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게임학회(학회장 위정현 중앙대 교수)는 28일 성명을 내고 "이번 판결은 코인 자본에 의해 학문적 비판과 양심의 자유가 위협받는 사태를 막아내지 못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학회는 "우리는 '코인자본 위메이드에 의한 학자 테러'를 규탄하며, 항소심에서 끝까지 진실을 밝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회 측은 이번 판결이 학문과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위축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사법부가 이러한 판결을 내린다면 앞으로 누가 학문적 양심에 따라 기업의 잘못을 지적할 수 있겠는가"라며 "이번 배상 판결은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학문적 양심을 지키는 모든 학자의 문제"라고 밝혔다.
또한 학회는 위메이드가 학회의 P2E 산업 비판 및 국회 입법 로비 의혹 제기에 5억원대 민사소송과 형사 고소로 대응한 것을 '학문적 양심을 침묵시키려는 폭력'으로 규정했다. 학회는 "우리의 문제 제기는 게임산업의 건전성과 사회적 투명성을 위한 공익적 비판이었다"고 주장했다.
위메이드의 '투명한 블록체인 기업'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학회는 "코인 유통량 조작과 해킹 은폐 의혹으로 두 차례 상장폐지 처분을 받고 법원 가처분 신청마저 기각된 기업이 투명성을 말할 자격이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학회는 위메이드 측에 세 가지 핵심 질문을 공개적으로 제기하며 답변을 요구했다.
첫째, 하태경 전 의원이 SNS에서 언급한 'P2E 코인 입법 로비' 주장에 대한 위메이드의 입장과 하 전 의원을 고소하지 않은 이유를 물었다.
둘째, 2020년 9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총 14회에 걸친 국회 출입 기록, 특히 2020년 9월 국민의힘 허은아 의원실을 세 차례 방문한 이유와 목적, 대화 내용 공개를 촉구했다.
셋째, 허은아 전 의원이 발의한 '메타버스산업진흥법안'에 위메이드가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여부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요구했다.
학회는 "어떤 코인 자본도 학자의 양심과 사회 정의를 침묵시키는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학문적 자유와 게임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항소심에서 진실을 밝히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