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전략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팁] 숙련자들이 잘 범하는 5가지 실수 - 인트로(번역)

아이콘 까를로엔리케
댓글: 22 개
조회: 9821
추천: 56
비공감: 1
2015-12-19 04:40:12
 기말고사가 이제 끝나서 번역을 오늘부터 할 수 있겠네요. 전 대학생입니다.


 이번 번역글은 해외 하스스톤 가이드 사이트인 http://hearthstoneplayers.com/ 의 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는 StoneKeep 이라는 유저가 쓴 가이드글입니다. 

 바로 <하스를 오랫동안 즐긴 플레이어들이 자주 범하는, 그리고 피해야할 5가지 실수> 입니다.

 같은 사람이 쓴 초보자와 중수를 위한 글도 있습니다만 (초보가 자주하는 5가지 실수, 중수가 자주하는 5가지 실수), 그 주제는 하스스톤 팁/전략 게시판에서 이미 어느정도 논의하는 글이 있는 거 같아서, 저는 그 글들은 번역 우선순위를 상대적으로 낮게 잡았습니다. 번역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은 5가지 대표적인 실수 유형을 나열하면서, 각 실수 유형마다 상세한 설명을 쭉 줄글로 써놓았으므로, 저는 이 글을 3파트~5파트에 나눠서 연재할 생각입니다. 
아시다시피, 네티즌들은 '너무 긴 글'을 읽다보면 지치잖아요. :) 

그리고, Experienced Players들을 '고수'라고 옮기는 건 뭔가 부적절해보여, '숙련자'로 번역했습니다. 이 점 양해해 주십시오. 


레딧에 올라온 서문&요약문:


------------------------------------------------------------------------------

번역문 Start:

 안녕하세요 레딧 여러분!

 아마도 이번 파트가 연재분의 마지막이 될 듯 하네요. 이미 초보와 중수에 관해서는 얘기를 했으니, 마지막으로는 경험이 많은 플레이어들에 대하여 얘기할 차례에요. 

 먼저, "경험 많은 플레이어, 숙련자" 라는 단어를 명확히 정의하고 넘어가야겠어요. 초보/중수/숙련자 이 세 집단 중 숙련자의 수가 제일 적겠죠. 

 숙련자란 하스스톤을 최소 몇 달 동안 플레이해본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1년일수도, 2년일 수도 있겠지요. 숙련자들은 몇 천판의 게임을 해본적이 있으며, "5등급의 벽"을 수시로 극복할 수 있으며 전설등급까지 찍기도 합니다. 현재 메타와 게임 내의 메카니즘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숙련자들은 전체 플레이어 중 상위 수% 이내의 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실수를 하지 않는다는 건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 제가 소개하고자 하는 5가지 유형의 실수는 바로:


1. 이기려는 수를 두는 아니라 '지지 않으려는' 수를 두는 실수.


2. 너무 급하게 플레이하는 실수. 


3. 탈진전까지 가는 게임을 잘못 이해하고 잘못 플레이하는 실수. 


4. 카드를 잘못된 순서로 내는 실수 & 필드 위의 카드 배치를 잘못 설계하는 실수 


5. 몇 턴 앞까지는 미처 생각하지 못하는 실수.


 여기서 한 가지 확실하게 짚고 넘어값시다. 당연하지만 위의 5가지 실수는 초보자와 중수들도 당연히 저지르는 실수들입니다. (반대로 초보자와 중수들만 하는 실수들은 숙련자들이 하지 않죠.) 왜 제가 이 유형의 실수들을 '숙련자들의 실수'라고 분류했냐고요? 이 실수들은 '겉보기에는' 사소해보이지만, 실제로는 게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실수들이기 때문입니다. 최고의 선수들을 상대할 때에는, 가장 작은 실수조차도 때로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때가 있습니다. 

  저는 이 목록을 저의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하여 작성했습니다. 전설등급은 매달 찍습니다. 개인마다 경험한 바가 다 다르고, 또한 서버마다도 양상이 다릅니다. 그러니, 더 중요한 사항이 있다고 생각하시거나, 제게 질문 할 것이 있으시다면, 레딧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Stonekeep
  

Lv75 까를로엔리케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