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물론 북미도 기공사 유저풀이, 특히 극특세맥이 적어보입니다만(미터기 업로더 중복, 차상위지표에서 25강 아닌게 잡힘 등)
동일 업로더 감안해도 데이터 숫자가 꽤 나오는거랑, 세맥 아래인 각인갯수 보면 한섭보단 인구 상황이 나은것 같네요. 거기서도 밸패상 역천>세맥인 인구 메타 같구요 (엔컨렙 깨달음별 원한채용 인구수 역천이 거의 세맥두배)
각설하고, 북미지표 볼때 주로 Q3-ceiling급을 보는데
여기 데이터쯤부터 사이클 자체 실수는 적어져서 사이클 운영원칙이 잘보이고, best급 처럼 압도적인 스펙이거나 (결국 dps정렬이라서) 폿깐부 문제가 비교적 적어서죠
이 급에서 관측되는 운영원칙을 가져와서 적용하는게 성장하는 지향점이라고 보는게 제일 크지만, 스펙업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경우도 많아서 로그에 세팅이 비교적 다양한 것도 관전 포인트
예시로 성향이 다른세팅 두개 가져왔습니다
유각차가 위 우세지만, 당시 uwu상 종합 스펙은 아래가 좀 더 높았습니다. dps 흐름상 위쪽분이 더 어려운 플레이를 소화하는 실력자라고 보구요
위는 치10/23+일격2/20+아드1칸/15.5+정단유각/21+반지/1.8=81.3에 회심으로 +시너지10+백보너스10 여지를 남긴세팅
일격으로 난낙벽의 치피 상한을 높혀서 정단효율을 보조함. 높은 치피에 비해 부족한 치적은 시너지 or 백보너스에 신경써서 해소
아래는 치10/23+예감2/8+혼강2/24+아드1칸/15.5+정단유각/21+반지/3.1+팔찌치적/4.2=98.8로 시너지를 배제한 세팅
예둔기반 세팅이라 자체 만치적 가까이 확보해서 저점 확 높힌걸로 보이죠
※초고 작성때 기록이 노란글씨라서 위와 같은 느낌이였는데, 지금은 정단빼고 원예질저아 풀유각+달인쪽으로 선회하셨네요. 백보너스 배제한 자체 만치적은 로그대로 노란줄 향연이라 보긴 좋지만, 고점 낮은게 맞으니 비효율 적이였죠
그렇기에 플레이도 달라지는데
위의 특징은 딱봐도 압도적인 난낙벽의 백보너스 비율, 일격이기에 원기옥 초각외엔 누르지도 않음으로서 사이클 로스 최대한 막습니다
그 결과 난낙벽 3개 딜비중이 49.2%에 벽력이 지분1등, 금강군림보가 18.9% 2등이 됩니다
아래는 클래식하게 난화격 사용각을 중시하고, 자체 만치적에 가까우므로 벽력을 되도록 헤드에서 쓴듯하죠. 그 결과 벽력 헤드보너스 비율 근50%, 분당사용횟수 감소, 난화격 HPM(분당히트율)이 위보다도 높아졌습니다. 혼강이므로 적극적으로 원기옥도 돌려줘서 6.6% 비중을 갖구요
그 결과 난낙벽 3개 딜비중은 42.5%, 지분1등 허공군림보가 18.2%
단ㅡ, HPM≠2CPM인 시점에 군림보가 1회 통째로& 1회 1,2타중 하나 안맞았음을 알수있는데, 다 맞췄다면 20% 넘었을수도 있겠습니다
종합하면
일단 둘다 3-2-3으로 가는 구간은 아마 분신찾기/반정산이라고 염두해두고
위는 솔직히 괴물같은 로그죠
2싸1군 원칙에 흔들림이 없습니다. 속행 안터졌을때 군림보 쿨이 밀린상황? 절대 3단을 바로 키지않고 1,2단에서 추가 스킬 소모를 하는식으로 사이클을 늘어트려(1단 벽력이후 추가스킬 소모or2단 내방사이클소화후 순순순낙벽 사용) 3단이후 내방에 군림보가 들어올수있게 합니다. 심지어 별표구간에 기믹으로 인해 2단 강종 이후 3단때, 다음 군림보 쿨소화를 위해 사이클 조기종료로 현타 짧게가져가고 1내2벽3군림보 갈겨버렸어요. 이 뒤에 딜탐없이 145 진입한걸로 보이는데, 군림보 잔여쿨에 따른 현타설계가 돋보이는 부분입니다
그 와중에 난낙벽 쿨로스도 적고 백비율까지 챙깁니다. 이 사람, PM 스탯보면 순보 활용이 미쳤다 생각하는데, 낙벽 비경면기라 못넣고 사이클밀리거나 끊기는 상황분명 나올텐데도 히트소화율 자체가 높은거보면 순보로 피격 안되는 위치 선점 잘한단 이야기입니다. 1페에 메테오 전조 디버프주는 도넛패턴 같은거도 로스없이 박았단 이야기니..
