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전략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팁] (중요)"발견"효과에서 직업카드가 중립보다 4배 더 잘 뜹니다. (번역)

아이콘 까를로엔리케
댓글: 44 개
조회: 23857
추천: 59
2015-11-15 15:29:10


레딧에서 퍼와서 번역해봤습니다. 




탐험가 연맹의 1지구까지만 공개된 현재 (2015년 11월 15일), '발견' 메카니즘 카드들은 총 두 개입니다. 

흑마법사 하수인인 "어둠의 행상인"과, 공용 하수인인 "보석 박힌 딱정벌레"입니다.


   



"발견" 효과에 다시 짚어드리자면,

내가 현재 플레이하고 있는 직업의 직업전용 카드와 중립 카드들 중에서, 텍스트에 쓰여진 조건을 만족하는 카드 3장이 화면에 뜹니다. 그 3장의 카드 중 내가 한 장을 자유롭게 고르는 겁니다. 

이를 "발견" 이라 합니다.


 
------------------------------------------------------------------------------------

여기서부터 번역본.


 난 보석 박힌 딱정벌레를 만지작 거리면서 갖고 놀고 있었는데, 한 가지 이상한 점이 있었어. 내가 예상했던것보다 직업전용 카드가 훨씬 자주 나왔다는 거야. 그래서 난 실험을 해보기로 했지. 


 결론부터 말할게. "발견" 메카니즘은 직업전용 카드의 비중이 중립카드의 비중보다 훨씬 더 높아. 투기장에서 덱 짤 때와 마찬가지야.
 보석 박힌 딱정벌레는 직업전용 카드가 중립카드에 비해 평균 약 4.4배 더 높은 확률비중을 받았고,
 어둠의 행상인은 직업전용 카드가 중립카드에 비해 약 4.35배 더 높은 추가 확률비중을 받았어.


수정 및 추가: 벤 브로드가 트위터 계정을 통해 공식적으로 "발견 에서는 직업전용 카드는 중립카드에 비해 4배 더 자주 뜬다"고 확인했습니다.

참고 링크: '스타인벤' 님의 글


 (역주: 제목에는 +420%와 +375%인데... 정작 스프레드시트 수치는 달라요. 그리고 + 라는게 100+420=520인지 아니면 그냥 420인지도 애매하고요. 스프레드시트 수치를 맨 나중에 수정했다고 원글자가 밝혔으므로, 저는 스프레드시트의 수치인 4.4배와 4.35배를 기준으로 정했습니다..) 

 현재 하스스톤에는 총 62개의 3마나 중립 하수인이 있어. (중립 주문은 존재하지 않으니, 당연히 패스.) 3마나 직업 전용 카드는 6장(사제)에서 16장(마법사)까지, 그 수가 다양하지. 다시 말하자면, "발견"이 완벽히 랜덤하다면, 사제가 보석 박힌 딱정벌레를 내면 10장 중 1장 정도만 직업카드일거란 말이야. 마법사라면 10장 중 2장 정도가 직업카드일거고. 


 근데 그것보단 확률이 높아보였단 말이야. 그래서 딱정벌레를 계속해서 쓸 수 있는 전용덱을 만들어서, 여관주인하고 계속 실험해봤지. 그래서 모든 "발견" 결과를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기록해놨어. 
총 120번 "발견"을 했어. 마법사 50번, 주술사 20번, 사제 30번, 흑마법사 20번, 

거기에 더해 흑마법사 전용카드인 어둠의 행상인으로도 30번 발견해봤지. 

총 150번의 발견을 시행, 즉 450장의 카드를 뽑았으므로, 통계학적으로 충분히 크고 유의미한 모집단이라고 생각해. 




역주: 여기서 오해 방지!!!!!!




여기서 "확률" 이라는 것은, "3장 중 1장이라도 직업카드가 뜰 확률"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말 그대로 "총 450장 중, 나온 직업카드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3장 중 1장이라도 직업카드가 뜰 확률"은 훨씬 높겠죠. 

