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자주포를 타보자

sniper12
댓글: 7 개
조회: 2645
추천: 14
2013-01-14 11:32:07
안녕하세요. 미국 자주포를 몰고있는 유저입니다.

지금 6티어 찍고 이제 m40을 바라보고 달리는중인데 한번씩 정예찍어놓은 저티어 탱크들을 타보면 아군 저티어 자주포

분들이 아직 확실히 플레이 개념을 못잡은듯 해서 아쉬웠기에 제가아는 팁들을 알려드리고자 글을 적어봅니다.



1.가급적 덤불뒤에 숨지마라

---
*덤불 등 은폐물 뒤에 숨을시 장점

1)정면에서 오는 적 경전에게 걸릴 위험이 적다.

*단점

1)적 자주포에게 위치를 들키기 쉽다(대포병 사격에 당할 위험이 크다)

2)은폐를 했더라도 차체를 돌리거나 포격시엔 은폐가 깨져서 거의 의미가 없다.

3)은폐물의 위치는 한정적이기에 적군의 전선에 포격을 가할 수 있는 각도가 안나올 수도 있다.

---

덤불뒤에 은폐하는건 적의 정찰에 걸릴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지만 

차체를 돌리거나, 포격을하면 은폐가 깨집니다. 이런경우가 잦은 자주포에겐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그리고 위치가 한정적이다 보니 적 자주포가 경험이 좀 있다면, 덤불을 먼저 주시할테니 대포병사격에 더 취약합니다.

*내용추가:간혹 보면 덤불 속으로 들어가시는 분들이 계신데 그러면 은폐 효과가 나지않습니다. 포신을 제외한 부분이

겉으로 드러나면 은폐 X. 그러므로 덤불 뒤쪽에 숨어서 차체가 완전히 가리도록 숨어야 효과가있습니다.

2.많이 움직여라

보통 자주포 한지 얼마안되시거나 하는분들 보면 처음 자리잡은곳에서 안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자주포는 단순한 곡사포가아닌 '움직이는' 곡사포 라는걸 아셔야합니다.

적군쪽에 포각이 안나오는데도 그냥 가만히 조준만 하고계시면 그 시간만큼은 팀에 손해입니다.

적을 포격 할 수 있는 각도가 나오는곳으로 자주 움직여 줘야합니다. 물론 포각을 잡기위해 움직인 시간이 너무길다면

그건 그거대로 손해입니다. 이부분은 자신의 경험으로 판단해야합니다.

그리고 많이 움직일수록 적 대포병사격에 당할 위험이 줄어든다는건 두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3.대포병 사격은 가능한 상황에만 

간혹 보면 대포병사격 하겠답시고 전선에서 전투가 벌어지는걸 신경안쓰고 적진만 보고계신분도 있습니다.

저도 한때 이 부류였습니다.

물론 대포병사격이 성공해서 적 자주포를 잡아내면 이득이 됩니다.

하지만 자기가 대포병사격을 하기위해 적진을 보고있는동안의 딜 손실은 팀 전체적으로 손해입니다.

자기가 적진에서 자주포의 흔적을 찾는동안 적 자주포는 우리 중전차들을 향해 포격할거고, 적 중전차는 자주포에게 

공격받지 않게되니 말입니다.

그렇기에 대포병 사격은 아무것도 쏠것이 없을때(정찰이 안됬거나, 포각을 잡기 어렵거나) 혹은 조준시간이 빠른

자주포라면 적을쏘고 난 후 장전시간 동안 적진을 관찰하는 등의 방법을 쓰는게 좋습니다(조준시간이 느리면 전선쪽을

계속 주시하는게 낫습니다.괜히 화면전환 많이하면 조준원이 크게 흐트러지기 때문입니다.)

4.전차 격파에 너무 집착하지 마라

한국 게이머들의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유독 킬 수에 민감한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자주포는 킬 수만 높다고 마냥 잘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자주포는 재장전시간이 매우길지만 한방 화력이 강한 탱크입니다.

그렇기에 10퍼센트도 남지않은 적 탱크를 맞춰 격파했다면 그 재장전 시간동안 팀 전체 딜량에 손해를 본것입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적에게 피가 200남은 전차와 1300남은 전차가있습니다. 그리고 저의 데미지는 평균 500입니다.

이때 피 200의 전차를 쳐서 격파했다면 300만큼의 딜 손실을 보는겁니다.

어차피 우리 중형이나 중전차들이 자주포보다 장전속도가 빠르기에 피가 적게남은건 우리팀에게 맞기고

피가 많이 남은 적을 위주로 공격하여 팀에게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해야합니다.

물론 피가 적게남은 전차가 8~10티어의 엄청난 화력을내뿜는 전차라면 빨리 처리하는게 오히려 이득일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우리 전차의 재장전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적의재장전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등을 보고 판단해줘야합니다.

아마 경험이 쌓이신다면 쉽게 판단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내용추가: 킬수가 적더라도 적에게 준 피해량만 높으면 충분히 높은 보상을 얻으실수있습니다.

5.전차 종류별 공격 우선순위

저는 개인적으로 구축>중전차>중형전차>경전차 라고 생각합니다. 자주포는 일단 제외하겠습니다만 가능하면 1순위로

잡아주면 좋습니다.(위의 대포병 매뉴얼[??]을 참조해서...?)

구축이 먼저냐 중전이 먼저냐는 사람마다 꽤 다릅니다만

제가 구축이 먼저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첫째, 강한 화력

둘째, 아군 탱크가 사격하기 어려움

셋째, 단단한 전면장갑

때문입니다.

그래서 빠르게 적 구축을 잡아내어 적의 추가화력을 차단해서 아군의 중전차의 생존률을 높이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전을 먼저 정리해서 전선을 밀어버리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되시는분은 중전을 먼저 공격하시면 됩니다.

나머지는 당연한(?)순서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리드샷(예측사격) Tip

리드샷도 자주포 운용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 전차가 언제까지고 가만히 있진 않으니까 말입니다.

일단 포탄이 날아가는 속도는 전차별로 다르지만 1초당 약 300m정도 됩니다. 

자주포의 위성 뷰 모드에선 탄착점까지의 거리가 표기되므로 이것과 적 전차의 속도를 참고해서 리드샷을 쏘시면 됩니다.

경험이 많아질수록 더 맞추기 쉬워지실 겁니다.

그리고 확실하지 않다면 리드샷을 쏘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자주포는 빗나가면 타종 전차들에 비해 손해가 큽니다.

'확실하다'는 상황이 언제냐면 적이 확실히 일직선상으로 움직일때. 라고 할수있겠군요.

그리고 가급적 경전차는 리드샷 시도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워낙 빠른대다가 이리저리 움직이니까 거의 안맞습니다.

적 경전차가 우리 자주포진영에 난입직전이라도 쏘지말고 근처에 왔을때 쏘는게 오히려 맞출확률이 높습니다.


========

막상 다 써보고 나니 그냥 주절주절 한것밖에없군요..

부족한점은 지적 부탁드립니다

Lv72 sniper12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월탱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