아래는 좀 더 현실적인 로그라고 생각합니다
145전까진 괜찮지만 그 이후는 사이클 무너진 실수도 보이고, 특히 145이하에서 3번째 군림보가 쿨밀림 -> 0줄 직전에 시간없어서 1내23 군림보 시전한 흐름이 관측되는데, 아마 여기서 스노우볼로 딜이 씹혔다고 봅니다. 그래서 hpm이 떨어졌고
근데? 이것도 공팟에선 상위 10% 안에들 플레이 로그죠. 군림보 쿨소화 (CPM1.1+)라는 대전제 수행/난낙 백비율 준수하게 챙김 등등. 다만 위와 비교하면 확연히 낙벽 횟수(cpm)부터 차이가 나서 실력차이가 있다 본것. 원기옥 사용차이도 있지만, 그건 결국 3분에 1사이클치인거 생각하면 근본적인 비경면기 각차이겠죠
필자 역시 아래에 가깝습니다. 세맥 근본때도 풍뢰 위주로 쓰면서 타대 감성으로 오래 했다보니, 원대내에 잔재 절제 백사멸등을 보유하고 오래썼음에도 위처럼 난낙벽 굴릴 자신이 없어요. 아래처럼 난화격 하나정도만 신경쓰되, 혼강+원기옥으로 저점 보조하는게 손에 잘맞긴합니다. 다만 고점 노린다면 위 플레이가 맞다고 보기에, 꽤 자주 시도해보고 있죠
----------
여기서 뽑아볼수 있는건
- 2싸 1군은 원칙임
군림보 쿨 소화는 최우선이므로, 속행을 최소 순보-전설 1개라도 채용후 적극 활용합니다. 속행이 안터져서 2단 다썼는데 군림보 쿨이 6초 넘게남았다? 1단에서 낙영등 추가로 스킬을 굴리거나, 2단에서 순순순+도는스킬 소화하고 3단 가서 군림보 소화합니다
그리고 고점 도약 정배는 역시 그냥 센 금강에 딜레이 감소용 즉주2 - 사멸 감성 플레이어라면 일격 채용 후 극특이여도 원기옥 타이밍 포기하기
원기옥 쓸 시간에 1+2사이클 더 굴리고, 백보너스 신경쓰는게 이런 10분넘어가는 장기레이드에서 무조건 좋은 결과를 가져옵니다. 초각정도만 쓰는데, 1회만 쓸거니까 굳이 3단에 안써도 되는게 강점
- 반대로 타대 감성이라면 혼강+원기옥 쿨 소화 신경써야합니다
역천보다 훨씬 약한 원기옥이지만, 극특이니 만큼 크리만 떠준다면 1+2단보다 dps에 기여를 높게 해줍니다. 이는 백을쳐야 하는 사이클에 비해 dps 날먹하기 좋죠. 크리가 문제지만 - 현행 기공사는 출+중 상태이상룬 반드시 다쓰기
두갤 잘쓰면 어느 타입이던 5%언저리의 정신나간 비중을 보여줍니다. (특히 혼강은 예시대로 환영격+중독룬>>낙영 같은 일도 발생)
이런 흐름에서 화두거리를 꼽아보면
- 2싸 1군의 유연한 소화를 위해 최적화나 신속투자는 어떤가?
