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종했다고 싱글도 못해? 英 '게임을 죽이지 말라'

게임뉴스 | 강승진 기자 | 댓글: 4개 |
게임이 오래되거나 후속작이 출시되면 이용자가 줄고, 게임의 추가적인 서비스와 지원도 마무리되는 건 모든 게임의 숙명이다. 그런데 유료로 산 게임의 싱글 플레이까지 막힌다면 이건 정당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을까? 영국에서 이러한 게임의 '죽음'에 반대하는 캠페인이 불고 있다.




논란의 시작은 지난 4월 온라인 지원이 종료된 유비소프트의 게임 '더 크루'였다. 유비소프트의 비용 절감 정책도 정책이지만, 10년이 지난 게임은 이미 더 크루2, 더 크루 모터페스트 등 후속작이 두 편이나 출시됐다. 이에 지난해 12월 일찌감치 게임의 지원 종료를 알렸고 DLC, 인게임 유료 재화 등의 판매를 중단했다. 그리고 4월 1일 모든 서비스 지원이 종료됐다. 게임 출시 후 약 10년 만의 일이다.

문제는 '더 크루'가 온라인 접속을 필요로 하는 게임이라는 데 있었다. 온라인 서비스가 멈추면 그간 구매한 DLC 등을 포함해 어떠한 게임 플레이로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라이선스, 서버 인프라 등의 제약에 따른 결정이었지만 종료 발표 이후 약 3개월간 유저 반발에도 싱글 플레이 가능 업데이트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게임 서비스 지원 종료와 함께 유료로 게임을 샀음에도 게임 플레이가 불가능하게 됐다.

'더 크루'의 종료는 'Stop Killing Games'운동으로 이어졌다. 퍼블리셔가 고객에게 판매한 게임을 파괴하는 관행을 종식시키는 데 그 목적을 뒀으며 영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는 정부 청원으로까지 이어졌다.

특히 영국 정부는 이에 대한 답변을 공식 제출했다. 영국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부는 공식 답변을 통해 '서버 유지에 드는 운영 비용을 고려해 상업적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라면서도 소비자법을 회사가 지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게임이 이용자에게 무기한 플레이할 수 있다고 믿도록 하는 경우 Consumer Protection from Unfair Trading Regulations 2008에 따라 기술적으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오프라인 플레이 가능 업데이트 등을 요구할 수 있다고 전했다.

대형 퍼블리셔의 게임들은 최근 장기적인 수익 창출을 목표로 게임에 인앱 재화를 활용한 성장, 강화 요소를 다수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게임의 경우 비인가 프로그램의 사용을 막기 위해 온라인 접속을 필요로 한다. 단, 서비스가 종료되면 해당 콘텐츠의 경우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특히 많은 게임이 수익성을 위해 게임 내 인기 콘텐츠에 담으며 온라인 지원이 해당 콘텐츠의 수명이 되기도 한다.

한편 영국 청원은 10월 16일까지 진행되며 서명 10만 명이 넘으면 의회에서 해당 안건을 논의되게 된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