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캐릭터] (재업, 2차 추가 및 수정) 초보들을 위해 올리는 정보들.

다미로
댓글: 35 개
조회: 70201
추천: 56
2018-11-06 23:08:48

이것은 초보들을 위한 글이므로 주로 묻는 것에 대한 답변을 쓰겠음.

목차 역시 그러한 순서대로. 그리고 가독성 문제는 차츰 수정하도록 하겠음.


1. 캐릭터 뭐할까요?

우선 제일 말하고 싶은 것은, 로아는 각 캐릭터별 성능차이가 엄청 심하진 않다. 그러니 내 직업이 완전 천민일까봐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뜻. 나도 CBT 참여자로서 여러번 해보지만 늘 운영진은 밸런스를 잘 맞추려고 노력하는 편이고, 실제로 그 때문에 엄청난 성능차이가 있진 않음. 그러니 원하는 걸 하는게, 가슴이 시키는 걸 하는 게 정답.


클래스 별로 간략한 설명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원하는 직업이 있는 경우 Ctrl + F로 찾기 바람.)




전사(Warrior)


워로드 : 로아의 탱딜힐 개념 거의 없는 점에 의해 사실상 완전한 탱커라고 보기는 힘듬. 얘도 평소엔 딜해야 하는 직업.그러나 가끔 아이덴티티로 탱커의 역할을 할 때는 있음. 어그로 스킬도 있긴 있음.

그러나 기본적으로 로아는 어그로가 제멋대로 튀기 때문에 완전한 어그로는 안됨. 또한 선딜이 좀 있는 편.


성능 정리 - 난이도 : 중 / 무력화 : 상 / 생존 : 상 / 공격력 : 중상 / 기동력 : 하 / 버프 : 상


버서커 : 체공방 밸런스가 좋은 편. 스킬도 이동기 콤보기 홀딩기 적절하게 있음. 이번 오픈 때 상향이 되어 애매한 점이 많이 사라질 예정임. 폭주 모드라는 아이덴티티로 일정시간 폭딜 가능한 직업. 근딜로서 적당한 무력화가 있고 딜도 준수하기 때문에 무난무난한 직업. 그러나 근딜 이기 때문에 컨트롤이 완전 쉽지는 않다는 점 유의.


성능 정리 - 난이도 : 중상 / 무력화 : 중상 / 생존 : 중 / 공격력 : 상 / 기동력 : 중상 / 버프 : 중


디스트로이어 : 무력화에 특화된 직업. 공격일변도라고 해도 좋을 만큼 딜과 무력화는 최상위. 그러나 선후딜이 상당히 긴편. 50레벨 때 배우는 추가 스킬 인듀어 페인이 성능이 출중하기 때문에 50전 이후가 체감이 큰 직업. 레이드에서 무력화 딜러로 필수 캐릭. 그러나 무력화가 높다고 쉬운 건 아니므로 숙련이 필요함.


성능 정리 - 난이도 : 상 / 무력화 : 최상 / 생존 : 중하 / 공격력 : 상 /기동력 : 중하 / 버프 : 하



무도가(Fighter)


배틀마스터 : 상당한 피지컬을 요구하는 직업으로 다른 직업들에 비해 매우 민첩하고 콤보 연계가 있음. 그러나 한 방 데미지는 매우 약했기 때문에, 누적딜로 승부를 봐야했음. 그래서 사실상 3차 때는 버프를 주거나 딜집중이 필요없는 PVP에서만 성능이 괜찮았음. 이 역시 개편될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것은 알수 없음.


성능 정리 - 난이도 : 상 / 무력화 : 중상 / 생존 : 중 / 공격력 : 중 / 기동력 : 최상 / 버프 : 중



인파이터 : 배틀마스터와 얼추 비슷한 면이 있기는 하지만, 배틀마스터보다 한 방이 강력한 대신 민첩도는 조금 떨어지는 직업. 직업 이름과는 다르게 완전한 인파이트는 하지 않는 게 좋고, 아웃 복싱을 하다가 기회를 포착하면 그떄 인파이트로 한방딜 콤보를 몇번 쑤셔놓는 타입. 아이덴티티가 없는 대신 기력/충격 에너지를 잘 조절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쉬운 직업은 아님.