- 이론과 실제 딜비중 차이
- 일격이 실질 딜비중에서 혼강보다 우위일수가 있다는건가?
- 정단+회심+입타는 진짜 괜찮은건가? 정단+뭉가 안해도 되나?
- 예둔??? 써도되는가?
- 반제5 vs 반제4+날기1
전부 한섭기준인 101포로 이야기해볼까 하다가, 106포 기준으로 내폭3 반제5vs반제4+날기1로 보는게 더 오래두고볼만한 글이라 생각해서 준비해봤습니다
---
1. 최적화 훈련과 신속투자
앞서서 사립오더님의 북미 미터기 분석글에서 최적화 훈련, 신속투자에 관련한 이야기가 있는데
실제로 북미로그에서 투자한경우를 꽤 많이 볼수있지만, dps를 잘뽑는데 있어선 사실 의미가 없는 투자죠
폿진피 14% 기준 입식에서 한돌3>최훈1+한돌2만 해도 이론적으로도 계수-3% 급이라 메꾸기 쉽지않은 손해고
잠해찍고 쿨감확보 해봤자 결국 곱연산이라, 50초대>45초대 정도 다 보니 완벽하게 2싸 1군이 성립하지도 않습니다. (45초언저리론 속행없으면 매3단마다 군림보 타이밍이 조금씩 뒤로 밀림) 그렇다보니 쿨감때메 횟수가 느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죠 (하기르 딜찍처럼 쿨감 유무로 기믹-기믹 사이에 2번 사용 가능이 갈리는 케이스)
그럼 결국 고점은 쿨감 투자없이 진피,치적 최대한 땡기고 속행 기대하는게 됩니다. 속행 안터지면 위 로그들대로 2단에서 스킬추가 소화하던가 해서 맞춰서 3단키고 군림보 박으면 되기 때문에, 더더욱 쿨감이 미묘하죠. 속행이 잔여 쿨 비율감소인 이상, 기쿨이 높을수록 효율이 높으니 별수 없습니다
다만 신속은 쿨감은 별로지만 공속이 밸류가 있어보입니다. 그 긴거인 123사이클상 공속체감이 작지 않은데, 질증쓰면 확실하게 리스크로 작용해서 로그상 한단계 낮은지표를 찍는게 보입니다. 이쪽은 그냥 신속 몇포 주는게 유의미하겠죠 (대부분의 북미 질증 세맥로그는 신치 세맥이거나, 역천로그가 카던 세맥으로해서 혼입된거라 명확하지 않지만)
---
2. 이론과 실제 딜비중
여전히 필자 아드 풀예열 최종공격력은 이정도
앞서 말한대로 실전에서 난낙벽 비중은 일격-혼강/플레이스타일 따라 42~49% 크게 출렁거리는데, 12분정도의 로그에선 거기에 약3%의 초각+전승자 고정딜을 갖고 남는게 타대 비중입니다
기존의 한섭기준 고점 세팅은 원아저질안+달인+입타 구성이죠. 이때 입타-뭉가 진피 비교를위해 폿 정춤 진피 14%를 보정, 제 스펙기준으로 유물은 아드1칸, 안상4칸에 8겁작 상정시
기존 사이클내 이론상 비중은 ( 1내벽환 2난여낙벽기 3환(군)여낙벽난기 )
※1단에 환영을 터는건 2회사용/상태이상룬유지/짧은딜레이 탓. 낙영 쓰는게 한사이클은 더세지만, 모션만큼 사이클이 딜레이되는 편이라 속행 터진경우의 군림보때 3단진입이 느려져서 어차피 스킵됩니다. 군림보 잔여쿨 보고 환영전에 낙영을 껴넣을지 말지 각보는게 실력요소 (위 로그대로 이 판단으로 cpm차이가 벌어집니다)
이므로, 백50% 기준
혼강2 = 벽력20.35%/낙영15.53%/난화18.39%/여래14.29%/기공6.71%/환영7.38%/군림17.35%
= 방향성 54.27% / 타대 45.73%
일격2 = 벽력21.25%/낙영16.24%/난화19.22%/여래13.53%/기공6.35%/환영6.99%/군림16.42%