스프레드 시트의 마법사를 예를 들면,

마법사는 50번 발견했는데 3장 모두가 중립카드인 경우는 총 5번 뿐이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마법사의 경우 50번 발견하면 45번은 직업카드가 적어도 한 장은 나왔다는 뜻이죠. 



스프레드시트 링크: 

스프레드시트 요약: 

중립 3마나 하수인 수: 62장
마법사 3마나 카드 수: 16장
주술사 3마나 카드 수: 11장
사제 3마나 카드 수: 6장
흑마법사 3마나 카드 수: 7장

직업카드냐 중립카드냐 상관 없이, 각 카드 한 장마다 똑같은 확률비중을 갖는다고 가정했을 때, 예상되는 직업카드 뽑기 확률:

표기법 - 중립:직업= 1 : 0.XX 이런식으로 표기.


마법사 - 1 : 0.26   (확률로 표기하면 16/78=20.5%)
주술사 - 1 : 0.18   (확률로 표기하면 11/73=15.1%)
사제 - 1 : 0.10      (확률로 표기하면 6/68=8.8%)
흑마법사 - 1 : 0.11 (확률로 표기하면 7/69=10.1%)


실제 결과:

마법사 - 1 : 1.00  (확률: 50%)
주술사 - 1 : 1.00  (확률: 50%)
사제 - 1: 0.43     (확률: 30%)
흑마법사 - 1:0.50  (확률: 33%)

---------------------------------------------------------------------------------

중립 1마나 하수인 수: 30장
흑마법사 1마나 카드 수: 7장

직업카드냐 중립카드냐 상관 없이, 각 카드 한 장마다 똑같은 확률비중을 갖는다고 가정했을 때, 예상되는 직업카드 뽑기 확률:

1 : 0.23 (확률로 표기하면 7/37=18.9%)


실제 결과: 

1 : 1.01 (확률: 50%)

----------------------------------------------------------------------------------

 *** 결론:

1. 딱정벌레는 직업카드들한테 420%의 비중을 추가해주고, 어둠의 행상인은 375%의 비중을 추가해줬어. 비중이 다 비슷비슷한 걸로 보아서, 진짜로 직업전용카드들이 똑같이 100+400=500%, 즉 5배 정도의 비중을 가지고 있는 건지, 아니면 똑같은 메커니즘이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보이는 건지는 알 수가 없어.

2. 어둠의 행상인은 직업전용 : 중립 카드의 비율이 거의 50 대 50이 나왔어. 3마나 직업카드가 많은 주술사나 마법사도 딱정벌레를 쓸 때 비슷하게 50 대 50이 나왔고. 3마나 직업카드가 적은 사제나 흑마법사 같은 경우는 직업전용:중립=30:70 정도 나왔어. 

3. 이렇듯 직업카드와 중립카드가 비슷한 확률로 나오는 건 블리자드가 의도한 바라고 보여져. 그 마나 대의 직업카드가 적은 직업들은, 그 대신 일단 직업카드가 나오기만 한다는 조건 하에서는, 내가 원하는 특정 직업카드가 일관적으로 나올 확률이 더 높아지기 때문에 이런 면에서는 보상 받는다고 생각해. 

4. 카드를 "발견" 할 때, 각 직업마다 다른 확률비중을 가질 수도 있다는 걸 고려해봤을 때, 고릴라로봇, 박물관 관리인, 까마귀 우상, 무덤 거미 같은 "발견" 카드들이 나오기 전까지는 그들의 가치를 가늠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어. 
박물관 관리인 -> 어둠의 이교도 나, 무덤 거미 -> 사나운 원숭이 를 뽑을 확률이 생각보다 훨씬 높을수도 있어. 



레딧 베스트 댓글: 

xXxleet1337xXx  1005점 17시간 전에

"왜 우리 플레이어들이 이 사실을 직접 알아내야해? 이걸 왜 블리자드가 미리미리 공개적으로 알려주지 않은거야? 도대체 왜?" 


Lv75 까를로엔리케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