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그래픽카드] 이유있는 선택!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

삽살이사랑
조회: 3054
2014-07-21 14:45:32

메인.jpg


 

이유있는 선택!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

 

컴퓨터용 냉각장치 분야에 있어서 오랫동안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많은 유저들에게 인정받은 쿨링 솔루션 전문기업 () 잘만테크에서 선보인 GTX750 Ti D5 1GB VF810은 보급형 라인으로 엔비디아의 최신 GPU 아키텍처인 맥스웰(Maxwell)이 탑재되었다. 기존의 케플러 아키텍처의 28nm 공정을 유지했지만 쿠다 코어와 이를 제어하는 회로를 케플러 보다 효율적으로 재배치 시켰기 때문에 성능 및 전력 효율성에서 향상된 성능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팩토리 오버클럭 제품으로 하이엔드급 그래픽카드의 성능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메인스트림급으로 고사양 게임도 무리없이 소화시킬 수 있는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다.

 

 

 

 

 

 

 

맥스웰-아키텍쳐.jpg

 

최신 GPU 아키텍처인 맥스웰(Maxwell)2012년 케플러(kepler) 아키텍처 이후 GTX750GTX 750 Ti에 탑재되어 출시되었는데 GTX750GTX750 Ti는 기존의 GTX 650Ti의 계보를 잊는 보급형 라인업으로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코어라 할 수 있겠다. 맥스웰의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면 이전의 케플러 아키텍처의 경우, 192개의 쿠다 코어를 채용했고 코어당 한 개의 로드/스토어 유닛과 스페셜 펑션 유닛을 조합해 쿠다 코어당 성능을 35% 향상시켰으며 클러스터당 쿠다 코어의 개수를 128개로 줄임과 동시에 32개씩 관리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해 이전의 케플러 SMX 성능의 90% 수준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맥스웰(Maxwell)SMM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면 2개의 쿠다 코어 블록당 4개의 텍스처 필터링 유닛과 텍스처 캐시를 공유해 사용하면서 L1 캐쉬에 텍스처 캐쉬 기능을 통합, 64KB의 캐쉬 공간을 모든 블록이 공유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했고 2MB 대용량 L2 캐쉬가 적용되어 메모리 버스 기준으로 4배나 높은 용량을 제공한다 할 수 있다. 소비전력 부분에 있어서도 기존의 케플러 아키텍처보다 효율성이 높게 튜닝 되어 55의 낮은 소비전력을 보인다고 하는데 이 부분은 진행되는 테스트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스펙.jpg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은 레퍼런스 기반을 바탕으로 145mm의 아담한 사이즈를 바탕으로 안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작은 사이즈 덕분에 미니-ITX 메인보드 사이즈에 최적화되어 초소형 케이스에도 장착이 가능하다. 작은 크기에 만족스러운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초소형 게이밍PC,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상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만족스러움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GM107 프로세서는 27nm 공정, 640개의 쿠다코어, 1,020MHz의 코어클럭과, 1,085MHz의 부스트 클럭을 제공한다. 팩토리 오버클럭 제품으로 레퍼런스 제품보다 동작속도가 높은 만큼 성능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5,400MHz로 동작하는 128bit GDDR5 2GB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듀얼 팬 구성 임에도 불구하고 레퍼런스 사이즈를 그대로 유지한 145 x 106 x 35(mm)의 사이즈를 유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포트는 DVI x 1, HDMI x 1, D-SUB x 1로 구성되어있다.

 

 

 

 

 

 

잘만-GTX-750Ti-패키징1.jpg


블랙 바탕에 잘만을 상징하고 로고와 아이이콘
, 제품명이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박스 디자인에 있어서도 고급스러움을 더하기 위해 보는 위치마다 색상이 변하는 홀로그램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내용물은 그래픽카드 본체, 사용자 설명서, 드라이버 CD로 구성되었다.

 

 

 

 

 

 

패키징2.jpg


그래픽카드가 정전기에 민감한 장치이기 때문에 관련된 주의문구가 정전기 방지 팩 앞, 뒤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픽카드 바닥면에는 발포우레탄으로 먼지 및 외부 충격으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다.

 

 

 

 

 

패키징3.jpg


사용자 안내서에는 소프트웨어 설치방법, 커넥터 설명, 장착방법, 보조전원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미지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되었기 때문에 초보자도 쉽고 간편하게 따라할 수 있으며 한국어, 영어로 기재되었다.