= 방향성 56.71% / 타대 43.29%
제 세팅의 이론상 계수/s 기대값은 백50% 혼2=1407.2 일2=1407.3 .. 아주 미세한 차이가 납니다
대략적으로 보는 이론상 혼2<일2 분기점은 난낙벽 계수평균 백비율 47% 정도라, 저는 저번에 저점높은 혼2를 추천드렸습니다
이제 여기서 팔찌의 방향성 증뎀 옵션, 치적옵션에 따라 비율 변동이 생기구요 (아드 풀각+팔찌 치적 = 달인기준 백어택 치적 100% 초과가 발생할수있음)
이때 예제 지표대로 원기옥 시전 유무로
원기옥제외시 초각,상태이상룬,전승힘 등등의 비중이 약8%이므로 0.92배 스케일링
원기옥포함시 일반각,초각,상태이상룬,전승힘 등등의 비중이 약 14.5%이므로 0.855배 스케일링 해줄시
◆이론상 백50%/러닝타임 약13분/일격은 초각만1, 혼강은 원기옥3(올크리) 초각1 사용
※이론보다 예제가 높은것 굵게, 1p+ 높은것 파랑/낮은것 빨강
일격2 이론 =벽력19.55%/낙영14.94%/난화17.68%/여래12.45%/기공5.84%/환영6.43%/군림15.1% + 그외 8%
= 방향성 52.17%
일격2 예제 =벽력19.3%/낙영12.2%/난화17.7%/여래12.5%/기공4.6%/환영6.6%/군림18.9% + 그외 8.2%
= 방향성 49.2%
=이론보다 백을 잘쳤음에도 벽,낙에서 로스가 발생하고 군림보 지분이 확 높아짐. 원거리인 여래 환영 비중이 올라오는것도 관측가능
혼강2 이론 = 벽력17.40%/낙영13.28%/난화15.72%/여래12.22%/기공5.74%/환영6.31%/군림14.83% + 그외 14.5%
= 방향성 46.4%
혼강2 예제 = 벽력16.7%/낙영9.5%/난화16.3%/여래11.5%/기공5.4%/환영7.8%/군림18.2% + 그외 14.6%
= 방향성 42.5%
=세팅상 원기옥을 준확정 치명 띄우는 만큼, 비중이 커서 방향성 비중이 확 줄어듦. 특히 낙영 캐스트를 못챙겨서 비중 확 줄어들고ㅡ 반대로 환영격은 상태이상 유지를 열심히 하는데 혼강2인 만큼 비중이 올라옴
결론적으로
- 기믹시간이 존재하기때문에 실전 군림보 지분은 모든 빌드에서 이론보다 압도적
이는 혼강의 원기옥역시 이론보다 실전 비중이 높습니다 - 난화는 사이클 스킬임에도, 메인딜링기인만큼 신경써서 그런지? 실전 비중이 모든빌드에서 높습니다
물론 벽력 비중이 더 높지만, cpm이 압도적인만큼 매번 신경쓰기 어렵죠. 그래서 기대값보다 실전에서 비중이 적어집니다 - 근접 불가시 원거리에서 환영격을 이용한 상태이상 유지 신경쓰기
상태이상 딜이 꽤세고, 이를 원칙삼으면 환영격 비중이 올라옵니다 - 일격은 내방시간 부족하면 기공장 자체를 안누르고 스킵하는 플레이가 많아서 비중 하락이 눈에띕니다 ( 특히 예제가 다 반제5이기 때문에 현타 기공장 누를시간이 없음, 관련해서 후술 )
- 혼강은 일격에 비해 방향성 스킬 비중이 원래도 적은데, 백도 덜신경쓰는 탓에 더더욱 비중이 하락합니다. 특히 낙영은 가뜩이나 비경면기라 로스율이 높아 실전에서 이론과 달리 여래보다 비율이 작아지는데, 신경쓰지않으면 크게 로스보죠. 그나마 벽력은 헤드보너스라도 받아서 어느정도 방어합니다
북미기에 내폭2렙이라 치피가 더 낮아, 난낙벽이 백 보너스 치적 이득을을 한섭보다 비율상 조금 덜보긴 합니다만, 난화격이 이미 내폭3 이론보다 높은걸보면 대동소이 하겠네요