성능 정리 - 난이도 : 중상 / 무력화 : 상 / 생존 : 중 / 공격력 : 상 / 기동력 : 중 / 버프 : 하



기공사 : 내공이라는 특수한 자원을 사용하는 캐릭터로, 원거리 근거리 공격 모두가 가능하지만 대부분 여래신장과 몇몇 스킬을 제외하면 근거리 스킬이 대부분 사용되는편. 그러나 전투방식에 비해 몸은 원거리 급으로 약했기에 초반 거품이 사라지자 급 평가가 하락한 직업.

이후엔 어떻게 될 지 알 수 없으나 3차 기준 상당히 애매했던 직업. 그러나 말뚝딜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 딜은 좋은 편. 또한 파티에 꼭 필요한 필수 버프가 많은 편이라 딜을 겸하는 버퍼 역할이었음.


성능 정리 - 난이도 : 중상 / 무력화 : 중 / 생존 : 중하 / 공격력 : 중상 / 기동력 : 중 / 버프 : 상



마법사(Magician)


바드 : 완전 힐만 하는 캐릭터는 아님. 힐을 사용하기 위해선 세레나데 버블을 모아야 하고, 이는 딜을 통해 쌓이므로 상대적으로 부족한 딜링 능력 때문에 컨트롤을 요하는 직업. 컨트롤의 차이에 따라 황제와 천민을 왔다갔다 할 정도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차이가 큼.

사냥 역시 힘들기 때문에 솔플하는 사람들에게는 추천하지 않음. 어느정도 실력이 있다면 파티에 거의 반드시 들어갈 정도로 버프 능력이 좋음.


성능 정리 - 난이도 : 상 / 무력화 : 하 / 생존 : 하 / 공격력 : 중 / 기동력 : 하 / 버프 : 최상



서머너 : 직업 이름은 서머너이나 사실은 서머너를 겸하는 정통 메이지의 역할을 하는 캐릭터. 캐릭터 자체의 회피 성능은 뛰어나지 않기에 순삭을 조심해야 하나, 소환수들의 견제가 꽤나 든든하기 때문에 소환수가 PVP에서 소환되어 있다면 괜찮은 편이다.

마리린이라는 푸른색 거인 소환수가 약간의 어그로도 있어 일단 소환수가 나온다면 던전에서 이를 기반으로 준수한 딜을 뽑아낼 수 있다. 거의 유일한 필드형 방깎 스킬이 있기 때문에 딜량에 많은 도움이 됨.


성능 정리 - 난이도 : 중 / 무력화 : 중하 / 생존 : 중 / 공격력 : 상 / 기동력 : 하 / 버프 : 상



아르카나 : 모 게임의 트X와 비슷한, 카드 마법을 이용한 공격을 하는 직업. 그러나 실제 플레이 스타일은 매우 복잡하고 화려하기 때문에 야X오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됨.

물몸이고, 컨트롤을 많이 요한다. 루인 스택이라는 특수한 개념의 데미지 딜링으로 이 스택을 잘 쌓아야 아르카나의 딜이 나오기 때문에 뇌지컬 적인 플레이도 요하며 이동 스킬이 많은 대신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정확한 컨트롤 도 필요한 직업.