 

 

 

 

 

 

패키징4.jpg


드라이버 CD에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외에 별도의 소프트웨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구성품.jpg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는 레퍼런스 기반의 안성정과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제품으로 아담한 사이즈의 기판부에 좀 더 향상된 냉각능력을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 듀얼팬을 구성하였다. 별도의 보조전원도 필요 없기 때문에 그래픽카드, 사용자 설명서, 드라이버 CD로 구성되었다.

 

 

 

 

 

외형-잘만-GTX-750Ti.jpg


전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쿨링솔루션 전문기업 답게 안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PCB위에 듀얼 쿨링팬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쿨링팬 중앙에는 잘만 로고가 기재된 홀로그램 스티커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픈 케이스 형태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사용자에게는 시각적인 만족도를 향상시켜 줄 것으로 예상한다.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이 팩토리 오버클럭 제품이지만 저전력, 저발열 설계를 통해 선보인 맥스웰 아키텍처를 감안하면 싱글팬 구성으로도 GPU 발열을 잡아줄 수 있다. 하지만 듀얼 쿨링팬을 채택하여 그래픽 카드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다.

 

올블랙에 부분적으로 적용된 하이그로시(고광택)는 무광 블랙과 함께 조화롭게 구성되어 제품의 고급스러움을 배가시켜주고 있다. 아담한 사이즈 덕분에 다양한 케이스와 폭넓은 호환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미니PC 및 멀티미디어 PC를 구상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가장 매리트 있는 제품이라고 생각한다.

 

후면 디스플레이 포트를 살펴보면 HDMI 포트에 별도의 커버를 적용해 먼지 유입을 예방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단자를 보호하고 있다. 잘만의 세심하고 꼼꼼한 배려가 엿보이는 부분이다.

 

 

 

 

 

 

외형1.jpg


듀얼팬 구성이 왠지 싱글팬 보다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할 것 같고, 외관상으로도 더 멋져보인다. 쿨링솔루션 전문 기업 잘만테크의 VF810 쿨러가 적용된 만큼 뛰어난 냉각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 그래픽 출력단자는 DVI, HDMI, D-SUB로 구성되었고 PCI슬롯을 2개 차지하고 있다. 윗 부부분에는 찬 공기와 뜨거운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타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쿨링솔루션.jpg


쿨링솔루션 전문 기업답게 잘만테크만의 기술력으로 만든
VF810 쿨링솔루션이 적용되었다. 레퍼런스 기반의 PCBTWIN COOLER를 적용하기에는 PCB의 길이가 145mm로 너무 작거나 쿨링팬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냉각능력을 제공하기에는 아쉬움이 있다. 하지만 기발한 아이디어로 쿨링팬을 대각선으로 위치시킴으로써 60mm의 저소음 쿨링팬을 적용해 일반 싱글팬에 비해 뛰어난 냉각능력과 함께 독특한 디자인을 제공하고 있다.

 

맥스웰 아키텍처 기반의 설계를 통해 저전력, 저발열의 특징을 감안해 구리재질의 히트파이프나 구리베이스가 적용되지는 않았다. 알루미늄 히트싱크를 통해서 충분히 GPU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FULL RPM으로 동작하도록 2Pin 전원을 채택하였다.

 

 

 

 

 

 


PCB.jpg


레퍼런스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된 PCB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전원부, 맥스웰 아키텍처를 적용한 GPU 코어인 GM107을 확인할 수 있다. PCB 후면에는 쿨링 술루션 고정나사, KC 인증마크를 포함한 각종 인증 마크를 확인할 수 있다.

 

 

 

 

 

GPU.jpg


케플러
(Kepler) 아키텍처 이후 효율적으로 개선된 맥스웰(Maxwell)28nm 공정, 640개의 쿠타코어, 1020MHz 코어클럭과 1085MHz 부스트 클럭을 가진 GM107-400-A2 프로세서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TX750의 경우는 가운데 300/400dl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jpg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에 탑재된 메모리는 5400MHz로 동작하는 128bit SAMSUNG GDDR5 메모리이며, 동급 제품 대부분이 128bit의 낮은 대역폭을 갖추고 있고, 보급형에서부터 고사양 게임까지 무리 없이 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문제될 것은 없다.

 

 

 

 

 

 

전원부-구성.jpg


레퍼런스와 동일하게 3페이즈로 구성된 전원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쵸크 하나당 3개의 모스펫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원부의 고주파 노이즈를 걸러주는 필터역할을 하는 초크, 그래픽카드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모스펫을 확인할 수 있다.