여기서 겁화 레벨이 증가하면 군림보 비중이 줄어들고, 작열 레벨이 증가하면 다시 증가하는 정도의 변수만 생깁니다
그리고 원기옥이 보통 기믹없다면 5사이클(5군림보)당 1번 들어가므로, 원기옥이 시전시 1+2단 vs 원기옥 만큼 계수차가 발생하는데 - 실전에선 기믹때메 시간당 사이클 비율이 내려가는만큼 군림보, 원기옥 비중이 이론보다 많이 증가합니다
---
3. 일격 vs 혼강
결론부터 말하면 정배는 혼강이죠. 결국 일격 빌드도 이론보다 실전에서 방향성스킬 비중이 하락하기 때문인데ㅡ 그럴경우 이론보다 일격>혼강에 요구되는 백비율이 올라가게 되니까요. 예제가 dps대비로보면 난낙벽 평균백을 60.3% 친셈인데, 그때조차 이론상 백50%일때 난낙벽 기대값보다 비중이 3% 가까이 낮죠. 그렇게보면 똑같은 플레이에서 난낙벽 평균백이 대략 65%?까진 나왔어야 이론영역이 된단 이야기니.. 예제조차 달인의 영역인 지표인걸 생각하면 너무 어려운 이야기입니다
다만 무조건 혼강쓰기엔 두가지 큰 문제가 있는데
첫번째는, 팔찌 옵션
내 팔찌에 백어택 뎀증이 있다면 별수 없이 일격을 쓰는게 고점보기 유리합니다
반대로 비방향성 스킬 뎀증이 있다면 혼강이 유리해지고요
두번째는, 원기옥
이 스킬은 캐스트도 오래걸려서 1+2단 사이클을 통째로 잡아먹고도 추가 후딜을 갖는데
286.8%(내폭3+치피중반*2+엘하의) 치피에서 , 크리가 뜨면 1+2단 사이클 기대값보다 약+25%정도 강하지만 (배율 125%) 뜨지 않는다면 -52.3% 약해지는 (배율43.7%) 미친 단타기입니다
뭉가쓰시는 분들은 알겁니다. 입타로 90% 세팅을 해놔도 노크리가 심심치않게 보이는데, 뭉가는 진짜 머리 빠집니다
그 결과, 북미는 일격쓰는 빌드 대부분이 일반 원기옥은 캐스트조차 하지않게 됐습니다
그렇기에,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춰 취향대로 선택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일격 채용하고 백어택에 신경쓸거라면, 원기옥은 시전 조차 안하는게 평균dps 안정적입니다
---
4. 정단은 입타와 써도 되는거였나?
정단이 더 불리한 필자의 세팅인, 치적4.2%팔찌+원저질0아5안20+백100% 허수기준으로 봅시다 (106포 반제5) 이는 아드 풀유각+노치적 팔찌와 비슷한 치적이죠
폿버프기준 가능한 최적의 세팅을 해본다면 한돌3+혼강2+입식2+달인2+하의엘치피7% 이며, 이를 위 이론 사이클에 적용시

이렇게 61119.92 계수가 나오는게 이론 고점임을 알수있는데 ( 백100%이므로 일격이면 좀 더 높긴하나, 위 결론 고려 혼강2 )
이를 베이스 삼아 여러 세팅의 계수를 비교해보면
※참고로 위 예제중 아래의 예2한1 혼강2 입타2 회심2 과치적 정단세팅은 58,817.65 로, 빌드 고점인 한돌3 채용에서 -0.85% 포기하고 준확치라는 저점을 챙긴셈. 나쁘진 않은듯? 원기옥 90%로 쏘느니, 백치적10% 포기하고 98%로 쏘는게 심신안정 될듯
결론적으로 말하면
현행 내폭3+엘하의 치피만 확보 기준, 뭉가와 정단은 반대로 쓰이고 있었습니다
기존 인식은 날기공5=치피 20% 추가를 베이스로 했기 때문에, 정단 효율이 훨씬 높게 이야기 된 탓일까요?
