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콜] 흑자 전환 성공한 NHN, 신작 5종으로 하반기 공략

게임뉴스 | 정재훈 기자 |



일 시: 2025년 8월 12일(화) 09:00 ~ 10:00
참 석: 정우진 대표, 안현식 CFO, 김동훈 NHN 클라우드 대표, 강상원 IR실장
발표내용: NHN 2025년 2분기 실적 및 향후 전략


■ NHN 2025년 2분기 실적과 현황 요약





■ 2025년 2분기 실적 요약




- 영업수익(매출)은 6,0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전분기 대비 +0.8% 성장
- 영업이익은 21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0%, 전분기 대비 –20.7% 소폭 감소
- 당기순이익은 112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 전년 동기 대비 +142.6% 상승


■ 사업 부문별 매출 실적

- 게임: 1,149억 원으로 전년 대비 +8.0%, 전분기 대비 –3.9%
ㄴ PC 콘텐츠는 웹보드 비수기 영향으로 다소 적었으나, ‘챌린지 배틀’ 효과로 콘텐츠 수요 증가
- 모바일은 ‘컴파스’ 콜라보 효과 등으로 전년 대비 성장





- 결제: 3,094억 원 기록, 전년 대비 +7.8%, 전분기 대비 +6.6%
ㄴ B2B 복지솔루션 강세, NHN KCP 연계 강화, 수입차 가맹점 성장 영향





- 기술: 1,045억 원으로 전년 대비 +6.6%, 전분기 대비 –1.1%
ㄴ NHN Cloud ‘GPU 지원 사업’ 다수 수주, NHN Dooray·Techorus 매출 성장





- 기타: 965억 원, 전년 대비 –25.0%, 전분기 대비 –7.7%
ㄴ IBT 정리, 커머스·라이선스 축소 등 영향, 일부 공연·티켓 판매는 호조





■ 비용 및 손익 구조

- 영업비용은 5,830억 원(+2.1% YoY, +1.8% QoQ)
- 지급수수료 증가, 인건비 감소 효과, 광고비 대폭 확대 (신작 마케팅 중심)
- 영업외손익 흑자로 전환
- 법인세비용도 감소하여 당기순이익 크게 개선됨


■ 신작 게임 및 주주환원 정책

- 신작 게임 개발 박차
ㄴ 2025년: ‘다키스트데이즈’(좀비 아포칼립스, 4/24 OBT), ‘어비스디아’(서브컬처, 수집형 RPG), ‘프로젝트 MM’(가칭, IP 기반 퍼즐), ‘EMMA’(가칭, 캐주얼 액션 퍼즐), ‘페블시티’(소셜 카지노) 등 총 5종 출시 예정
ㄴ 2026년: ‘토파즈’(가칭, 일본 게임 ‘도검난무’ IP), ‘프로젝트G’(IP 기반 RPG), ‘프로젝트BA’(IP 기반 RPG), ‘프로젝트STAR’(‘최애의아이’ IP 기반 3매치 퍼즐) 등 4종 이상 준비





2026 - 2028 3개년 주주환원 정책

- 기본 원칙
ㄴ 전년도 연결 EBITDA의 15%를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 (현금배당+자사주 매입)
ㄴ 현금배당은 전년도 주당 배당금 이상 지급
ㄴ 자사주 매입 규모는 잔여 재원 고려해 결정
- 2025년 계획
ㄴ 발행주식총수의 3%(약 101만 주) 매입 후 전량 소각 예정
ㄴ 8월 12일 현재 53만 4,200주 매입 완료
- 2026년~2028년 계획
ㄴ 신규 취득 자사주의 최소 50%를 취득 연도 내 즉시 소각






■ 질의응답

Q. 이번에 정부 GPU 공급 사업에서 최다 구축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사업 시행 기간 동안 매출이나 손익에 대한 전망은 어떻게 되는가?

김동훈 IR실장 = 이번 GPU 구축 운영 사업에서 기대하고 있는 매출은 3천 억 원 정도다. 손익의 경우 운영에 대한 이슈와 내부 사용에 대한 변수로 현 시점에서 공개하기는 다소 어려울 것 같다.


Q. 해당 사업 외에 하반기 중 참여 가능한 정부의 AI 사업은 없는가?

김동훈 IR실장 = 하반기에 기대중인 신규 사업으로는 기존에 우리가 수주한 지역 인프라 기반의 컴퓨터 지원 사업이나 경기도 교육청 사업, 보건복지부의 과제 사업 등이다. 대량 수주액 기준으로 120억 원 정도의 매출을 확보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