 

 

 

 

 

sap-cap.jpg


PCB 후면의 GPU 반대편에 위치한 SAP CAP는 전압 리플과 전력 노이즈를 줄여 보다 안정적인 오버클러킹 포텐셜을 제공한다.

 

 

 

 

 

메모리-전원부.jpg


메모리 전원부의 경우 GPU 전원부 보다 로드율이나 효율적인 측면에서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GPU 전원부 대비 상대적으로 빈약한 경우가 다반사이다. 1R0 초크에 2개의 모스펫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스펫.jpg


현재 대부분의 그래픽 카드에 사용되는 Low RDS(on) 신형 모스펫으로 효율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발열도 크게 높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페이즈당 3개의 모스펫이 적용되었다.

 

 

 

 

 

보조전원부.jpg


GPU
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별도의 PCI-E 6핀 보조전원 커넥터가 적용되는데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적용되지 않아도 성능 상 큰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적용되지 않았다.

 

 

 

 

 

CPU-쿨러-2핀-커넥터.jpg


쿨링 솔루션의 전원 공급을 위해
2핀 커넥터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CI-E.jpg

 

PCI-Express 3.0 x16의 버스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하위 PCI-E를 모두 지원하여 폭 넓은 호환성을 가졌다.

 

 

 

 

 

 

테스트-시스템.jpg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의 실제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구성된 시스템으로 인텔 하스웰 i5-4670KZ87H3-A2X, DDR3 PC3 12800 4G x 2, PHINOCOM SAPHIRE Series SE가 사용되었으며, 소음 측정 및 다양한 테스트시 유용성을 위해 오픈 시스템으로 구성했다. 타사의 GTX750Ti, GTX750, R7 260X, GTX760을 추가하여 성능의 기준 및 비교를 통해 정상적인 성능을 발현하고 있는지, 성능차가 얼마나 발생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그래프에서 현제 주가 되고 있는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에는 흰색 테투리가 적용되었고 객관도를 높이기 위해 3회에 걸쳐 중간 값을 적용했다.

 

 

 

 

 

 

 

3DMARK11.jpg


DirectX 11
기반의 테셀레이션과 다양한 광원효과, 그림자 표현 등 그래픽 코어의 성능 뿐만 아니라 CPU의 물리연산 능력까지 측정할 수 있는 대중적인 벤치마크 도구인 3DMARK 11로 진행된 결과를 보면 비교군으로 사용된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정상적인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한 GTX750 Ti 제품과 비교했을 때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는데 약간 낮은 수치를 보이는 이유는 비교 제품이 약간 높은 코어클럭으로 셋팅되어 있기 때문에 성능상으로 볼 때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DMARK.jpg


Feature Mark
사의 새로운 벤치마크 툴인 3DMARKFIRE STRIKE는 고성능 게임용 PC를 위한 항목으로 3DMARK 11과 마찬가지로 비교군 중에서 GTX750Ti와 비교했을 때 좀 더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heaven-benchmark.jpg


Unigin Heaven Benchmark
는 퓨처마크사의 벤치마크 툴과 마찬가지로 DirectX11 기반 그래픽의 테셀레이션 성능을 측정하고 4.0 버전으로 렌더링 세부 효과 개선, 품질 프리셋을 지원하고 있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총3회에 걸쳐서 진행된 테스트를 기준으로 앞에서 진행된 벤치마크와 동일한 결과를 도출했고, GTX750 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valley.jpg


Unigine
의 또 다른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ValleyHeaven Benchmark와 마찬가지로 DirectX 11 기반의 테셀레이션 성능을 측정하며 계곡을 마치 저공비행 하듯이 바위, 광원효과 그림자 효과 등 다양한 부분에 있어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새로운 그래픽 코어 테스트 도구라 할 수 있다. 앞에서 진행된 결과와 유사한 측정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잘만 제품이 GTX760을 제외한 비교 제품들 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배틀필드4.png


1
인칭 FPS 게임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배틀필드 시리즈의 최신작이라 할 수 있는 배틀필드4(BATTLEFIELD4)’EA가 자랑하는 강력한 물리엔진인 프로스트바이트 3를 장착해 최고 수준의 그래픽 퀄리티를 요구하는 게임이다.