지금의 278-285(정단유무) 언저리 치피면, 딱 아드 풀유각정도 치적에선 원아저질단+입식+회심이 원아저질안+뭉가+달인 보다도 기대값이 높습니다. 후자세팅, 치적있으면 많이들 쓰실겁니다
정확하겐
- 아드 풀유각+치적 중반지까진 기존 관념대로 원아저질안 입타2+달인2이 입식or혼강/+치적시너지 1명 무관하게 고점
- 위 치적+팔찌에 추가 치적이면(치명상 반지라거나) 원아저질안 뭉가2+달인2+혼강2가 치적시너지 1명 들어온순간 기대값 우위 (노치적 시너지는 여전히 입타우위)
- 정단은 입타2+회심2가 best
단, 아드 전각에서도 치적 시너지가 들어오면 난낙벽 백어택 과치적이 일어나서 손해보기 쉬우므로 혼강보다 4%낮은 일격이 권장되며, 아드 유각풀or팔찌 치적(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치적시너지가 들어올때 세팅 바꾸는게 나음. 혼강줄이고 파전찍거나, 치명줄이고 질증+신속을 좀 준다던가 하는식
저질안 중 한 각인의 리스크를 회피하는 정단 세팅을 하고싶다면, 입타2+회심2 세팅후 자기 백치적 계산해서 치적 시너지 유무따라 진화 조정하는걸 권장드립니다 (백기준 만치적 나오게)
덤으로 입식에서 노치적 시너지 기준 원아저질0+안20+달인과 원아저질+단20+회심이 이론상 약-2.2% 격차지만
실제 미터기에선 달인+입식조합이 피격시 2중 스택로스로 인한 dps로스가 커서 격차가 줄어듭니다
그래서 이론상 고점인 원아저질안도 달인-회심 격차가 -1.45%지만, 아드풀유각급 치적이면 실전은 회심이 잘나오는 경우가 더 많은듯하고, 이게 북미에서 역천기공은 달인 / 극특세맥은 회심이 정배가 된 이유로 보입니다. 극특세맥은 치피가 더 높으니 달인로스가 더 아프기도하고, 낙영장 채용및 사이클구성상 비경면 피격위협이 늘어나니까요
그렇게 회심쓸때 치적시너지만 없다면, 피증17% 유각-치적21% 정단유각이 약-0.73% 차이만 나서 가성비있게 정단을 쓰는것 같습니다. 저or안 대신질증이 빠지면 차이가 더벌어지지만, 공속 리스크가 작지않아서 빠지는 경우가 많이 보이구요. 저질안 중에 취향대로 하나 빼도 될것 같습니다
---
5. 내폭3기준 예둔채용?
