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군은 카제로스의 부활을 막으려하고 있고
아만은 카제로스의 혼을 자신의 몸에 강림시켜 불완전하게 부활시키고 처리하려 하고 있습니다.
카제로스가 죽으면 이그하람의 기억인 카마인의 뜻대로 흘러가기 때문에 루테란의 의지를 이은 모험가는
이번 카제로스 토벌전에서 카제로스를 처리하되 이그하람의 뜻대로 흘러가지 않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루테란은 이것을 500년전에 알고 있었기에 아크의 힘을 사용하여 카제로스의 혼과 육체를 나눠 쿠르잔에 육체를 봉인시키고 시간을 유예시켰습니다.
루테란이 시간을 끌고 선택받은 자인 모험가에게 모든 걸 맡겼다지만 우리들은 정확하게 알고있는게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서 뭐 어쩌라고??" "아니 그러면 뭐 카제로스를 잡으라는거야 잡지 말라는거야??"
지금 이 상황입니다...안잡자니 아크라시아가 멸망하고 잡아버리면 이그하람이 부활하고;;;
일단 카제로스를 죽이는게 차라리 낫지않냐? 일단 발등에 떨어진 불부터 처리하자. 라고 생각하기엔
루테란은 루페온과 만남 이후 카제로스를 봉인하는데 그쳤습니다. 무슨 이야기가 오고갔는지 모르겠지만
카제로스를 처리하는것 보다 이그하람을 부활시키는게 위험이 크다 라고 판단 후 봉인에 그쳤겠지요.
그렇다면 500년 전과 지금의 차이를 알아야합니다. 솔직히 지금 이대로 흘러간다면 500년전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이자 핵심은 바로 아만입니다. 아만은 500년전과 비교해서 살아있는 생명체로 존재하는 로스트아크입니다.
아만의 존재는 루페온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매우 매우 높습니다. 루페온은 현재 빛과 어둠 두 가지를 손에 넣기위해 자리비움 상태라고 되어 있습니다.
로스트아크는 정확하게 아크가 아닙니다. 루페온이 자신의 힘을 사용하여 만들어낸것이죠. 아만은 빛과 어둠의 힘을 루페온의 힘으로 엮어내어 만든 생명체입니다. 자신의 목적의 축소판이죠.
아만은 빛과 어둠 두가지 힘을 다룰 수 있습니다. 루페온은 빛과 어둠을 손에 넣기위해 온갖 실험을 행하여 탄생한 완성체가 아만인거 같습니다. 아만은 모르모트였던 것이죠!
실험은 성공했고 빛과 어둠 두 가지를 가질 수 있는 방법도 최후에 와서 아만을 통해 증명해냈습니다. 여기서 아만은 훌륭한 그릇이자 동시에 쓸모가 없어지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로스트아크인 아만을 사용해서 카제로스를 처리한다면 이그하람도 견제가 된다. 라는 추론까지는 갈 수 있지만 태초의 어둠을 탐내는 루페온의 입장에서는 이그하람의 부활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500년전 당시에는 빛과 어둠을 엮어낼 방법을 찾고 있었기에 루테란에게는 진실 반 거짓 반으로 이야기를 전달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카제로스를 이렇게 처리해서는 안된다 후일 만들 로스트아크ver.2를 사용해서 잡으면된다 ㅇㅋ?)
루페온 역시 시간이 필요했던 겁니다.
한가지 붕뜨는게 있었죠 바로 카제로스의 육체입니다.
아만을 그릇으로 써서 처리를 했으니 카제로스의 육체만 덩그러니 남겨져 있을겁니다. 카제로스는 심연의 군주이기에 루페온이 추구하는 어둠과는 맞지 않습니다. 이 육체의 힘을 카마인이 차지하고 카멘과 결합 할 것 같습니다.
루페온의 뜻대로 빛과 어둠을 손에 넣기위해 이그하람의 완전 부활을 위하여.
는 월루하면서 소설한번 써봤습니다 재밌으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