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디 구문을 열고 닫는건 < > 로 하지만 인벤 웹에디터는 이를 명령어로 인식하나 봅니다.
이번 시간은 각 모드들의 (매우)자주 올라오는 질문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드릴까 합니다.
바로 설명 들어가도록 하죠. 감기가 걸려서 상태가 매우 좋지 못하군요.
자주 올라오는 질문에 따른 xml 파일들의 목록만을 간추려 보았고 여러분이 원하는 설명이 없을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미리 말씀드립니다. 찾으세요. 별로 시간 안걸립니다.직접 찾는게 이해도 더 빠릅니다.
기본적으로 모드들의 설정값은 xml 파일로 저장되게 되며 확인 및 수정은 메모장으로도 가능합니다.
(몇몇 불가능한 것들이 있습니다만 이하 서술할 모드들은 전부 메모장으로 간단히 됩니다.)
xvm 4.0에서는 따로 폴더가 생성되어 통합 관리 되어지게(편하게) 바뀌었습니다만....
3.5의 경우 모드별로 xml 파일이 겹치거나 빠지는 부분이 있으니 이점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3.5의 경우 이하 4개 파일의 위치는 res_mods/0.8.5/gui 폴더와 res_mods/0.8.5/gui/flash 폴더 안에 있습니다.
설정 값들의 전반적인 내용은 관장하는 각 기능들의 수치 조정 혹은 켜고 끄는 정도입니다.
간단한 생활영어 정도의 수준을 요하므로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만 햇갈리실 수도 있습니다.
1. 우선 최고로 많이 올라오는 질문인 버드아이뷰의 avatar_input_handler.xml
대체로 카메라, 아케이드모드, 스나이퍼모드, 전략모드에 대한 시점 조절을 관장하며 이하 기능은 생략합니다.
distRange 요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아마 Distance(Distant)Range의 약어라 생각됩니다.
노모드 기본 값은 [distRange] 2 25 [/distRange]입니다. 2는 최소, 25는 최대 값입니다.
버드아이뷰의 경우 이 값이 전부 2 140 으로 되어 있을 겁니다.
버드아이뷰의 기능을 끈다기 보다는 설정을 바꿔주는 겁니다. 140을 전부 25로 바꿔주세요.
조절 단위는 기본적으로 5 단위로 하심이 좋습니다.
고로 기본 25보다 조금 더 넓지만 버드아이뷰 만큼은 원치 않으시다면....
5배수 단위의 숫자로 바꿔주세요. 저는 2 30으로 사용합니다.
2. 다음으로 에임의 세부 설정 디스플레이를 관장하는 MeltyMapModSetting 입니다.
대부분 건드리실게 없습니다. 건드리시면 안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다만 자주포만큼은 좀 건드려야 합니다. 정확히는 전략 시점에 대한 세부 사항입니다.
모드들에 따라 삽입되는 구문이 다릅니다.
저는 아케이드, 스나이퍼는 짐보 에임을 사용하고
전략 시점은 미라클&매지컬(이하 미라매직)만 따로 뽑아서 통합시켰습니다.
그러므로 기준은 미라매직입니다.
시작은 [strategic] 부터 입니다.
건드려 주셔야 할 건 [angle], [circle] 구문입니다.
[angle] 구문은 포격 대상, 혹은 포격 위치 기준의 포 출사각 입니다.
이 구문의 의의는 자주포를 많이 타보신 분은 이해하실테고....
아직 이해 못하신 분은 스스로 터득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실력이 늘어요. 글로 보셔봐야 이해가 안 가실 겁니다.)
(요점만 정리하자면 출사각에 따른 입사 피격각, 그리고 피격 면적은 피격 대상의 차체 높이, 면적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각 대상들이 위치한 지형의 기울기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피격 대상과 타격 대상의 높이 차와 약간의 관련이 있습니다. 에임이 조여진 상태의 차체 타격 가능 범위는 위에서 내려보는 것과 엄청난 차이가 있으며 이는 언덕 너머의 경사 지형에 있는 소련 계열의 납작한 탱크들을 맞추기 힘든 이유이기도 합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기하학, 대수학의 미칠듯한 공식과 함께 물리학의 백터량까지도 나오므로 그냥 이정도로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추후 자주포학 개론에서 자세히 설명드릴 예정입니다만 언제 작성 가능할지 모르겠군요. 라인학 심화편도 써야하는데....;ㅁ;)
자주포를 잘 맞추시는 분은 대부분 이 기능을 사용하실 겁니다.
사용하시려면 true, 아니면 false 로 조절하시면 되며 미라매직은 트루로 되어 있을 겁니다.
[circle] 구문은 바로 위 [center] 구문값이 true일 경우 적용되며....