- 일격보다 혼강이 무조건 높음 (일격 치피때메 예둔효율 감소)
- 치피가 높으니 뭉가보다 입식이 우위
위에서 원저질0 아5 안상20+달인+치피하의 61,119.92 니까
원저질0 아5 예둔20+달인+추피하의 59,909.13 (예둔은 치피하의<추피하의)
원저질예0 아5+달인+추피하의가 58560.94
원질0 아5 예둔안상20+달인+추피하의 61485.69
원저질0 아5 정단20+회심+치피하의 59801.63
원예질0 아5 정단20+회심+추피하의 58957.08
원질0 아5 예둔정단20+회심+추피하의 60418.89
동 등급에서 예둔 대체는 당연히 기대값 떨어지지만, -2%미만 언저리기에 못쓸급은 아닌듯 (지금도 저질안 다쓰기 싫어서 하나 정단대체해서 깎아먹는거랑 비슷하죠)
물론 등급이 깡패라, 유각이면 등급차 빨로 자유롭게 쓸수있습니다. 저받은 안읽었는데 예둔은 읽은 케이스라던가
다만, 예둔이 치피가 높다보니 백을 못칠수록 효율차가 커지기도 하고 (저점하락 = 혼강채용 이유와 모순)
팔찌에 치피가 있어도 효율차가 커지는데 (vs 저받,안상 깡뎀각인+치피하의 조합)
그래도 이 정도면 날기공 찍기전까지 채용 괜찮지 않나합니다
---
6. 반제5까지 찍어야하나?
제 특화 1831 기준 반제1렙당 현타가 약 0.75초씩 차이나는데, 1군림보 사이클을 현타를 두번 종료로 끊어 볼때 사이클이 약1.5초 늘어나는 셈입니다
이를 대입한게 이건데, 그냥 반제5>반제4+날기공1 은 계수/s상 -2.9%의 하락율을 보입니다
반제1을 내려서 0.75초가 추가되면 현타 여벽낙 사용후 현타가 바로종료 되지않아서 여벽낙기ㅡ 현타 기공장 1회를 쓸시간이 생깁니다. 그걸 반영한게 현타기공장 1회추가 dps죠. 여전히 계수/s에서 반제5로 칼같이 굴리는거에 밀립니다
다만, 실전에선 사이클 로스도 좀 있고 어차피 속행이 안터져서 군림보 쿨대기 << 케이스가 너무 흔하기 때문에, 그럼 0.75초 정도는 포기하고 반제4에 날기를 더찍어서 사이클당 총계수 강화를 노리는게 낫지 않나합니다
이게 지금 한섭이 반제2밖에 못찍음에도 내폭2보다 내폭3을 많이쓰는 이유기도 하죠. 군림보 쿨조정 좀 해주면 좋겠습니다
-----
바빠서 글을 임시 저장하면서 며칠에 나눠 썼더니, 그새 예시 로그 당시-현재 스펙에 격차가 좀 있네요. 제 팔찌도 변했구요. 그리고 현행 스킬포인트상 환영격13 기공장12로 설정해뒀어야 했는데 까먹어서 기존대로 12 12니까 감안해서 보셔요
여튼 당시에 해석한 결론은 이렇습니다
1. 최적은 작열 문제외엔 투자X, 질증은 신속투자 좀 할만함. 단, 질증 자체가 지표상 채용 후순위로 잘안씀
2. 실전에서 난낙벽의 비중은 모든 빌드에서 이론만 못하다. 그 비중은 대부분 군림보에 흡수당한다 (기믹시간때문) 그렇기 때문에 정배는 혼강이나, 플레이 스타일/세팅에 따라선 일격을 고려할수있다
3. 일격을 쓸거라면 원기옥은 그냥 쓰지 말자. 그 시간에 1+2사이클 굴리며 백각에 신경 쓰자
4. 뭉가는 현행기준, 치적 시너지1명에 엔드 세팅 수준의 치적 (팔찌 치적옵or아드 유각에 반지치적옵도 거의필수)을 끌어와야 입식보다 나은 구간이 겨우 생긴다
5. 이론은 달인 정배지만, 실지표는 회심이 정배가 됨. 비경면 비율높은 사이클상 달인+입타 이중스택로스 리스크가 큰듯. 이 때문에 달인 필수채용인 뭉가 역시 거의 안쓴다
6. 정단을 쓴다면 일격+입식+회심 세팅 강력 추천. 단, 오버치적 나기 쉬운 구조이므로 치적시너지 있으면 계산 잘해봐야한다
7. 현행 내폭3에서 예둔 못쓸건 없으나, 유각도 아니고 추피하의도 없다면 굳이 쓰기 미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