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오늘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제가 연구한 SJ메타입니다. SJ메타는 간단히 말해서 EU메타에서 서포터와 정글러에 변화를 준 포지셔닝입니다.
SJ메타를 연구하게 된 배경
시즌4가 되면서 서포터를 상향하기 위해 여러 측면에서 버프를 주지만, 그로 인해서 오히려 서포터의 효율이 떨어집니다.
(밑에서 추가로 설명 하겠습니다.) 이렇듯 효율이 떨어진 EU메타를 대신하기 위해서 다른 포지셔닝을 연구했고, 그 중에서 SJ메타가 가장 효율적이었습니다.
SJ메타의 소개
SJ메타는 서포터와 정글러의 역할을 섞어서 서포팅 정글러(Surporting Jungler, SJ)이라는 포지션을 위쪽 정글에 하나, 아래쪽 정글에 하나를 배치한 포지셔닝입니다. 아래부터는 위쪽 SJ는 TSJ(Top-side SJ), 아래쪽 SJ는 BSJ(Bot-side SJ)로 명명하겠습니다.
SJ메타와 EU메타의 비교
포지션 (위치)
EU메타

SJ메타

경험치 공급원
EU메타
탑 : 탑CS, 킬
미드 : 미드CS, 정글몹(레이스, 블루), 킬
원딜 : 봇CS, 정글몹(작골), 킬
서폿 : 봇CS(경험치 공유), 어시스트
정글 : 정글몹(늑대, 레드, 새로운 정글몹, 카정, 드래곤), 갱킹
SJ메타
탑 : 탑CS, 킬
미드 : 미드CS, 정글몹(레이스, 블루), 킬
봇 : 봇CS, 정글몹(작골), 킬
TSJ : 위쪽 정글몹 (레드 포함), 탑CS(경험치 공유), 어시스트, 갱킹(다른 라인)
BSJ : 아래쪽 정글몹 (레드, 드래곤 포함), 봇CS(경험치 공유), 어시스트, 갱킹(다른 라인)
밑줄 친 것이 주 경험치 공급원입니다.
(경험치 공유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어차피 시즌4되면 서폿도 경험치 먹습니다.)
EU메타의 서폿의 특징은 라이너를 위해서 'CS양보, 킬양보, 팀내 모든 와딩 담당' 등 모든 측면에서 희생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시즌4의 서폿버프 때문에 위의 특징들이 무색해졌습니다.
서폿이 CS를 먹으면 주변 아군에게도 약간의 골드를 주고, 한 라인에 여러명이 서게 되면 보상을 더 주는 등의 패치가 됩니다. 서폿도 이젠 CS를 먹으라는 뜻에서 했겠지만, 서폿이 CS를 먹게 되면 (그렇다고 지금도 서폿이 CS 열몇개씩 먹는거하곤 다른 얘기죠) 그 순간 CS양보라는 서폿의 특징이 없어집니다.
또, 개인당 와드 개수를 제한함으로써 서폿의 와딩담당이라는 특징도 사라지죠.
그러면 이제 서폿의 남은 특징은 킬양보. 킬양보는 다른 특징에 비해서 크지 않습니다.
결국 라이너랑 거의 동등한 위치에 서는겁니다. 그렇게 되면 '라이너의 안정적인 성장'이라는 서포터의 중심목표가 없어지는거죠.
이렇듯 봇이 '원딜&서폿'이 아닌 '2라이너'에 가깝게 되면서 오히려 봇을 2라이너로 해도 무방한 상황이 됩니다.
하지만, SJ메타는 SJ 두명이 '정글링, 갱킹으로 경험치 획득'이라는 정글러의 특징과 'CS를 포기하는 대신 라인의 미니언 경험치 공유'라는 서포터의 특징을 고루 갖춘, 말 그대로 '서포팅 정글러 메타'라는 것입니다.
라인에는 각각 한명의 라이너가 배치되니 CS를 안정적으로 먹을 수 있을 뿐 아니라, SJ들이 '정글링과 갱킹, 미니언 경험치 공유'로 EU메타의 정글러와 비교해서 성장속도가 딸리지 않습니다.
------------------------------------------------------------------------------------------------------------
포지션별 챔프 픽
EU메타
탑 : 근딜(주로 탱킹이 되는 챔프)
미드 : 누커(주로 AP)
봇 : 원딜
서폿 : 지원형 챔프
정글 : 정글 챔프
SJ메타
탑 : 딜러(원,근)
미드 : 누커(주로 AP)
봇 : 근딜(탱킹이 되는 챔프)
TSJ : 지원형 챔프 또는 정글 챔프
BSJ : 지원형 챔프 또는 정글 챔프
참고로 챔프배치는 EU에 대한 대응에도 신경쓴 배치입니다.
SJ메타에서 SJ가 되는 챔프는 서폿과 정글입니다. SJ에 서폿을 넣냐, 아니면 정글을 넣냐에 따라서 SJ의 플레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쉽게 말씀드리자면 서폿을 배치하면 라인에 기생하면서 경험치를 빼먹는게 주 경험치 공급원이고 정글몹은 더티파밍 형식으로 먹습니다. 그리고 정글을 배치하면 정글링이 경험치의 주 공급원이고, 잡을 정글몹이 없으면 라인에서 경험치를 먹습니다.
아래의 챔프 순서는 각각 'TSJ, BSJ'입니다.
1. 서폿, 서폿
양쪽 라인에 모두 서폿을 배치하면 라인전을 쉽게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스노우볼이 굴러가면서 후반에 강해지겠지요.
하지만 미드에 버프를 줄 사람이 없으니 미드가 블루버프를 먹는게 힘듧니다.
또, 적 정글이 카정을 와도 정글몹을 그냥 내주기 쉽상입니다.
2. 서폿, 정글
EU메타와 가장 비슷합니다. (가 아니고 똑같아요)
참고로, 퍼플팀이라도 BSJ가 레드를 먹을 수 있습니다.
3. 정글, 서폿
EU스타일에서 봇이 두명이니 봇에 서폿형 챔프를 배치하면 머릿수가 잘 맞습니다.
여기서 TSJ도 레드를 먹을 수 있습니다.
4. 정글, 정글
둘다 정글형으로 배치하면 카정을 갈때 둘이서 같이 가니 카정 성공률도 높고, 적 정글까지 지배할 수 있습니다. 또, 밀리는 라인이 있으면 SJ 두명이 같이 갱을 가서 키워줄 수도 있고요.
라인전이 불안하지만 정글몹을 둘이서 나눠먹다 보니 라인에서 경험치 공유도 하면서 레벨을 올려야 하기 때문에 라인에 자주 가게 되어 SJ가 라인을 비우고 정글링을 하러 갈때만 라이너들이 잘 버텨주면 됩니다.
------------------------------------------------------------------------------------------------------------
글을 마치며
SJ메타가 어떻게 평가될지는 모르겠고, SJ메타가 솔랭같은 곳에서 쓰이지는 않겠지만 시즌4 때는 EU메타가 고착되지 않았으면 하는 저의 바램이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이건 뒷이야기인데, JS로 하려다가 한글로 ㅈㅅ이라서 SJ로 했대요 수근수근)
잘못된 부분이나 오류, 그 외 SJ메타에 대한 의견은 댓글로 달아주시면 읽고 수정 할게 있으면 수정하겠습니다.
------------------------------------------------------------------------------------------------------------
11/1 수정
SJ메타 포지션별 챔프 픽을 추가했습니다.
TSJ의 미드 경험치 공유를 삭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