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PC버전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PC사양이 권장사양을 초월하지만 렉이걸린다.' 라고 하시는 분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자를 위해 작성한 글에서 "이걸 모르는 사람이 있어?", "내가 용던 15년경력인데 무슨"이라고 피드백을 주셔서 피드백을 수용하여 살짝 어렵게 준비했습니다.
본문에 초보자들을 위한 내용을 기술하면 모르는 사람이 있냐며 욕을 하므로
해결법의 자세한 방법을 묻는다면 댓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오류 지적은 알려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침공이벤트에서 발생하는 렉은 서버렉인가?
유저마다 다르다.
Server Delay, Loss, Crashes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 설정의 영향으로 Network Disconnection이 나타날 수 있다.
다들 아시다시피 와우는 CS방식이다.
Input → Simulate ↔ States → Render →Wait
Client와 Server간의 Event를 Server가 많은 유저로 계산에 문제가 생김,
Receive받지 못 함.
어느 Data Center에 속하였는지, PC환경에 따라 서버 지연시간이 달랐다.
10명에게 그래픽 옵션 5로 셋팅시키고 침공이벤트에서 결과.
7명이 3ms~4ms로 고정됨, FPS 70에서 많은 사람이 몰리자 55~60까지 떨어짐.
3명 또한 7ms~11ms, FPS 1까지 떨어질 때 있음. 보통 FPS 10유지.
10명의 PC사양은 고려하지 않았음.
결론. PC환경에 따라 Server Delay 발생 가능. 하지만 체감되는 Server Delay는 아님.
PC사양이 뛰어나지만 Server Delay가 나타난다면 Server Delay가 맞으므로 다음 주제에서 설명한다.
서버렉이라고 의심된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현재 사용하는 라우터나 모뎀에서 Packet Loss가 계속 발생된다면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교체. 경로를 따라 다른 곳에서 발생하는 손실은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 연락. 손실값을 보는 법은 다들 알고있다 믿음.
2. 오래된 애드온, 또는 기타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는 애드온을 사용하지 않는다.
케이스 - 최근 애드온을 추가 및 변경한 후 문제가 발생한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초기화. 문제가 개선되는지 체크.
3. 일부 네트워크 환경에서 특정 설정으로 발생 할 수 있는 변수.
'속도에 초점을 맞춰 네트워크 최적화'를 체크 해제해 볼 것. 어디서 해제하는지는 알고있다고 생각함.
4. 보안 프로그램으로 인해 Delay 발생할 수 있음.
현재 이용 중인 보안프로그램을 종료해볼 것.
6. Background program을 종료한다.
7. Checksum Offload and Duplex.
Checksum Offload를 끄고 플레이할 때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지만, 다시 문제가 발생한다면 반드시 켜야함.
Duplex값도 변경해볼 것.
8. Internet Protocol Version6를 해제할 것.
일반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지원하지 못 하는 오래된 라우터라면 종료할 것.
9. 그래픽사양을 1까지 낮춘다. 모든 애드온 사용 안 함 체크.
제시된 해결법을 전부 시도하였지만,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모든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PC업그레이드.
군단 침공이벤트를 대비하여 CS확장이 있엇을 것이며, PC환경에 따라 군단 침공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인 됨.
결론- 서버렉이 아니다. PC환경이 권장사양을 초월한다면 서버렉이 맞다.
위의 개선방법은 유저가 미세하게 줄이는 법으로 Server자체를 어찌 할 수 없다.
무엇을 교체해야 하지?
공격대나, 던전, 전장처럼 제한된 인원이 많은 곳에서도 렉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거기까지가 한계이며, Floating-point representation system의 한계. CPU교체 추천.
모델링 깨짐, 병목현상 등의 그래픽적 문제라면
fixed point number operation의 한계. 그래픽카드 교체 추천.
칼럼읽으면서 한 줄 요약해달라고 하시는 분들을 위해
PC환경에 따라 렉 발생 가능. PC사양이 권장사양을 초월한다면 서버렉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