아이덴티티가 약간 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이 운에 따라 딜량이 어느정도차이가 나는 편. 하지만 기본적으로 딜량은 상위이기 때문에 운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성능 정리 - 난이도 : 최상 / 무력화 : 중하 / 생존 : 중 / 공격력 : 상~최상(컨트롤) / 기동력 : 최상 / 버프 : 하



사수(Hunter)


데빌헌터 : 기본적으로 3개의 무기 스탠스를 바꿔가면서 그에 따라 다양한 스킬 사용이 가능한 클래스. 원딜 답게 물몸이고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당한 컨트롤을 요함. 생존기가 많은 편은 아니므로 순삭에 주의해야 하고 여러가지 스킬을 쓰기 때문에 가끔 마나가 모자라는 경우가 생긴다. 다른 직업은 스킬 8개 쓸 떄 애는 지혼자 20개 정도 쓰기 때문에 딜타임이 거의 비질 않아 DPS는 최상위.


성능 정리 - 난이도 : 상 / 무력화 : 하 / 생존 : 중 / 공격력 : 최상 / 기동력 : 중 / 버프 : 하



블래스터 : 극딜 넣는 말뚝딜 하는 직업. 중화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딜링은 기대할 만 하나 대부분 선딜이 길어 거의 말뚝딜을 하게 되는 편. 그러나 그 위험도 만큼 쉴드와 기본 내구도가 적절하기 때문에 다른 원딜처럼 슥삭 녹지는 않는다. 약간 이동기 부족한 우X곳 같은 직업.


성능 정리 - 난이도 : 중상 / 무력화 : 중상 / 생존 : 중상 / 공격력 : 최상 / 기동력 : 하 / 버프 : 중상



호크아이 : 3차 CBT 기준 PVP 최고의 캐릭터. 말그대로 원딜의 정석인 캐릭터로 상당한 회피기를 가지고 있고 집중(홀딩)스킬이 꽤 있는 편. 사실 매가 본체라는 농담이 돌 정도로 매의 딜이 강력해 딜링 능력은 좋은 편이다. 무난한 원딜의 정석 캐릭터. 그러나 쉬운 편만은 아니다. 컨트롤이 아예 없으면, 생각이 없으면 어리버리하다가 죽는 직업.


성능 정리 - 난이도 : 중 / 무력화 : 하 / 생존 : 중상 / 공격력 : 상 / 기동력 : 상 / 버프 : 하




2.  PVP는 뭐고, PVE는 뭔가요?


PVP = Player Vs Player의 약자로, 유저끼리의 전투를 일컫는 말임. 쉽게 생각하자면 결투장이나 콜로세움 등, 유저들끼리 싸우는 것을 생각하면 됨.


PVE = Player Vs Environment의 약자로, 유저가 게임 내의 던전, 혹은 몬스터 등의 플레이어가 아닌 다른 상호작용 대상과 전투하는 것을 일컫는 말. 쉽게 생각하자면 게임의 던전이나 필드의 몬스터(보스 포함) 사냥을 생각하면 됨.



3. 이 겜 과금 심한가요? 현질 얼마나 할까요?

 

기본적으로 이 게임은 현질할 껀덕지가 거의 없다. 시스템을 간단히 파헤쳐 설명하자면, 우선 장비먼저. 장비는 무조건 귀속으로 완제품 거래가 절대 불가능하다. 그러니 모 게임의 집행검 꼴 날 일은 없다는 소리. 그렇다고 재료를 팔 수 있느냐? 물론 잡 재료는 팔아진다만, 핵심재료는 따로 거래가 안된다. 그러니 핵심재료로 굴리기 역시 불가능. 연마 역시 실패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강화에 돈이 들 요소가 없다시피 하다.


그리고 이 게임, 상당한 노력과 컨트롤을 요하는 게임이다. 노력이 없으면 깰 수 없는 컨텐츠(가디언 레이드, 타워 오브 쉐도우, 그 외의 생활 컨텐츠)가 가득하고, 심지어 장비가 조금 좋다고 해도 특정 패턴은 확실히 깨지 못하면 즉사다. 그리고 과금 모델에 밸런스에 영향을 끼치는 것 안 판다. 블레이드 뭐시기 처럼 보옥 조각 확률로 팔아재끼는 패키지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니 일단은 걱정말고 즐겨도 된다. 본인이 룩딸로 현질을 하겠다면 한달에 15~30정도 지르면 웬만큼 살 수 있을 것이라 본다.



