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만든 건 아니고, 외국 사이트에서 퍼왔습니다.
번역글이기는 하지만, 애초에 번역할 글 자체가 별로 없었네요. ㅋㅋ
8월 5일에 적힌 글입니다. 마상시합 전의 글입니다.
이 레딧은 '하스스톤 레딧' 이 아니라, '대회/경쟁/시합용 하스스톤 레딧' 입니다.
이 표를 보시면 현재의 창시합(즉, 무승부도 패배로 간주하는 창시합)이 얼마나 안 좋은지 아실 수 있을 겁니다.
표를 보시기 전에 주의하셔야 할 사항:
1. 각 덱끼리 비교할 때 마다, '창시합', 즉 무작위 "하수인" 하나를 뽑아서 마나를 비교하는 일을 1백만 번씩 시뮬레이션 한 결과입니다.
2. 시뮬레이션 할 때의 전제조건은 "각 덱에서 아무 카드도 뽑지 않은 상태" 라는 겁니다.
3. 이 시뮬레이션 실험에서 사용된 덱들에는 정작 왕의 엘레크나 가젯잔 창기사 같은 '창시합 카드'들은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말 그대로 하수인 비용끼리 단순 비교만 한 겁니다.
4. 개인이 덱을 어떻게 튜닝하냐에 따라서 실제 게임에서의 창시합 승률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이 표에는 랭크게임에서 거의 안보이는 떡도발드루와 컨트롤성기사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작정하고 고마나 하수인 우겨넣은 빅덱을 데이터에 일부러 넣어서, 창시합이 얼마나 효용성 있느냐" 를 보려고 한 걸로 추정됩니다. 또한, 8월 5일, 즉 마상시합 전에 나온 데이타입니다. 이로 인해 파마기사 처럼 마상시합 때 새로 부상한 덱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6. 실제 게임에서는 저마나 하수인들을 고마나 하수인보다 더 많이 뽑거나 사용한 다음에 창시합을 사용했을가능성이 높다는 점, 시뮬레이션 실험에서 사용된 덱에는 정작 창시합 카드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 등등을 고려하시고.
어디까지나 참고사항 그 이상 그 이하가 아니라는 걸 염두하시길 바랍니다.
실제 게임 내에서의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라는 걸 명심해주세요.
시뮬레이션 실험에 사용된 덱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링크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