 

1920 x 1080 해상도, ‘영상품질 높음설정을 통해서 진행된 테스트는 객관적인 수치를 도출하기 위해 똑같은 구간에서 총3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그래프에 적용된 수치는 중간 값에 해당된다. 앞에서 진행된 벤치마크와 유사한 측정치를 보였고, 고사양 게임에도, 메인스트림급 제품으로 전혀 부족하지 않은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평균 48.744를 보여주고 있는데 FPS 게임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20FPS를 충족시켜야 하는데 2배가 넘는 측정치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부드럽고 원활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CRYSIS3.jpg


크라이시스
(CRYSIS) 시리즈는 최강의 그래픽 성능을 요구함은 물론 PC의 성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사용될 만큼 완성도 높은 게임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 게임 제작의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는 크라이엔진의 기능과 성능을 완전하게 사용하고 있어 1인칭 FPS 게임에 있어서 최고라 할 수 있는 게임이다.


 

안티 얼레이징 SMAA MEDIUM(2TX)) 옵션, 텍스처 해상도 매우 높음’, 시스템 스펙을 중간으로 설정하고 진행한 테스트에서 평균 31.544의 매우 만족스러운 수치를 보여줬다. FPS 게임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평균 20FPS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고 할 때 10FPS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여줬고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임을 감안하면 대단히 만족스러운 수치라 하겠다. GTX760을 제외한 비교 모델들과 비슷한 수치를 보여줬다.

 

 

 

 

 

 

매트로-라스트-라이트.jpg


작품성이 탄탄한 원작 소설을 토대로 해 스토리 중심의
FPS 게임이라 할 수 있는 메트로 2033의 후속작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NVIDIA와의 협업을 통해 사실 적인 폭발 장면을 가능케 하는 피직스(PhysX)기술과 몰입감을 높이는 3D 비전 서라운드(3D Vison Surround) 기술 및 다이렉트 X11의 테셀레이션을 지원해 GTX 750 Ti에 걸맞은 게임이라 할 수 있다.


 

옵션에서 볼 수 있듯이 1920 x 1080 해상도, 고품질, SSAA 2X설정을 통해서 진행된 게임테스트는 AMDR7 260X의 경우 21.5의 아주 낮은 프레임을 보여줬고 GTX75027프레임, GTX750 Ti의 경우는 32프레임을 보여줬는데 5프레임의 차이는 미미하지 않은 성능차로 GTX750Ti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라 할 수 있겠다.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에서 끊김이 많은 15FPS와 부드러운 화면이동이 가능한 20FPS의 차이는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뚜렷한 성능차를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750750 Ti의 티타늄의 약자가 왜 적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시프.jpg


2014
2월에 발매된 1인칭 시점의 잠입액션게임 ‘THIEF(씨프)’‘Eidos몬트리얼에서 개발된 게임으로 별도의 벤치마크 도구 없이도 ‘Benchmark’ 메뉴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그래픽코어의 성능을 간단하게 비교, 측정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한 환경에서 총 3회에 걸쳐서 진행된 테스트의 결과를 보면 AMD와 협업을 통해 출시된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의 평균수치가 R7 260X 보다 3FPS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능 상으로도 의미 있는 결과인데 3회 테스트시 대부분 비슷한 결과치를 보이는데 반해 나머지 그래픽 카드의 경우는 Min의 수치가 들쑥날쑥 고르지 못했기 때문에 성능 상으로도 가장 만족스러운 결과 치를 보여줬다.

 

 

 

 

 

 

와치독스.jpg

 

유비 소프트(UBI Soft)에서 발매한 오픈 월드형 게임인 와치 독스(Watch Dogs)’는 그래픽 칩셋 제조사인 엔비디아(NVIDIA)의 혐업을 통해 각종 최신 그래픽 기술들 도입, 좀 더 사실적인 그래픽을 구현했다. 고사양을 요구하는 만큼 하이엔드 그래픽카드에 잘 어울리는 게임이라 할 수 있지만 메인스트림급 그래픽카드인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으로도 전혀 문제없이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1920 x 1080 해상도, 안티 얼레이징 Temporal SMAA, 그래픽 품질 높음으로 진행된 테스트에서 비교제품이 GTX760 밖에 없지만 상당히 만족스러운 결과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평균 40.6으로 옵션을 좀 더 상향조정해도 무리 없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오버클럭.jpg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GTX750 대비 별도의 오버클러킹 없이도 일반사용자들이 좀 더 향상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는 제품이다. 하지만 오버클럭킹을 통해서 좀 더 향상된 성능과 잠재능력을 확인해보고 싶은 것이 그래픽카드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의 바램이자 공통된 분모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잘만테크에서 제공되는 CD안에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만 제공되기 때문에 MSIAFTERBURNER을 통해서 약간의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는지 알아봤다.

