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한국섭에는 많이 이른 팁이지만, 언젠가 마우스를 보시게 될 겁니다. 물론 마우스는 그렇게 무서운 전차는 아닙니다..
뭐 사실 그런게 가능할리가 없잖습니까.....하지만 저티어 전차를 타고 마우스를 만났다면? 저항이라도 해봐야 하지 않겠습니까? 일단 마우스의 장갑 구조를 보도록 합시다. 가장 먼저 나온 10티어 전차이기 때문에, 사실 장갑 구조는 이 게임의 전차들 중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마우스는 사실 저티어 전차들에 대한 피탄거부능력이 가장 높은 전차입니다. 다른 막강한 10티어 구축들도 후방에 160mm 경사장갑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 경사장갑은 사실상 정 후방에서도 184mm 유효방어력을 제공하며, 조금 자세가 더 틀어질 경우, 더욱 강력한 방어력을 보여주게 됩니다.
일단 월탱의 고폭탄 데미지 공식을 봅시다.
Damage = (표기데미지/2)*(1-착탄점 거리/스플레시범위) - 장갑두께 * 1.1 * S
(S = 스폴라이너 있는 경우 1.15, 없는 경우 1)
이 공식을 통해, 특정 장갑 두께에 대한 고폭탄의 데미지를 알 수 있으며 나아가 마우스의 특정 부위에 타격을 주기 위해 필요한 고폭탄의 최소 구경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스폴라이너 없는 마우스의 후면장갑을 고폭탄으로 타격하고자 할 경우,
장갑두께 * 1.1 = 176
필요한 최소한의 HE 데미지 = 352
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폭탄 데미지 416을 얻기 위해서는 소련 122mm 포, 혹은 독일 105mm가 필요합니다(데미지 400 언저리). 그나마도 예상되는 데미지는 약 50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그나마 이는 마우스가 스폴라이너가 없을 경우에나 가능합니다. 데미지 460짜리 포가 스폴 라이너가 장착된 마우스 차체 후방을 타격했을 경우 줄 수 있는 데미지는 약 230 - 202 = 28정도입니다. 데미지 1850짜리 203mm 고폭탄으로도 평균적으로 약 673정도 데미지밖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나마도 위 식은 착탄점 거리를 0으로 가정했기 때문이며, 실제 게임에서 저 값은 0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게임에서는 그냥 고폭이 씹히는 모습이 더 자주 보이게 됩니다. 결국, 우리는 좀 더 장갑 두께가 얇은 부분들을 타격해야 할 겁니다.
1. 타격하면 좋은 곳들

1) 관측장비
관측장비에 타격할 경우, HE탄의 스플레시가 포탑 상부에 데미지를 주게 됩니다. 마우스는 65mm의 포탑 상부 장갑을 가지고 있으므로 운이 좋다면 소련 122mm 포 기준으로 약 165의 데미지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운이 없어서 스플레시가 포탑 상부 구조물에 닿지 않는 경우는 관측창 데미지만 들어갑니다.
2) 전면 포탑링
포탑 링 하부를 정확히 노릴 경우, 장갑두께 50mm 부위에 스플레시를 꽂아넣을 수 있습니다. 운이 좋다면, 약 170정도의 데미지를 줄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포탑링과 차체 사이 약 0.2m 의 공간이 있기 때문에 150 이상 들어가는것은 보기 힘듭니다. 이 경우도 고폭탄 스플레시 라인이 차체 상부를 지나가지 않는 경우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측면 포탑링 하부
사진으로 보면 이해가 빠릅니다. (출처 : wot-armory)
4. 리턴 휠
모든 전차의 공통 약점입니다. 사실 저 부위는 수직으로 조준할 경우 채피의 120mm 대 관통력을 가진 주포로도 관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투가 급한 상황에 정확히 쏘기 힘들다면, 리턴 휠에 고폭찜질을 해서 적의 기동력도 뺏고, 약 90~150 사이의 데미지도 가할 수 있습니다.
5. 후방 포탑링 내부

가장 좋은 부분입니다. 포탑 하부 or 차체 상부 중 약한 부위를 언제나 타격하게 해 주며, 운이 좋으면 약 180이상의 고폭 데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덤으로 포탑링이나 탄약선반에 타격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6. 땅바닥에 바로 쏘기.
122mm 이상의 대구경탄을 직접 마우스가 서 있는 지면에 공격할 경우, 정면에서는 105mm, 후면에서는 50mm 장갑지대에 대한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약 120의 데미지까지(후면에서는 160) 들어갈 수 있으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사격이 불가능하고, 거리가 먼 경우는 지상에 착탄하지 않고 대신 막강한 차체 전면장갑이 데미지를 먹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구경이 낮은 탄의 경우 스플레시가 작기 때문에, 전차와 지면사이 거리만으로도 데미지가 많이 줄어들게 되므로, 대구경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이런 공격을 하도록 합시다.
2. 피해야 하는 곳
흔히 아는 중장갑지역 이외에도, 피해야 하는 장소가 몇군데 있습니다.
1) 측면 사이드스커드

첫번째 사진을 보면 알지만, 저 지역은 무려 단순 두께도 185mm나 될 뿐만 아니라, 무려 1m의 공간장갑이 버티고 있습니다. 저 공간에 타격할 경우, 심지어 203mm고폭탄으로 타격해도 이론상 473밖에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으며, 더욱 재수가 없어서 궤도에 착탄할 경우 데미지가 200밖에 뜨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초보들의 경우 일단 마우스에 뺑뺑이가 들어가면 가리지 않고 마구 쏴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3. 결론
사실 마우스는 단순 장갑재 두께로는 게임 최강이기 때문에, 전방위로 고폭탄에도 거의 무적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래도 기왕이면 그냥 죽을거 100이라도 데미지를 주고 죽음으로써 좀 더 크레딧을 벌도록 합시다.
4. 기타 팁
마우스의 전면 포탑 하부는 숏트랩이 일어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