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웬 마호니 대표 "넥슨 게임사업, 차별화 이뤘다"

게임뉴스 | 이두현 기자 |



넥슨 일본법인 오웬 마호니 대표가 "넥슨이 추구하는 '몰입감 넘치는 가상세계' 사업은 별개의 산업군을 구축할 정도로 다른 회사들과 차별화되어 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넥슨이 리스크는 적고 기회는 가득한 사업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오웬 마호니 대표는 주주서한을 통해 "넥슨의 사업은 흔히 '게임'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는 이용자의 플레이스타일, 비즈니스 모델, 주요 고객 등을 모두 하나의 큰 범주 안에서 일반화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라며 "넥슨은 '게임'과는 완전히 다른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펼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캐주얼 게임, 싱글 플레이 RPG, MMORPG 등은 서로 큰 차이가 있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차이를 사소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파악했다. 그리고 이러한 편견은 투자자들에게 큰 함정이 될 수 있다며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는 분명한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오웬 마호니 대표는 넥슨이 '가상세계 사업'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이용자의 월 단위 지출 금액보다는 사용 시간을 우선시하는 것 △단기적인 수익화보다 게임에 애정을 갖고 오랜 기간 플레이하는 이용자들을 확보하는 것 △때론 게임에 애정을 지닌 이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이런 단기적인 손해를 감수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안정적인 가상세계로 구성된 라인업을 보유한 회사는 몇 년간 단 한 개의 신작을 출시하지 않아도 실적을 두 배로 확대할 수 있다"라며 "하지만 이를 이해하는 사람들은 매우 드물다"라고 강조했다.




오웬 마호니 대표는 넥슨이 '상업가'가 아닌 '투자가'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장기적인 성장을 추구하며, 우리의 목표는 넥슨의 사업을 더욱 견고하게 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그는 "넥슨의 사업은 게임업계 표준과 유사한 부분을 보이지만 전혀 다른 원칙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라며 "투자자는 넥슨의 사업을 전혀 다른 산업군으로 분류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대표적으로 게임은 일반적으로 출시, 성장, 쇠퇴라는 예측 가능한 성장 사이클을 지닌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가상세계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게 오웬 마호니 대표 신념이다.

오웬 마호니 대표는 투자자에게 "단기적인 기복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넥슨의 라인업은 견고함을 기반으로 장기적인 수익과 이익을 가져올 것으로 확신한다"라며 "이와 더불어 향후 18개월 동안 8개의 주요 신작이 출시를 앞두고 있다. 넥슨의 신작 라인업은 성공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시 한번 두 자릿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우리는 리스크가 적고 기회로 가득한 방향으로 넥슨의 사업을 개발했다"라며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관을 기반으로 넥슨의 사업을 바라보면 보다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