 

메모리, 코어클러의 15% 범위에서 오버클럭을 진행했다. GPU-Z에서 볼 수 있듯이 코어 클럭과 메모리 클럭, 부스트 클럭이 향상되었고 픽셀 전송속도와 텍스처 전송속도, 메모리 대역폭 또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PU 오버클러킹과 함께 그래픽 코어 오버클러킹도 마찬가지로 안정성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렇지 않았을 경우 그래픽 코어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GPU 100% FULL LOAD를 통해서 약 30분간 테스트를 통과 후 비로소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안정성 테스트 방법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필자의 경우는 크라이시스3의 그래픽 옵션을 최상으로 설정 후 30분 동안 FULL LOAD 시키고 쿰버스터(Kombustor)를 통해서 동일하게 테스트한 결과 아무 문제없이 통과 했다.

 

 

 

 

 

 

 

오버클럭1.png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의 오버클럭과 함께 실제로 얼마만큼의 성능향상이 있는지 간단하게 3DMARK 11을 통해서 오버클럭 전, 후의 값을 비교해 보면 전체적인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래픽 스코어의 경우 오버클럭 전 보다 약 11%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총 스코어에서도 약 11.5%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버클럭2.jpg


3DMARKFIRE STRIKE에서 그래픽 스코어는 9.35%, 총 스코어는 약 9.8% 향상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지만 두 벤치마크 모두 사용자 입장에서 성능향상을 체감하기에는 미미한 향상을 보여줬지만, 실제로 향상된 성능이 전체적인 시스템 향상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오버클럭3.jpg


Thief(
시프)를 통해 향상된 정도가 어떻게 나타날지 알아봤는데 평균 5FPS의 증가를 보여줬다. 어쩌면 작은 수치라 할 수 있지만 5FPS의 차이는 고사양 게임시 15FPS20FPS의 차이로 게이머가 직접 부드러운 화면 움직임 / 끈김이 있는 화면 움직임을 체감할 수 있는 수치라 할 수 있겠다.

 

 

 

 

 

 

오버클럭4.png


크라이시스
3를 통해 오버클럭 전, 후의 프레임 변화를 비교해봤는데 동일한 테스트 구간에서 평균 2FPS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은 수치라 할 수 있지만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의 특성으로 보면 2FPS는 무시하면 안되는 수치로 성능 향상은 분명이 있었다.

 

 

 

 

 

소비전력.png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의 소비전력은 그래픽 카드를 통해서 일반 유저들이 활용할 수 있는 항목( IDLE / MOVIE / GAME / FULL LOAD)으로 선정해서 측정을 시도했다. 측정된 값은 측정치의 가장 높은 값으로 표기했으며 IDLE시는 PC 전원을 켜고 윈도우 진입 후 약 20분간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 값으로 A사의 GTX750 Ti와 비교했을 때 낮은은 64.87W, 4K UHD 영상 재생을 통해서 96.67W, Crysis3를 오버 클러킹 하지 않은 Default 상태에서 그래픽 옵션을 모두 최상으로 설정 후 가장 높게 측정된 소비전력은 158W, GPU 부하 툴인 쿰버스터를 이용해 측정된 166.2W를 기록했다. 케플러 이후 새롭게 선보인 맥스웰(Maxwell) 아키텍쳐로 전력 소비 효율이 낮은 것이 특징인데 실제로 경생사의 R7 260X 보다 상당히 낮은 소비전력을 보여줬다. 비교모델 중 GTX750 보다 약간 높거나 비슷한 소비전력을 보여줬기 때문에 정말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줬다.

