswell과 Stamroller에서 2 스레드를 움직였을 경우의 성능과

2 개의 Cortex-A57/A53에서 각각 1 스레드 씩 움직였을 경우의 전체 성능은

아마 호각 이상으로 생각딘다

한편 다이 크기와 전력은 계속 작게 할 수있다. 

이것은 Hadoop / Cassandra도 거의 같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궁극적으로는 소비 전력이 운영 비용의 대세를 차지하고있는 상황에서하면

Steamroller와 그 다음에 앞두고있는 ' Excavator "라고 Bulldozer 계열의 코어보다

Cortex-A57/A53을 사용한 제품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AMD도이 것을 이해하고있는 것이다.

ARM 기반 Opteron의 특징을 이렇게 표현하고있다.


ARM 기반 Opteron은 이런 시스템이된다는 상상도


슬라이드에있는 3 번째 "small cores and large cores"는

" big.LITTLE "구성을 채용하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즉 Cortex-A57와 Cortex-A53가 모두 포함하게된다. 

하나의 다이에 얼마나 코어가 들어가는지는 불분명 

(ARM의 인터커넥트 기술 "CoreLink"를 사용하면 이론적으로는 최대 32 코어까지 가능).


이러한 다이를 대량으로 정렬하는것이 SeaMicro 기술이다 

​​Freedom Fabric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많은 코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 AMD의 목적이라고 생각된다.

메모리 용량은 나와 있지 않지만,

이 시스템에서 "최대 외부 스토리지 용량 : 5PB"(5000TB) 

Hadoop의 이용을 전제로 생각하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Memcached에 대해서도 현실적으로 하나의 코어에 연결 가능한 메모리 양이

버스 폭과 DIMM 용량 제한되는 것을 생각하면, 

가능한 한 많은 코어를 집적하는 것이,

총 용량을 벌기 위해 유리하다 .

따라서 다수의 코어가 들어간 프로세서 Freedom Fabric으로 연결하는 것이 유리한 계책이라고 생각된다.


사실 이런 시장은 인텔이 개발 중이라고하는 22nm의 Atom 기반 CPU "Avanton"도 같은 곳을 목​​표로하고있다.

기존 AMD는 여기에 Bobcat 시리즈의 미래 제품을 투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를 마음껏 잘 ARM에 교체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알기 쉽다.

요컨대 AMD의 ARM 기반 Opteron은 이러한 Cloud위한 일부 용도가 첫 번째 표적이된다.


물론 미래에 좀 더 폭이 넓어지고 갈 가능성은있다.

하지만 그것은 ARM 기반 서버가 어디까지 확산 될지에 의존하는 부분에서, 

현재는 거기까지 내다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선은 확실히이 Cloud 용 서버 시장을 취하는 것이 AMD의 목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http://ascii.jp/elem/000/000/749/749435/index-3.html
















Lv71 후래쉬마린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