이 구문은 피격 대상의 리드샷 위치를 선정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미라매직 [circle] 구문은 두개로 나뉘어져 있으며 첫번째 값은 24 두번째는 48이 기본 설정입니다.
각각의 숫자는 속도이며 이 두개의 원은 인 게임시 자신의 자주포에서 멀어질수록 커집니다.
한마디로 24키로의 정속 주행을 하는 차량을 리드샷 하려면 안쪽의 원을 기준으로....
48키로의 정속 주행을 하는 차량을 맞추려면 바깥의 원을 기준으로 리드샷 하시면 됩니다.
자주포에서 멀어질수록 원이 커지는 이유는 착탄 시의 탄속까지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커지는 겁니다.
경사에 따른 피격 대상 속도 증감에 대한 보정은 없으며 오로지 탄속만을 고려하여 커집니다.
7 티어부터 10 티어까지의 헤비 평균 속도가 34인 점과 추중비, 지형 극복력을 고려하면 기본 설정이 베스트지만....
저의 경우는 리드샷을 해야 할 대상을 미디움까지도 범주에 넣었기에 설정을 조금 다르게 하였습니다.
3. MeltyMapProtractorSetting은 여러 설정이 있지만....
인벤 아이디 만세ioi 님의 퓨전 미니맵 동명파일을 보시면 친절히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미니맵에 표시할 선 관련 목록이 대부분이며 목록에 없는 설정은 건드리지 마세요. 썩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enableRulerWhenTD] 구축전차일때 각도기 표시여부 (true/false)
[enableRulerWhenSPG] 자주포일때 각도기 표시여부 (true/false)
[minimapEx] 50,400,445미터 원 표시 여부 (true/false)
[bigMapKey] 화면 확대키 설정 (20 = CapsLock키, 17 = Ctrl키)
[ordinateWhenTD] 구축전차 각도기 위치 ( 범위 0~1, 0.5 = 중앙 예상)
[ordinateWhenSPG 자주포 각도기 위치 ( 범위 0~1, 0 = 중앙)
[timeOrange] 남은 시간 강조 (300 = 5분 강조)
[xSpacing] 각도기 눈금 간격 (추천 16 ~ 32)
[enableClock] 남은 시간 옆에 실제 시간 표시여부 (true/false)
4. 끝으로 XVM.xvmconfig 파일에 대한 설명입니다.
(실수했네요....;ㅁ; 눈치빠르신 분은 눈치 채셨겠지만 파일명이 xvm.xvmconf 네요;; 혼란을 야기해서 죄송합니다;;)
이것 역시 인벤 아이디 연화 님께서 건드려도 괜찮은 부분을 한글화 하셨습니다.
이건 정말 파일 이름답게 많은 정보를 내포합니다.
일일이 열거하자면 한도 끝도 없으니 생략하고....
간단하게 연화님께서 한글화 해주신 xvmconfig 파일을 복사하고 메모장 여신 후....
자신의 모드에 맞는 xvmconfig 파일도 같이 메모장으로 여셔서 Ctrl + F 키로 비교하시면서 만지작 거리세요.
위의 1, 2, 3 번 파일들을 제 설명에 맞춰 스스로 바꾸셨다면 스스로 비교하며 충분히 바꾸실 수 있으실 겁니다.
// 점령바 설정 시작
// 점령바 사용 여부 (true/false)
// 힛로그 설정 시작
// 힛로그 표시 여부 (true/false)
// 힛로그 위치 X
// 힛로그 위치 Y
// 미니맵 설정 시작
// 미니맵 이름 표시 사용 여부 (true/false)
// 아이콘 크기 설정
// 표시할 내용 설정
// 사라진 적 표시 여부 (true/false)
// 소대원 표시 글자 내용
// 아군 표시 글자 내용
// 자신 표시 글자 내용
// 적군 표시 글자 내용
// 사라진 적 표시 글자 내용
// 소대원 표시 글자 색상
// 아군 표시 글자 색상
// 자신 표시 글자 색상
// 적군 표시 글자 색상
// 사라진 적 표시 글자 색상
// xvm-stat 사용시 시야거리 및 자주포 사거리 표시여부 (true/ false)
이상 아주 간단하지만 매우 자주 올라오는 그래서 모드 제작자들을 미치게 하는 xvm 설정 요약 이었습니다.
이 글로 고생하시는 모드 제작자 분들이 리플에 조금이라도 덜 시달렸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물론 질문자도 기다리다 지치는 일이 없길 바라는 마음에서 작성했습니다.
시작은 항상 < >로 시작 선언, 중간 설정값 이후 끝은 항상< / > 로 종료 선언이 난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락님께서는 밑에 리플에 말씀하신대로 이 부분에 여러 숫자가 써져 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