4. 그놈의 BJ들과 길드 친목 및 통제 걱정은 없나요?


전과 같은 경우로 이 겜은 속칭 린저씨들이 하는 그런 짓을 거의 할 수 없게 해두었다. 특정 섬을 제외하면 막피(마구잡이 PK)가 불가능 하며, 가능한 섬들도 사실상 통제는 거의 불가능하다. 맵이 좁지도 않고, 찾는 사람이 없지도 않기 때문에.게다가 대규모 단위 아군 개념도 없다! 그냥 잘못하면 길드원이고 자시고 다 쳐맞는거다.


또한 BJ들 중 아프리카의 파트너 비제이들은 대부분 숙제이므로 참여하는 비제이가 많다고 꼭 오래하고, 게임이 썩는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필드 보스 같은 경우는 서버 연계이며 서버는 꽉 차야만 다음 서버가 열리기 때문에 선점 독점 같은 거 사실상 힘들다. 위에서 말했듯이 막피가 안되기 때문에 막무가내로 보스 레이드에 끼어들어도 막을 방법도 없고 말이다. 그러니

통제한다느니 그런 똥같은 문제로 걱정하지 말고 그냥 게임을 즐기기 바란다.



아, 그리고 이 겜 디렉터가 상당한 고집이 있기 때문에 아마 그런 비매너적 행위가 쉽게 허용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추측일 뿐이지만.



5. 퀘스트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퀘스트는 기본적으로 메인퀘를 따라가면 된다. 그러나 메인퀘만 밀 경우 추후에 경험치가 모자랄 수도 있고, 특정 퀘스트를 하기 위해 필요한 선행퀘스트를 놓쳐 다시 찾아가 해야하는 귀찮음이 생길 수 있다.


그러니 경험을 토대로 말하자면, 메인퀘스트를 따라가되, 동선이 겹치는 퀘스트는 웬만하면 하는 편이 좋다.


어차피 대부분 가는 길에 해결 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간낭비도 심하지 않고, 이런 것들만 깨도 훗날 퀘스트가 막히지는 않는다.


만렙을 빨리 찍고 싶다면 메인퀘만 빠르게 밀고 후반부의 서브퀘스트만 돌거나, 월드 퀘스트(지구 모양 하늘색 퀘스트)를 돌면 편하다.



6. 컨텐츠가 너무 많아요. 뭘 할까요?


 정말 이건 로아를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대답할 수 있다. 당신이 원하는 걸 해라. 어느 분야를 가도 결국 최종템을 맞출 수 있으니, 원하는 것을 하면 된다. 사냥이 좋다면 던전, 도전이 좋다면 큐브나 타오쉐, 시련의 회랑... 소소한 생활이 좋다면 고고학이나 낚시 등의 생활컨텐츠. 무엇을 해도 최종목적지는 같다.



7. 컴퓨터는 어느정도로 준비해야 할까요?


로스트아크는 기본적으로 최적화가 잘 돼있다. 그러니 나는 적당하게 어느정도 복잡한 것을 해도 렉이 걸리지 않을 정도의 성능 가이드라인을 말해주자면,


CPU : i5 이상(단, 쾌적하려면 최소 4세대 이상)

RAM : 8GB 이상 필수, 16GB가 쾌적.

GPU : GTX 760 정도로도 잘 돌아감. 물론 쾌적함을 원하면 960이상 추천.


파워는 정격전압 600정도 달아주고 메인보드(마더보드)는 cpu 이름 쓰고 그거 맞는 메인보드 찾아서 구매하면 됨.


저장공간은 SSD 추천, 게임 많이 할것이면 512GB쯤은 맞추길.




작성 끝. 나머지는 다 인벤에 잘 정리되어 있고, 바로 옆에 링크로 있으니 알아서 참고하길 바란다. 즐거운 로아하길 바람.

Lv36 다미로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로아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