 

 

 

 

 

 

온도.jpg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의 온도(Temperature)도 마찬가지로 소비전력 측정방식과 동일한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GPU 과부하 툴은 최근 AMDNVIDIA에서 전력 관련기술에 의해 실질적인 고사양 게임시의 환경을 대변하기가 힘들다고 하기 때문에 실제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쿰버스터(Kombustor)를 통해서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필자의 경우는 크라이시스3의 그래픽 옵션 및 세부 옵션을 통해 최상위 옵션, 안티 얼레이징(Antialiasing)의 경우 MSAA HIGH(8X) 설정을 통해 약 30분가량 모니터링 후 그래프와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의 온도 그래프를 보면 GTX750 Ti 비교 모델과 유사한 35를 보여주고 있다. Full loadR7 260X6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쟁사의 GTX750 Ti와 비교했을 때도 2낮은 온도를 보여줬다. 게임에서도 과부하 툴에서도 최대 73를 넘기지 않고 지속적인 온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저전력, 저발열 성능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었다. 역시 쿨링솔루션 전문 기업답게 만족스러운 냉각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노이즈.jpg


실내 소음 측정결과
32dB을 기준으로 그래픽카드와 20c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한 결과 치를 보면 IDLE시 팬 스피드는 33%를 유지하고 있고 소음은 46dB, FULL LOAD시 팬 스피드는 54%62dB를 형성하고 있다. 내용을 접하시는 많은 분들이 어? 생각보다 높네? 라고 할 수 있지만 그리 높은 수치는 아니다. 듀얼 팬 쿨링팬 적용으로 비교제품은 GTX750 Ti 모델들과 비교했을 때 더 낮은 소음을 보였고 일반 GTX750의 싱글팬과 비교시 Full Load3dB의 차이 밖에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 높지는 않다. 그래픽 카드의 팬 소음 뿐만 아니라 CPU의 번들 쿨러, PSU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묻혀 그래픽 카드의 소음이 상쇄되었고, 실제로 들어보면 상당히 정숙한 성능을 갖춘 쿨링솔루션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총평.jpg


 

작지만 강하다!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

수많은 그래픽카드를 접하면서 쿨링팬이 대각선으로 배치된 제품은 처음 접해본다. 잘만테크에서 소비자에게 일반 그래픽카드와 다른 독특함을 제공하기 위함도 있지만 주된 목적은 냉각능력의 극대화를 위한 설계였다. 레퍼런스 디자인을 그대로 계승했기 때문에 작은 PCB위에 두 개의 쿨링팬을 적용하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쿨링팬의 사이즈를 소형화 시켜 적용했다면 냉각능력은 대형 싱글팬이 적용된 것 보다 못하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대각선으로 배치된 듀얼 쿨링팬 덕분에 레퍼런스 대비 뛰어난 냉각능력과 일반 그래픽 카드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잘만 지포스 GTX750 Ti D5 1GB VF810만의 특징을 갖게되었다.

 

케플러(GTX650 / 650 Ti) 이후 맥스웰 아키텍처로 새롭게 선보인 제품으로 약간의 성능 향상과 더불어 소비전력, 발열에 있어서 변화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GTX650 Ti의 계보를 잊는 그래픽카드로 어느 정도의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기존의 그래픽카드와 비교했을 때 의미 있는 큰 변화는 아니라고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변화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언급했던 저전력, 저발열로 인해 안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줬고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충분히 만족시켜줄 여지를 두루 갖추고 있다.

 

퍼포먼스 부분에서도 필자가 보유한 GTX750 / 750 Ti 중에서 상위 클래스로 만족스러운 성능을 제공하고 있다. 벤치마크 툴이나 게임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처럼 비교군 제품들 중에서 대부분 높은 수치를 보여줬다. 그렇다고 월등히 하이엔드급에 준하는 성능이 아니라 실제 게임을 통해서 체감할 수 있는 성능차는 아니지만 객관적인 수치로 비교했을 때 높은 것은 사실이다. 오버클럭에 있어서는 개인적으로 15% 상향시켰는데 일반 사용자라면 10% 수준이 적정선이라고 생각하며, 15% 수준 이상에서는 GPU에 무리가 갈 것으로 생각한다. 3개의 디스플레이 포트를 통해 트리플 모니터 지원으로 업무 및 엔터테인먼트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다. 10만원 중반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데 듀얼 쿨링팬이 적용된 제품 중에서는 가장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가격대비 성능비로 본다면 고사양 게임까지 무리 없이 소화시킬 수 있다. 즉 경쟁력 있는 제품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으며, 레퍼런시 기반의 안정성, 내구성을 동시에 충족시킨다. 독특하면서도 성능, 가격, 독특한 디자인을 가진 메인스트림급 그래픽카드를 원하는 사용자라면 후회는 없을 것이다. '이 사용기는 잘만테크에서 제공된 그래픽카드로 작성되었다.

 

 

 

 

 

 

메인사진.jpg

 

 


 

Lv12 삽살이사랑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